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 기업 컨베이어 조립 라인의 생산성 향상 개선 사례
A Case Study on Productivity Improvement for Conveyor Assembly Production Line in Medium and Small-Sized Manufacturing Factories 원문보기

대한산업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41 no.2, 2015년, pp.209 - 219  

정대권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윤원영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als with a case study about productivity improvement in medium and small-sized manufacturing factories. It is popular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lines by shortening the production cycles and assigning multi jobs to workers. We analyze the production lines and improve the productiv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기업에서는 연간 단위로 생산 라인별, 설비별로 단위 시간당 기계 경비율과 임율을 산출하여 생산 원가 분석, 영업 활동 등에 활용하고 있다. 개선 목표를 설정할 때는 비부가 가치 동작 시간과 편성 손실을 50% 이상 개선하고, 제품의 판매 가격 인하와 내부 원가 상승을 극복하는 수준으로 결정하기로 하고 인당 단위 시간당 생산 수를 향상시켜 제품 단위당 조립 비용을 30% 개선하는 것으로 목표를 설정 하였다.
  • [Table 6]은 개선 활동 대상 조립 라인의 특징으로 작업자는 컨베이어 앞 고정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조립 난이도는 낮으며, 제품의 크기는 비교적 작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 주기가 짧은 제품을 조립한 후 다음 작업 공정까지는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조립 라인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에서와 같이 생산성 향상 활동을 실시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 활동의 추진 방법 및 절차를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컨베이어 조립 라인의 효율적인 작업 편성은 일정한 작업 순서에 따라 조립 작업을 실시할 때 각 작업자의 유휴 시간을 최소로 하면서 라인 편성(Line Balance)의 효율을 최대로 올리는 것이다(Riggs, 1987).
  • 본 연구에서는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생산을 하는 중소기업의 조립 라인을 대상으로 편성 효율 개선 활동이 실시된 이후 작업자가 다 공정을 담당하게 함으로써 조립 라인의 수를 증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접근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개선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가이드라인도 제시하였다.
  • 이러한 조립 라인에서는 생산이 안정화되고 라인 균형 효율이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제품의 구조 변경, 조립의 자동화, 모듈화를 통한 조립 단순화, 조립 도구의 개발 등의 변화가 없이는 더 이상 생산성 개선이 어려운 단계에 도달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산 주기가 짧게 편성되어 작업자의 작업량이 적고 이로 인해 조립 라인의 길이가 길어지는 중소기업의 조립 라인을 대상으로 작업자에게 다 기능 작업 훈련 후 다 공정 작업을 통해 조립 라인의 수를 늘이고 조립 라인의 길이를 줄여 생산성 개선을 실시한 사례를 보여주며, 이후 유사한 개선 활동에 참고할 수 있도록 개선 활동의 수행 절차를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를 통해 조립 라인이 단순해지고 길이가 짧아져 재공품이 줄어들면 생산 품종을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M개 라인에서 서로 다른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M개의 라인에서 동일한 제품을 생산 할 수도 있으며 다른 제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도 있어 조립 라인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조 현장에서 모든 조립 라인들을 동시에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떤 제약 조건이 따르는가? 일반적으로 제조 현장에는 여러 개의 조립 라인이 있으며, 모든 조립 라인들을 동시에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많은 제약 조건이 따른다. 예를 들어 생산에 지장을 주어 납기가 지연된다든지 컨베이어 개조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거나 작업자의 다 기능 훈련에도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개선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절차는 시범라인선정, 기존라인분석, 다기능훈련실시, 라인 작업변경, 라인변경, 개선 후 생산성분석 및 효과 파악, 동기부여 및 성과 공유의 순으로 진행되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립 라인에 대한 연구 유형으로 무엇이 있는가? 소 품종 대량 생산 체제에 적합한 생산 방식인 컨베이어를 이용한 조립 생산 라인은 많은 기업에서 채택하고 있지만 작업 편성의 낭비, 생산의 유연성 결여 등의 문제점을 노출하여 왔으며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주로 대기업의 생산 제품을 중심으로 조립 라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조립 라인에 대한 연구 유형으로는 생산 라인의 형태에 따라 컨베이어 생산 방식을 포함한 직렬 조립 라인의 균형 효율(Line Balancing) 및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와 U자 조립 라인 및 셀(Cell) 형 조립 라인에 대한 연구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컨베이어 및 직렬 조립 라인과 관련된 연구로는, Jo et al.
컨베이어를 이용한 조립 생산 라인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소 품종 대량 생산 체제에 적합한 생산 방식인 컨베이어를 이용한 조립 생산 라인은 많은 기업에서 채택하고 있지만 작업 편성의 낭비, 생산의 유연성 결여 등의 문제점을 노출하여 왔으며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주로 대기업의 생산 제품을 중심으로 조립 라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조립 라인에 대한 연구 유형으로는 생산 라인의 형태에 따라 컨베이어 생산 방식을 포함한 직렬 조립 라인의 균형 효율(Line Balancing) 및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와 U자 조립 라인 및 셀(Cell) 형 조립 라인에 대한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bhishek, D. (2012), Line Balancing, Today and Tomorrow, Lambert Academic Publishing. 

