$\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itochondrial DNA와 microsatellite marker 분석을 통한 한국과 일본에 서식하는 5 지역의 도루묵(Arctoscopus japonicas)에 대한 유전학적 유연관계 분석
Genetic Relationships of Sandfish (Arctoscopus japonicas) from Five Different Areas of Korea and Japan Based on Mitochondrial DNA and Microsatellite Analys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5 no.11 = no.187, 2015년, pp.1204 - 1213  

김은미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  강현숙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  강정하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  김동균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  안철민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  이해원 (국립수산과학원 대외협력과) ,  박중연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루묵은 우리나라 동해에서 어획되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수산자원으로 동해안의 자원회복관리 대상어종이며, 자원량의 회복 및 보전과 관리가 필요한 어종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도루묵 자원의 관리를 위한 유전학적 분석에 따른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mitochondrial DNA의 Cytochrome b (Cyt b) 유전자 서열과 5개의 microsatellite marker의 유전자형을 토대로 우리나라 동해안 도루묵과 일본 도루묵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 구조를 분석하여 유전학적 유연관계를 파악하고, 도루묵 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한국 3개 지역(독도, 동해, 감포)과 일본의 2개 지역(북해도와 에리모)에서 채집된 총 83개 개체의 mtDNA Cyt b 영역을 분석하여 27개의 haplotype을 확인하였다. 유전적 다양성은 에리모에서 가장 높고 감포에서 가장 낮았다. Pairwise FST값과 유전적 거리, UPGMA와 주성분분석, AMOVA test 및 structure 분석 결과, 한국의 동해안 도루묵 집단 간 유전적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일본 도루묵 집단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한국의 동해안 집단과 일본의 집단으로 그룹을 형성하며 구분되는 유연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도루묵의 유전적 특성 및 집단 간 유연관계는 중요한 수산유전자원으로서의 도루묵에 대한 중요한 과학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이며, 앞으로 도루묵의 보존, 평가 및 이용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opulation structure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as), the most abundant fishery resource in the East Sea of Korea, has not been carried out, despite its importance in Korea.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genetic diversity and differences between five popul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도루묵의 지역 집단 간 유전적 특성과 유연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 동해안 3지역과 일본 2지역 의 도루묵을 대상으로 mtDNA와 msDN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하고 집단 구조를 밝혀냄으로써 우리나라 도루묵 자원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해 필요한 유전학 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mtDNA와 msDNA 마커를 이용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루묵 집단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 간 유연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mtDNA와 msDNA 마커의 분석 모두에서 우리나라 동해안 도루묵 집단이 일본 도루묵 집단에 비해 비교적 유전적 다양성이 잘 유지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우리나라 동해안 집단과 일본 집단이 AMOVA test 및 계통유전학적 분석에서 유의한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해의 도루묵 집단의 유전학적 특성과 유연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국 동해안의 독도, 동해, 감포 지역과 일본의 북해도와 에리모 지역 도루묵 집단을 대상으로 mtDNA (Cyt b)와 msDNA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도루묵 집단의 유전형상과 군집구조 분석을 위해 베이즈 군집구조 추론을 실시한 결과, ΔK 값이 2일 때 최대값을 보여 최적군집수(K=2)에 따라 2개의 군집으로 가정하여 분석하였다(Fig. 3, Table 10). 분석된 5개 집단을 최적군집수에 따라 2개의 군집으로 가정하고, 각 집단이 군집에 할당될 사후확률을 기준으로 판정할 때, 크게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었는데, 북해도와 에리모 집단이 하나의 군집에 할당되었고, 독도, 동해, 감포 집단이 다른 하나의 군집에 할당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n, H. C., Lee, K. H., Lee, S. I., Park, H. H., Bae, B. S., Yang, J. H. and Kim, J. B. 2011. Behaviour habitats of sailfi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as approaching toward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in the spawning season. Jour. Fish. Mar. Sci. Edu. 23, 35-42. 

  2. Avise, J. C. 1994. Molecular markers, Natural History and Evolution. Chapman and Hall, New York. 

  3. Beacham, T. D., Lapointe, M., Candy, J. R., Miller, K. M. and Withler, R. E. 2004. DNA in action: rapid application of DNA variation to sockeye salmon fisheries management. Conserv. Gen. 5, 411-416. 

