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양상
Investigation of Weed Flora in Pastures in Jeju Island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4 no.1, 2015년, pp.10 - 17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김창석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이정란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황경준 (한국공항 제주사업팀) ,  김경훈 ((주)경농) ,  김미선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송희근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목초지 문제 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3년 5월과 7월에 2회 실시하였다. 제주지역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는 49과 207초종으로 일년생잡초가 전체의 32%를 차지하는 67종, 월년생잡초가 19%로 39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49%로 101종이었다. 그리고 과별로 보면, 국화과 17%, 화본과 15%, 마디풀과 8%, 장미과 7%, 콩과 6%, 석죽과, 십자화과, 꿀풀과 각각 3%순으로 발생하였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로는 돌소리쟁이, 토끼풀, 쑥, 질경이, 가락지나물, 애기수영 등의 순이었다. 외래잡초는 22과 68초종으로 전체 32.9%를 차지하였으며, 이 중에서 돌소리쟁이, 토끼풀, 애기수영, 점나도나물 등은 향후 제주도 목초지에서 문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목초지와 산지와의 경계부분에서 청미래덩굴, 뱀딸기, 용가시 등의 목본식물도 발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weed flora in pastures in Jeju island of Korea an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controlling them occurred in the pastures. Weed flora was investigated twice, May and July on 2003. There were a total of 207 weed species including 49 famil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목초지를 강한 예취를 해서 잡초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목초지 면적이 줄어가고, 농가 일손이 부족한 현시점에서 충분한 대안이 될 수 있을 지 의문이다.
  • 그 후 2013년부터 다시 새롭게 3년 동안 목초지잡초를 제주지역, 대관령지역, 서산지역을 나눠서 조사하였고 할 예정이다. 따라서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발생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서 2013년도에 제주도 목초지를 대상으로 잡초 조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제주도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목초지 문제 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3년 5월과 7월에 2회 실시하였다. 제주지역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는 49과 207초종으로 일년생잡초가 전체의 32%를 차지하는 67종, 월년생잡초가 19%로 39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49%로 101종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경지에서 잡초 분포조사는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 농경지에서 잡초 분포조사는 정해진 장소, 일정한 주기로 실시되어야만 잡초발생 양상 등의 변화를 파악하여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논은 경지 면적이 제일 넓고 중요한 관계로 1970년부터 2013년까지 10년 단위로 총 5회 실시되어 시대별 제초제 사용패턴 등 잡초방제법에 따라 잡초군락 변화를 알 수 있는 좋은 정보를 제공하였다(Oh et al.
제주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중 우점도가 높은 잡초는 무엇인가? 그리고 과별로 보면, 국화과 17%, 화본과 15%, 마디풀과 8%, 장미과 7%, 콩과 6%, 석죽과, 십자화과, 꿀풀과 각각 3%순으로 발생하였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로는 돌소리쟁이, 토끼풀, 쑥, 질경이, 가락지나물, 애기수영 등의 순이었다. 외래잡초는 22과 68초종으로 전체 32.
제주지역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는 과별로 무엇이 발생하는가? 제주지역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는 49과 207초종으로 일년생잡초가 전체의 32%를 차지하는 67종, 월년생잡초가 19%로 39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49%로 101종이었다. 그리고 과별로 보면, 국화과 17%, 화본과 15%, 마디풀과 8%, 장미과 7%, 콩과 6%, 석죽과, 십자화과, 꿀풀과 각각 3%순으로 발생하였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로는 돌소리쟁이, 토끼풀, 쑥, 질경이, 가락지나물, 애기수영 등의 순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Zweite, umgearbeitete und vermehrte Auflage. Springer-Verlag: Wien. p. 865. 

