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기장치와 필터를 활용한 미세먼지 제거특성 조사
Characterization of Fine Dust Collection Using a Filter Ventilation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6 no.2, 2015년, pp.229 - 233  

전태영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재용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폐암을 유발하는 발암물질이며 다양한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는 유해물질인 미세먼지 제거특성을 조사하였다. 변수로는 습도, 초기미세먼지 주입량, 유속을 고려하였다. 실험결과 습도가 높은 경우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동안 평균 농도는 낮아지지만, 최종농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세 가지 초기미세먼지주입량의 변화는 모두 비슷한 제거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속이 0.6 m/s에서 0.3 m/s로 변할 경우 제거소요시간이 약 1.4배 증가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습도, 미세먼지 주입량, 유속 중 미세먼지 제거에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은 유속으로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which are one of carcinogens to cause lung cancer. The fine dust capture by a pilot scale filtration system depends on several important variables such as humidity, initial fine dust injection volume, and flow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우선적으로 환기장치와 함께 먼지제거 성능을 비교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추후 연속식으로 풍동장치를 설치하여 필터에 의한 분진제거능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의 변수로는 습도, 초기 미세먼지 농도, 유속 등 총 3가지를 선택하여 제거효율을 평가하였으며, 각각 3회씩 실시한 실험의 결과 값의 평균을 기재하여 신뢰도를 높이고 오차를 줄이고자 노력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박스의 크기는 1 m × 1 m × 1 m 정육면체의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환기장치의 유속은 0.
  •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내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환기장치를 기본으로 필터를 장착한 여과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제거할 때, 최상의 조건을 찾아내는 것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실내공기질 상황에 대한 여러 조건을 변수로 선택하여 미세먼지제거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 미세먼지를 제거하는데 있어 초기농도는 필터의 흡착 한계점에 도달하는 기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미세먼지 제거에 있어 초기농도가 필터의 흡착 한계점 이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하였다. Test dust는 각각 15, 10, 5 mg을 선택하여 시험 챔버로 주입하였으며, 유속은 0.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미세먼지를 저감하기위하여 설정한 세 가지 변수에 따른 미세먼지의 제거특성에 대하여 실험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미세먼지 농도에 크게 미치는 인자는 무엇인가? 실내공기질은 주로 담배연기, 조리, 스토브, 벽면의 입자상 물질 등과 같은 실내오염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들이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된다[8-12]. 미세먼지의 발생원은 실외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실내에서의 요인도 굉장히 크게 작용하는데, 실내미세먼지 농도는 특히 환경담배연기(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으며, PM2.5 기준 흡연 사무실이 비흡연 사무실보다 약 1.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을 크게 구분하면? 이처럼 미세먼지는 어디에나 존재하고 누구에게나 인체내부로 유입될수 있고, 체내로 유입된 후에는 배출이 어렵고,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가 점점 광범위해지고 언론에서 각종 미세먼지관련 피해사례들을 보도하여, 국민들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은 크게 기계적인 방법과 자연적인 방법이 있다. 기계적인 방법으로는 필터를 활용한 환기장치를 이용한 여과방법, 공업적으로 활용하는 전기집진 방법 등이 있다[14].
외부의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사례는 무엇인가? 5배가량 높게 측정된다는 결과도 있다[13]. 서울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할 때 65세 이상 노인 등의 호흡기관련 질환 사망률이 0.4%씩 증가하고, 임산부와 태아에게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처럼 외부의 미세먼지도 건강에 큰 영향을 주지만, 실내 특히 심리상 자택은 안전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비교적 실내의미세먼지 방지대책을 세우지 않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Richard W. Boubel, Donald L. Fox, D. Bruce Turner, and Arthur C. Stern, Fundamentals of Air Pollution, 3rd ed. 203-206, Academic Press, California, USA (1994). 

  2. Y. H. Yoon, J. C. Joo, H. S. Ahn, and S. H. Nam, Analyses of the current market trend and research status of indoor air quality control to develop an electrostatic force-based dust control technique, J. Kor. Academia-Industrial. Co. Soc., 14(12), 6610-6617 (2013). 

  3. J. S. Park, C. H. Kim, J. J. Lee, J. H. Kim, U. H. Hwang, and S. D. Kim, A study on The Chemical Mass Composition of particle Matter in Seoul, J. Kor. Soc. Urban. Eng., 10(3), 293-303 (2010). 

  4. O. O. Hanninen, E. Lebret, V. Ilacqua, K. Katsouyanni, N. Kunzli, R. J. Sram, and M. Jantunen, Infiltration ofambient PM2.5 and levels of indoor generated non-ETS PM2.5 in residences of four European cities, Atmos. Environ, 38, 6411-6423 (2004). 

  5. G. Gramotnev and Z. Ristovski, Experimentalinvestigation of ultra- fine particle size distribution neara busy road, Atmos. Environ., 38(12), 1767-1776 (2004). 

  6. D. F. S. Natucsh, J. R. Wallace, and Jr. C. A. Evans, Toxic trace elements: preferential concentration in respirable particles, Science, 183, 202-204 (1974). 

  7. D. W. Dockery and III C. A. Pope, Acute respiratory effect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Annu. Rev. Publ. Health, 15, 107-132 (1994). 

  8. B. H. Nam, I. J. Hwang, and D, S. Kim, Pattern Classification of PM-10 in the Indoor Environment Using Diskoint Principal Component Anlysis, J. Kor. Soc. Atmos. Environ., 18, 25-37 (2002). 

  9. T. Larson, T. Gould, C. Simpson, L.-J. S. Liu, C. Claiborn, and J. Lewtas, Source apportionment of indoor, oudoor, and personal PM2.5 in Seattle, Washington, using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J. Air Waste Manage., 54, 1175-1187 (2004). 

  10. M. D. Geller, M. Chang, C. Sioutas, B. D. Ostro, and M. J. Lipsett, Indoor/outdoor Relationship and chemical composition of fine and coarse particles in the southern California deserts, Atmos. Environ., 36, 1099-1110 (2002). 

  11. D. A. Olson, J. Tirlington, R. M. Duvall, S. R. McDow, C. D. Stevens, and R. Williams,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s of organic and inorganic molecular markers: Souce apportionment of PM.25 using low-volume samples" Atmos. Environ., 42, 1742-1751 (2008). 

  12. J. M. Lim, J. H. Jeong, J. H. Lee, J. H. Moon, Y. S. Ching, and K. H. Kim, The analysis of PM2.5 and associated elements and their indoor/outdoor pollution status in an urban area, Indoor Air, 21, 145-155 (2011). 

  13. J. M. Lim and J. H. Lee, Indoor Air Quality Pollution of PM2.5 and Associated Trace Elements Affected by Environmental Tobacco Smoke. J. Kor. Soc. Envion. Eng., 36(5), 317-324 (2014). 

  14. Josep Grau-Bove and Matija Strlic, Fine particulate matter in indoor cultural heritage: a literature review, Herit Sci., 1(8), 1-17 (2013). 

  15. Ling-Chuan Guo, Lian-Jun Bao, Juan-Wen She, and Eddy Y. Zeng, Significance of wet deposition to removal of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 case study in Guangzhou, China, Atmos. Environ., 83, 136-144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