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동 개인셀 원문보기

정보와 통신 : 한국통신학회지 = Information & communications magazine, v.32 no.4, 2015년, pp.64 - 71  

채승엽 (동국대학교) ,  임민중 (동국대학교) ,  강충구 (고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정 기지국 및 셀룰러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4G 네트워크 모델이 사용자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안에 존재해야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 중심인데 반해서, 5G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 없이 최적의 경험이 사용자를 따라 다니는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크 모델이 제공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동 개인셀 기술은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크를 실현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는 무선 백홀 기반의 초소형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이동 개인셀 기술의 여러 가지 용도와 이동 개인셀로 인한 성능 향상에 대해 논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5G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2][3]. 4G 시스템에서는 셀 경계에 있는 사용자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받지 못하는데 반해서 5G 시스템에서는 위치에 상관 없이 모든 사용자에게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5G 시스템은 4G 시스템에 비해서 높은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낮은 지연, 낮은 전력, 많은 수의 디바이스 연결, 높은 이동성 등 다양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4][5][6].
  • 본 고에서는 이동 개인셀 기술의 여러 가지 용도와 이동 개인셀로 인한 성능 향상에 대해서 논하였다. 이동 개인셀 기술은 첫째, 고정 소형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확장함으로써 모든 단말에게 충분한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 본 절에서는 이동 개인셀을 통한 성능 향상에 대해서 간단한 형태의 실험을 통해서 살펴본다.
  • 본고에서는 이동 개인셀의 여러 용도와 그로 인한 성능 향상을 살펴 봄으로써 이동 개인셀의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실제 전송과 관련된 스케줄링, 간섭제어 등은 포함하지 않았으며 셀 간 간섭이나 다중홉 릴레이에 의한 성능 저하도 고려하지 않았다. 각 단말은 1Gbps의 전송률을 요구하며 초소형 고정 기지국 및 이동 기지국은 20m 거리의 커버리지 반경을 가지고, 각각 10Gbps의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할 수 있으며 간섭 상황과 상관 없이 각각 최대 10개의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실험 영역은 한 개의 마크로 기지국에 의해서 관리되며 마크로 기지국은 5Gpbs의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할 수 있고 초소형 고정 기지국과 연결이 되지 않은 최대 5개의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 이동 기지국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각 디바이스는 이동 기지국이 가장 가까이 왔을 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각 디바이스는 기지국이 받는 신호대잡음비에 맞추어 데이터 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채널용량 계산을 통해서 일정한 데이터 양을 전송할 때의 시간을 구하였다.
  • 이 경우 매우 느린 차량이나 매우 빠른 차량은 다른 이동셀로 넘어가는 핸드오버가 여러 번 발생하게 된다. 다른 이동 개인셀로의 핸드오버를 줄이기 위해서 이동 개인셀의 종류가 N개라고 할 때 이동 개인셀은 각 종류별로 다른 이동속도를 가지며 각 종류별로 1Km 간격으로 출발한다고 가정하였다. 디바이스가 가장 비슷한 이동속도를 가지는 이동 개인셀에 연결될 수 있다고 가정할 때 이동 개인셀의 이동속도가 다양하면 이동 개인셀을 넘어 다니는 핸드오버는 감소하게 된다.