  2. Chang, Y.H., Kim, C.S. and Youn. K.B. 1990. Weed occurrence in upland crop fields of Korea. Kor. J. Weed Sci. 10(4):294-304. (In Korean) 

  3. Curtis, J.T. and Mc Intosch, R.P. 1950. The inte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4. Jung, J.S., Lee, J.S. and Choi, C.D. 1997. Weed occurrence in apple orchard in Korea. Kor. J. Weed Sci. 17(2):147-156. (In Korean) 

  5. Kim, K.U., Kim, S.H., Kim, C.G., Kim, J.H. and Shin, D.H. 1988. Weed flora of range area in Cheju island in Korea. Kor. J. Weed Sci. 8(3):291-298. (In Korean) 

  6. Kim, K.U. and Shin, D.H. 2007. Principle of weed control. Kyungpook National Univ. Press, Daegu, Korea. p. 22. (In Korean) 

  7. Kim, S.C. 1983. Status of paddy weed flora and community dynamics in Korea. Kor. J. Weed Sci. 3(2):223-245. 

  8. Ko, Y.W., Chae, J.C. and Kim, B.K. 1999.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in agricultural lands of Cheju island. Kor. J. Weed Sci. 19(1):70-82. (In Korean) 

  9.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Gyeonggi-do. Korea. 

  10. Kwon, Y.W. 1971. Short review of weed control and herbicides using for cultivating of forage crops on Korea. Kor. J. Crop Sci. 9(1):61-74. (In Korean) 

  11. Ha, H.Y., Hwang, K.S., Suh, S.J., Lee, I.Y., Oh, Y.J., et al. 2014. A survey of weed occurrence on paddy field in Korea. Weed Turf. Sci. 3(2):71-77. (In Korean) 

  12. Oh, Y.J., Ku, Y.C., Lee, J.H. and Ham, Y.S. 1981.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paddy field in Korea. 1981. Kor. J. Weed Sci. 1(1):21-29. (In Korean) 

  13. Park, J.E., Lee, I.Y., Kim, C.S., Oh, S.M., Park, T.S., et al. 2006a. Weed flora of pasture in Korea. Kor. J. Weed Sci. 26(1):29-49. (In Korean) 

  14. Park, J.E., Lee, I.Y., Kim, C.S., Moon, B.C., Kwon, O., et al. 2006b.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pasture of the Jeju Island. Kor. J. Weed Sci. 26(1):19-28. (In Korean) 

  15. Park, J.E., Lee, I.Y., Moon, B.C., Kim, C.S., Park, T.S., et al. 2001.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rice paddy field of Korea. Kor. J. Weed Sci. 21(4):327-334. (In Korean) 

  16. Park, J.E., Lee, I.Y., Moon, B.C., Kim, C.S., Park, T.S., et al. 2002.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weed flora in rice paddy field. Kor. J. Weed Sci. 22(3):272-279. (In Korean) 

  17. Park, J.E., Lee, I.Y., Oh, S.M., Park, T.S., Kim, C.S., et al. 2005.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and weed community on orchard field in the Korea. Kor. J. Weed Sci. 25(4):267-274. (In Korean) 

  18. Park, J.E., Lee, I.Y., Park, T.S., Lim, S.T., Moon, B.C., et al. 2003.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upland field in Korea. Kor. J. Weed Sci. 23(3):277-284. (In Korean) 

  19. Park, K.H., Oh, Y.J., Ku, Y.C., Kim, H.D., Sa, J.K., et al. 1995. Change of weed community in lowland rice field in Korea. Kor. J. Weed Sci. 15(4):254-261. (In Korean) 

  20.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Inc., Seoul, Korea. (In Korean) 

  21. Raunkiaer, C. 1934.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 UK. 

  22. Ryang, H.S., Chun, J.C. and Hwang, I.T. 1984. Change in weed flora with season and cultivated crop and land. Kor. J. Weed Sci. 4(1):4-10. (In Korean) 

  23. Wikum, D.A. and Shanholtzer, G.F. 1978. Application of the Braun-Blanquet cover-abundance scale for vegetation analysis in land development studies. Envir. Manag. 2(4):323-329. 

  24. Woo, I.S. and Pyon, J.Y. 1988. Characterization of weed occurrence in apple orchards. Kor. J. Weed Sci. 8(2):164-16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