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조를 통한 문학치료 연구
A Study on the Literature Therapy Using Sijo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1 no.1, 2015년, pp.37 - 64  

박인과 (경북대학교 문학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조의 정격의 틀에 존재하는 문학치료적 의미구조를 추출하고 시조의 문학치료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문학 혹은 문장의 문학치료적 기제가 인체생리학적으로 인체의 신경계에 어떻게 대입되어 치료를 시행하는 지에 대해 분석하면서 이루어졌다. 그래서 그러한 인체생리학적 기전과 문학치료적 기제들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치료적 효과를 산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문학 및 의학적인 서적들의 내용을 오프라인의 활동과 온라인 페이스북 그룹활동인 '시조야 놀자' 프로그램에 활용하며 각종 공모전 등을 시행하며 분석했다. 본 연구를 위하여 3 년 간 프로그램을 시행했는데 빠른 기간 안에 488명 중에서 27명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다. 그리고 각종 공모전 등을 통해 전문 시인들이 탄생되었다. (사)한국시조사랑시인협회에는 19명이 회원으로 가입하여 시조의 세계화에 뜻을 두고 활동하게 되었다. 그들의 적극적인 활동은 문학치료적 효과로 삶의 질이 한층 향상되었음을 보여주는 근거가 되었다. 문학치료 효과는 트라우마가 많은 창작자들,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조는 문학치료 효과를 가장 신속적으로 진행시키며 삶의 질을 상승시키게 되는 문학 형태로 판단되었다. 그래서 날로 상승되는 우울증 및 정서적 고립감과 각종 병증 등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 시조의 창작 등 시조를 통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상시적인 문학치료적 접근의 전문화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echnical research paper attempts to examine literatur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Sijo.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therapeutic mechanisms of literature or sentence can be physiologically applied to human nerve system. To study such interactions between therapeutic mechanisms of literatu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학의 치료적 기능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문학텍스트는 창작적(인체 내부 반응)으로 시각적(독서)으로 청각적(낭송)으로 인체의 감각기관에 스며들거나 이미 무의식화 되어있는 인체 내의 서사를 깨우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인체 내의 긍정적이며 창조적이며 치료적인 시냅스(Synapse) 작용을 유도한다. 이것이 문학의 치료적 기능이다.
시조의 문장뉴런이 인체의 뉴런에 접근하는 경로는 어떠한가? 1) 시각을 통한 경로 : 시조의 텍스트 → 눈 → 시각 정보의 부호화 → 시조의 텍스트에 맞는 인체 뉴런에의 접근 → 문학치료적 기전 발생 2) 청각을 통한 경로 : 시조의 텍스트 → 공기 압력파 → 청각 정보의 부호화 → 시조의 텍스트에 맞는 인체 뉴런에의 접근 → 문학치료적 기전 발생 3) 체감각을 통한 경로 : 청각과 시각과 인지활동을 통한 인체의 무의식 및 새로운 기억의 부호화 → 인체 내부에서 새롭게 변화된 시조의 텍스트의 정보에 반응하는 인체 뉴런에의 접근 → 체감각을 통한 인체 뉴런의 활성화-모든 인지 및 감각과 느낌의 활성화 → 문학치료적 기전 발생
고전을 읽으면서 치료적 희열이나 감동으로 호르몬이 발생한다면 이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만약 우리가 고전을 읽으면서 치료적 희열을 느끼거나 감동을 받아서 인체 내에서 감동의 호르몬이 발생한다면 고전이 현재의 우리에게 전이적 작용을 일으켜 치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서 고전과 현대의 사이에서, 문학과 인간의 사이에서 시냅스 작용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시냅스 작용은 문학적 텍스트가 자신에게 맞는 인체의 뉴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Park, Ingwa. The Form and Application of Sijo. (Daehanmundan, Seoul: 2013). 33.(박인과. 時調의 型式과 活用(韓國文壇, 서울: 2013). 33.) 

  2. Park, Chanbu. Eros and Death.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3) 44.(박찬부. 에로스와 죽음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44.) 

  3. Jeong, Woonchae. Theoretical Foundation of Literature Therapy. (Seoul: Literature and Therapy Publishers, 2007). 369.(정운채. 문학치료의 이론적 기초 (서울: 도서출판 문학과 치료, 2007). 369.) 

  4. Baars, Bernard J and Nicole M. Gage. Bonggyun Kang, trans. Cognition Brain and Consciousness. 1E. (Paju: Kyobo Books, 2010). 183-184.(Baars Bernard j. Gage Nicole M. Cognition, Bra in, and Consciousness. 1E. 강봉균 역. 인지, 뇌, 의식 1판 (파주: 교보문고, 2010). 183-184.) 

  5. Cooper, Geoffrey M and Robert E. Jinseok Jeon et al, trans. Hausman. The Cell: A Molecular Approach. (Seoul: World Science, 2011). 4-12.(Cooper Geoffrey M. Hausman Robert E. THE CELL A Molecular Approach. 전진석 외 14인 공역. 세포학 (서울: 월드사이언스, 2011). 4-12.) 

  6. Pischer, Kurt. Jaehyeon Park, trans. Theory of Relativity (Seoul: Gbrain, 2013). 156-157.(Pischer Kurt. Theory Of Relativity. 박재현 역.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서울: Gbrain, 2013). 156-1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