  2. Andreasen, M.-M., Kahler, S., Lund, T., and Swift, K.-G. (1988), Design for Assembly (2nd ed.), IFS Publications. 

  3. Beverly, T. (2012), The Basics of Line Balancing and JIT Kitting, CRC Press. 

  4. Cachon, G. and Terwiesch, C. (2013), Matching Supply with Demand (3rd ed.), McGraw-Hill, Korean edition by McGraw-Hill Education Korea. 

  5. Choi, K.-S., Park, K.-A., and Yun, Y.-S. (2011), An Methodology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Using Simulation Technique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for Industry and Economics, 24(4), 1969-1987. 

  6. Gerald, R.-A., Olson, J.-R., and Schniederjans, M.-J. (2004), U-Shaped Assembly Line Layouts and Their Impact on Labor Productivity : An Experimental Study,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56(3), 698-711. 

  7. Gordon, G. (2012), The Basics of Self Balancing Processes, CRC Press. 

  8. Groover, M.-P. (2007), Automation, Production System, and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Prentice Hall. 

  9. Hope, W. J., Hope, W., Spearman, M. L. (2000), Factory Physics : Foundations of Manufacturing Management, McGraw-Hill, Korean edition by Hankyungsa. 

  10. Jo, J.-Y. and Kim, Y.-K. (2012), An Endosymbiotic Evolutionary Algorithm for Balancing and Sequencing in Mixed-Model Two-Sided Assembly Lines, Management Science, 37(3), 39-55. 

  11. Jo, K.-K. and Kim, Y.-K. (1993), A Study for Improvement of the Line Balancing in Assembly Line, Proceedings of the Spring Conference of Korea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335-337. 

  12. Koo, P.-H. (2009), Application of Bucket Brigades in Assembly Cells for Self Work Balancing, IE Interfaces, 22(2), 144-152. 

  13. Lee, S.-B. (2000), Modern Produc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Keungmunsa. 

  14. Lee, S.-Y., Hong, S.-H., and Kim, J.-H. (1998), A Process Improvement of the SMPS Assembly Line Using Motion Study and Line Balancing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11(3), 155-166. 

  15. Mok, H.-S., Cho, J.-R., and Pyo, S.-T. (2001), Implementation of Assembly Line and Line Balancing to Improve Assembly Productivity-A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18(8), 129-138. 

  16. Moon, S.-M., Kwon, K.-S., and Choi, G.-H. (2004), Line Balancing for The Mixed Model Assembly Line Considering Processing Time and Physical Workloads, IE Interfaces, 17(3), 282-293. 

  17. Nils, B., Malte, F., and Armin, S. (2007), A Classification of Assembly Line Balancing Problem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83, 674-693. 

  18. Riggs, J. L. (1987), Production System : Planning, Analysis and Control (4th ed.), John Wiley and Sons. 

  19. Shwetank, A., Rajeev, J., Mishra, P.-K., and Yadav, H.-C. (2013), A Heuristic Approach for U-Shaped Assembly Line Balancing to Improve Labor Productivity, Computers and Industrial Engineering, 64, 895-901. 

  20. Takeda, H. (1994), Intelligent Automation System, Korea Management Association Consulting. 

  21. Yang, Y., Jiafu, T., Jun, G., Yong, Y., and Ikou, K. (2014), Mathematical Analysis and Solution for Multi-Objective Line Cell Conversion Problem,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36(2), 774-786. 

  22. Yoon, C.-J., Rim, S.-C., Jang, J.-S., Park, S.-C., and Kwon, S.-J. (2004), Design of Automobile Line Using Assembly Cell Method, Proceedings of the Fall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395-402. 

  23. Yun, Y.-S. (2008), An Methodology for Improving Worker Utilization and Productivity of Part Assembly Line by 3D Simul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for Industry and Economics, 21(6), 2803-28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