  4. Brown, W. M., George, M. Jr. and Wilson, A. C. 1979. Rapid evolution of animal mitochondrial DNA. Proc. Natl. Acad. Sci. USA. 76, 1967-1971. 

  5. Carr, S. M. and Marshall, H. D. 1991. Detection of intraspecific DNA sequence variation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of Atlantic cod (Gadus morhua)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Can. J. Fish. Aquat. Sci. 48, 48-52. 

  6. DeWoody, J. A. and Avise, J. C. 2000. Microsatellite variation in marine, freshwater and anadromous fishes compared with other animals. J. Fish. Biol. 56, 461-473. 

  7. Evanno, G., Reguaut, S. and Goudet, J. 2005. Detecting the number of clusters of individuals using the software STRUCTURE: a simulation study. Mol. Ecol. 14, 2611-2620. 

  8. Excoffier, L., Laval, G. and Schneider, S. 2005. Arlequin ver. 3.0: an integrated software package for population genetics data analysis. Evol. Bioinform. 1, 47-50. 

  9. Excoffier, L., Smouse, P. E. and Quattro, J. M. 1992.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inferred from metric distances among DNA haplotypes: application to human mitochondrial DNA restriction data. Genetics 131, 479-491. 

  10. Goudet, J. 1995. FSTAT (version 1.2): a computer program to calculate F-statistics. J. Hered. 86, 485-486. 

  11. Hillis, D. M., Mabel, B. K. and Moritz, C. 1996. Application of molecular systematic: the state of the field and a look to the future, pp. 515-543. In: Molecular Systematics, 2 nd edn. (eds. Hillis, D., Moritz, C., Mable, B. K.), Sinauer Associates, Massachusetts. 

  12. Jarne, P. and Lagoda, P. J. G. 1996. Microsatellites, from molecules to populations and back. Trends. Ecol. Evol. 11, 424-429. 

  13. Kim, I. S., Choi, Y., Lee, C. Y., Lee, Y. J., Kim, B. J. and Kim, J. 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pp. 1-615. Kyohak Press, Seoul. 

  14. Kim, J. Y., Yoon, M. G., Moon, C. H., Kang, C. K., Choi, K. H. and Lee, C. I. 2013. Morphological and genetic stock identification of Todarodes pacificus in Korean waters. J. Kor. Soc. Oceanogr. 18, 131-141. 

  15.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 Mol. Evol. 16, 111-120. 

  16. Kobayashi, T. and Kaga, Y. 1981. Population of sandfish, Arctoscopus japonicas (Steindachner), in the seas around Hokkaido estimated from the variations of meristic characters (in Japanese). Bull. Hokkaido. Reg. Fish. Res. Lab. 46, 69-83. 

  17. Langella, O. 2002. POPULATIONS 1.2.29. Population genetic software (individuals or populations distances, phylogenetic trees), http://bioinformatics.org/-tryphon/populations. 

  18. Lansman, R. A., Shade, R. O., Shapira, J. F. and Avise, J. C. 1981. The use of restriction endonucleases to measure mitochondrial DNA sequence relatedness in natural populations. ΙΙΙ. Techniqu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J. Mol. Evol. 17, 214-226. 

  19. Lee, S. I., Yang, J. H., Yoon, S. C., Chun, Y. Y., Kim, J. B., Cha, H. K. and Choi, Y. M. 2009. Biomass estimation of sailfi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as, in Korean waters. Kor. J. Fish. Aquat. Sci. 42, 487-493. 

  20. Liu, Z. 2011. Genomic variations and marker technologies for genome-based selection. In: Liu, Z. (ed.), Next Generation Sequencing and Whole Genome Selection in Aquaculture. WileyBlackwell, Oxford, U.K. 

  21. Liu, Z. J. and Cordes, J. F. 2004. DNA marker technologies and their applications in aquaculture genetics. Aquaculture 238, 1-37. 

  22. Nei, M. 1972. Genetic distance between populations. Am. Nat. 106, 283-292. 

  23.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and offshore waters in Korea. pp. 1-333. 2nd ed Hangul Press, Busan. 

