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수장 슬러지 농축조 배출수의 망간 농도에 미치는 pH의 영향
Influence of pH on Mn Concentration of Effluent from Sludge Thickener of Water Treatment Plant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6 no.5, 2015년, pp.27 - 33  

김연정 (Center for Instrumental Analysi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이승은 (Handong Industry Ltd.) ,  백승철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  김태희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수공정 중에 응집된 망간슬러지 농축조에 체류하는 동안 재용출 되어 배출수의 망간 허용기준치를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수공정 중에 슬러지 농축조 배출수의 pH를 조정함으로써 망간 농도에 미치는 pH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초기 pH 6.1에서는 응집된 슬러지로부터 망간이 재용출 되어 청정지역 배출 기준인 2mg/L를 초과하였으나 NaOH, KOH, CaO, $Ca(OH)_2$, $CaCO_3$ 등 알칼리 물질을 이용하여 pH를 상승시켰을 경우 망간 농도를 청정지역 배출 기준 이하로 낮출 수 있었다. 또한 알칼리성 물질로서 석회석 광산에서 선별과정 중 발생하는 폐석회석을 이용하여 정수장 슬러지의 망간 재용출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ganese in sludge precipitated during water treatment might be soluble again in effluent from sludge thickener. If that happens, the manganese concentration of effluent from water treatment plant will exceed the limit for clean reservation.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pH on Mn concentrat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정수공정에서 발생되는 응집 슬러지로부터 망간의 재용출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정수장 슬러지의 성상을 분석하고 정수장 슬러지로부터 용출된 용존성 망간용액에 NaOH, KOH, CaO, Ca(OH)2, CaCO3의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하여 pH에 따른 망간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폐석회석을 이용하여 pH를 제어함으로써 정수장 슬러지 용액으로부터 망간 재용출을 억제 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폐석회석은 석회석 광산에서 채굴되어 고품위 석회석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CaCO3 함량이 낮아 활용 가치가 없는 저품위 석회석으로서, 이러한 폐석회석을 이용하여 정수장 배출수의 망간 농도 억제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또한 폐석회석을 이용하여 pH를 제어함으로써 정수장 슬러지 용액으로부터 망간 재용출을 억제 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폐석회석은 석회석 광산에서 채굴되어 고품위 석회석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CaCO3 함량이 낮아 활용 가치가 없는 저품위 석회석으로서, 이러한 폐석회석을 이용하여 정수장 배출수의 망간 농도 억제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수과정에서 망간 제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이 먹는 물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이고 정수장의 슬러지 농축조에서 배출되는 방류수의 망간을 제어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수공정에서 발생되는 응집 슬러지로부터 망간의 재용출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정수장 슬러지의 성상을 분석하고 정수장 슬러지로부터 용출된 용존성 망간용액에 NaOH, KOH, CaO, Ca(OH)2, CaCO3의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하여 pH에 따른 망간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폐석회석을 이용하여 pH를 제어함으로써 정수장 슬러지 용액으로부터 망간 재용출을 억제 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망간이란 무엇인가? 망간은 지각의 약 0.1%를 차지하며 열두 번째로 풍부한 원소로서(Bever, 1985) 주로 산화물로 존재한다. 정수장에서 취수되는 원수의 망간 농도는 토양, 기후, 온도 등에 따라 큰 폭으로 변화하며 수중에서 이온이나 콜로이드로 존재하고 현탁 미립자에 흡착되어 있다.
방류수의 수질도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정수시설에서는 생산 제품인 먹는 물의 수질과 함께 방류수의 수질도 중요하다.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수돗물을 생산하는 정수장의 배출수 처리시설은 1996년부터 폐수배출시설로 분류되어 최종 방류수는 폐수종말처리시설 방류수 수질 기준 및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계절별로 수돗물의 사용량에 큰 차이가 있으므로 계절에 따라 정수 공정 조건이 다르다.
용존성 망간의 제거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용존성 망간의 제거방법으로는 폭기, 염소, 과망간산칼륨, 오존 등의 산화에 의한 방법(Gantzer et al., 2009; Jung et al., 2001), 망간사 표면에서 빠른 산화가 일어나도록 접촉시키는 접촉산화법(Kim et al., 2005), 수소이온을 사용한 이온교환법 또는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Tekerlekopoulou et al., 2008) 등이 있다. 이 외에 천연 흡착제로 활성탄(Emmanuel & Veerabhadra Rao, 2009; Juso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mforth, S. M., Manning, D. A. C., Singleton, I., Younger, P. L. and Johnson, K. L. (2006), Manganese removal from mine waters - investigating the occurrence and importance of manganese carbonates, Applied Geochemistry, Vol. 21, No. 8, pp. 1274-1287. 

  2. Bever, M. B. (1985), Encyclopedia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Pergamon Press, Elmsford, N.Y., pp. 2730-2731. 

  3. Choi, I. G., Beak, I. H., Jeong, C. W., Lee, S. J. and Park, J. W. (2014), The aeration to improve manganese and chloroform of effluent at sludge thickener of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lant, J. Kor. Environ. Eng., Vol. 36, No. 2, pp. 113-118 (in Korean). 

  4. Doula, M. (2006), Removal of $Mn^{2+}$ ions from drinking water by using clinoptilolite and a clinoptilolite-Fe oxide system, Water Research., Vol. 40, Issue 17, pp. 3167-3176. 

  5. Elsner, R. J. F. and Spangler, J. G. (2005), Neurotoxicity of inhaled manganese: public health danger in the shower?, Medical Hypotheses, Vol. 65, Issue 3, pp. 607-616. 

  6. Emmanuel, K. A. and Veerabhadra Rao, A. (2009), Comparative study on adsorption of Mn(II) from aqueous solutions on various activated carbons, E-Journal Chem., Vol. 6, No. 3, pp. 693-704. 

  7. Gantzer, P. A., Bryant, L. D. and Little, J. C. (2009), Controlling soluble iron and manganese in a water-supply reservoir using hypolimnetic oxygenation, Water Research, Vol. 43, Issue 5, pp. 1285-1294. 

  8. Jusoh, A., Cheng, W. H., Low, W. M., Nora'aini, A. and Megat Mohd Noor, M. J. (2005), Study on the removal of iron and manganese in groundwater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Desalination, Vol. 182, No. 1-3, pp. 347-353. 

  9. Jung, S. W., Lee, J. P. and Kim, H. S. (2001), Removal of manganese by oxidation and filtration in water treatment, J. Kor. Soc. Environ. Eng., Vol. 23, No. 4, pp. 661-669 (in Korean). 

  10. Kim, J. K., Jeong, S. G., Kim, J. S. and Park, S. J. (2005), Manganese removal in water treatment processes, J. Kor Soc Water Waste., Vol. 19, No. 5, pp. 595-604 (in Korean). 

  11. Moon, Y. T, and Kim, B. G. (2006), Considering factors for operating residuals treatment facilities in water Treatment Plants, J. Kor. Soc. Water Waste., Vol. 20, No. 5, pp. 653-659 (in Korean). 

  12. Silva, A. M., Cunha, E. C., Silva, F. D. R. and Leao, V. A. (2012), Treatment of high-manganese mine water with limestone and sodium carbonate, Cleaner Production, Vol. 20, No. 1, pp. 11-19. 

  13. Taffarel, S. R. and Rubio, J. (2009), On the removal of $Mn^{2+}$ ions by adsorption onto natural and activated chilean zeolites, Mineral Engineering, Vol. 22, Issue 4, pp. 336-343. 

  14. Tekerlekopoulou, A. G., Vasiliadou, I. A. and Vayenas, D. V. (2008), Biological manganese removal from potable water using trikling filters, Biochemical Engineering Journal, Vol. 38, Issue 3, pp. 292-301. 

  15. Yavuz, O., Altunkaynak, Y. and Guzel, F. (2003), Removal of copper, nickel, cobalt and manganese from aqueous solution by kaolinite, Water Research, Vol. 37, Issue 4, pp. 948-9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