  24. Ochiai, A. and Tanaka, M. 1986. Ichthyology, vol 2, new edn (in Japanese). Koseisha-Koseikaku, Tokyo. 

  25. Okiyama, M. 1970. Studies on the population biology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as (Steindachner). ΙΙ. Population analysis (preliminary report) (in Japanese). Bull. Jpn. Sea. Reg. Fish. Res. Lab. 22, 59-69. 

  26. Okiyama, M. 1990. Contrast in reproductive style between two species of sandfishes (family Trichodontidae). Fish. Bull. 88, 543-549. 

  27. Park, C. J., Nam, W. S., Lee, J. H., Noh, J. K., Kim, H. C., Park, J. W., Hwang, I. J. and Kim, S. Y. 2013. Analysis of genetic divergence according to each mitochondrial DNA region of Haliotis discus hannai. Kor. J. Malacol. 29, 335-341. 

  28. Park, J. Y., Lee, H. J., Kim, W. J., Lee, J. H. and Min, K. S. 2000.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 variation in Korean salmonids. J. Fish. Biol. 56, 1145-1154. 

  29. Park, J. Y., Lee, S. J., Lee, H. W., Lee, Y. G., Jung, S. J. and Kang, Y. J. 2006. Polymerase chain reaction primers for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from the Korea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as. Mol. Ecol. Notes 6, 674-676. 

  30. Peakall, R. and Smouse, P. E. 2006. GENALEX 6: genetic analysis in Excel. Population genetic software for teaching and research. Mol. Ecol. Notes 6, 288-295. 

  31. Perez-Enriquez, R., Takagi, M. and Taniguchi, N. 1999. Genetic variability and pedigree tracting of a hatchery-reared stock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used for stock enhancement, based on microsatellite DNA markers. Aquaculture 173, 413-423. 

  32. Pritchard, J. K., Stephens, M. and Donnelly, P. 2000. Inference of population structure using multilocus genotype data. Genetics 155, 945-959. 

  33. Rousset, F. 2008. GENEPOP’007: a complete re-implementation of the GENEPOP software for Windows and Linux. Mol. Ecol. Resour. 8, 103-106. 

  34. Sekino, M., Saitoh, K., Yamada, T., Kumagai, A., Hara, M. and Yamashita, Y. 2003. Microsatellite-based pedigree tracing in a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aceus hatchery strain: implications for hatchery management related to stock enhancement program. Aquaculture 221, 255-263. 

  35. Shirai, S. M., Kuranaga, R., Sugiyama, H. and Higuchi, M. 2006. Population structure of the sailfi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as (Trichodontidae), in the Sea of Japan. Ichthyol. Res. 53, 357-368. 

  36. Sneath, P. H. A. and Sokal, R. R. 1973. Numerical taxonomy: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numerical classification. W. H. Freeman, San Francisco. 

  37. Tamura, K. and Nei, M. 1993. Estimation of the number of nucleotide substitutions in the control region of mitochondrial DNA in humans and chimpanzees. Mol. Biol. Evol. 10, 512-526. 

  38.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and Kumar, S. 2011. MEGA5: Molecular evolur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39. Tautz, D. 1989. Hypervariability of simple sequences as a general source for polymorphic DNA markers. Nucl. Acids. Res. 17, 6463-6471. 

  40. Ward, R. D., Zemlak, T. S., Innes, B. H., Last, R. R. and Hebert, P. D. H. 2005. DNA barcoding Australia′s fish species. Philos. Trans. R. Soc. Biol. Sci. 360, 1847-1857. 

  41. Weir, B. S. and Cockerham, C. C. 1984. Estimating F-statistics for the analysis of population structure. Evolution 38, 1358-1370. 

  42. Yang, J. H., Lee, S. I., Park, K. Y., Yoon, S. C., Kim, J. B., Chun, Y. Y., Kim, S. W. and Lee, J. B. 2012. Migration and distribution change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as in the East Sea. J. Kor. Soc. Fish. Tech. 48, 401-141. 

  43. Zardoya, R. and Doadri, I. 1999. Molecular evidence on the evolutionary and biogeographical patterns of European cyprinids. J. Mol. Evol. 49, 227-2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