  • 다른 이동 개인셀로의 핸드오버를 줄이기 위해서 이동 개인셀의 종류가 N개라고 할 때 이동 개인셀은 각 종류별로 다른 이동속도를 가지며 각 종류별로 1Km 간격으로 출발한다고 가정하였다. 디바이스가 가장 비슷한 이동속도를 가지는 이동 개인셀에 연결될 수 있다고 가정할 때 이동 개인셀의 이동속도가 다양하면 이동 개인셀을 넘어 다니는 핸드오버는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 개인셀의 종류가 증가할수록 이동 개인셀의 수가 많아지게 되며 따라서 이동 기지국이 고정 기지국을 넘어 다니는 핸드오버의 수는 N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 각 단말은 1Gbps의 전송률을 요구하며 초소형 고정 기지국 및 이동 기지국은 20m 거리의 커버리지 반경을 가지고, 각각 10Gbps의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할 수 있으며 간섭 상황과 상관 없이 각각 최대 10개의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실험 영역은 한 개의 마크로 기지국에 의해서 관리되며 마크로 기지국은 5Gpbs의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할 수 있고 초소형 고정 기지국과 연결이 되지 않은 최대 5개의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실험은 활성화된 단말의 밀도를 1Km 제곱면적 당 25에서 5000개까지 변화시키면서 초소형 고정 기지국의 밀도 DF가 클 때(500/Km2)와 작을 때(250/Km2), 그리고 초소형 고정 기지국과 단말이 단일홉으로만 연결이 될 때와 이동 개인셀을 이용하여 다중홉으로 연결이 될 수 있을 때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 실험은 활성화된 단말의 밀도를 1Km 제곱면적 당 25에서 5000개까지 변화시키면서 초소형 고정 기지국의 밀도 DF가 클 때(500/Km2)와 작을 때(250/Km2), 그리고 초소형 고정 기지국과 단말이 단일홉으로만 연결이 될 때와 이동 개인셀을 이용하여 다중홉으로 연결이 될 수 있을 때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이동 개인셀의 밀도는 활성화된 단말의 밀도와 비례한다고 가정하였다.
  • 이동 개인셀을 사용하는 경우 이동 기지국은 고정 기지국과 연결이 되므로 정해진 구간 동안 10번의 핸드오버가 발생하지만, 이동 기지국을 제외한 다른 단말은 이동 기지국과 연결이 되므로 이동 기지국과의 이동 속도 차이가 거의 없다면 핸드오버 없이 이동할 수 있다. 이동 개인셀의 종류가 한 종류만 있다고 가정할 때는 이동 기지국은 모두 100Km/h의 속도로 이동하며 1Km 간격으로 출발한다고 가정하였다. 이 경우 매우 느린 차량이나 매우 빠른 차량은 다른 이동셀로 넘어가는 핸드오버가 여러 번 발생하게 된다.
  • 76이며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은 고정기지국이 셀 경계 디바이스들로부터 받는 신호의 신호대잡음비가 -10dB가 되도록 하였다. 이동 기지국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각 디바이스는 이동 기지국이 가장 가까이 왔을 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각 디바이스는 기지국이 받는 신호대잡음비에 맞추어 데이터 전송률을 결정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채널용량 계산을 통해서 일정한 데이터 양을 전송할 때의 시간을 구하였다.
  • 실험에서는 <그림 2>와 같이 고속도로의 한 방향만을 고려하여 이동셀을 사용하지 않을 때 <그림 2(a)>에 비해서 이동셀을 사용할 때 <그림 2(b)>핸드오버의 수가 얼마나 감소되는가를 실험하였다. 차량의 이동속도는 70Km/h에서 130Km/h까지 균등한 분포를 가정하였으며, 차량은 시작점을 20m의 일정한 간격으로 출발하여 11Km의 정해진 구간을 이동한다고 가정하였다. 기지국은 1Km 간격으로 일렬로 놓여 있으며 따라서 이동 개인셀이 없는 경우 각 디바이스는 11Km 구간을 이동하는 동안 10번의 핸드오버가 발생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높은 데이터 전송률, 낮은 지연, 낮은 전력 등과 같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어떤 기술들이 필요한가? 또한 5G 시스템은 4G 시스템에 비해서 높은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낮은 지연, 낮은 전력, 많은 수의 디바이스 연결, 높은 이동성 등 다양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4][5][6]. 이와 같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타입의 반송파 및 밀리미터 웨이브 등 높은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넓은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새로운 다중접속 및 대규모 다중안테나 기술 등을 이용한 주파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 스몰셀 기술 등 기지국의 밀집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 D2D(Device-to-Device) 통신, 비면허 대역의 사용, 무선LAN(Local Area Network) 시스템과의 연동, 인지무선(cognitive radio) 기술의 활용 등 데이터 오프로딩(data offloading)을 하기 위한 기술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7][8][9].
이동 개인셀 기술이란? 고정 기지국 및 셀룰러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4G 네트워크 모델이 사용자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안에 존재해야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 중심인데 반해서, 5G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 없이 최적의 경험이 사용자를 따라 다니는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크 모델이 제공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동 개인셀 기술은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크를 실현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는 무선 백홀 기반의 초소형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이동 개인셀 기술의 여러 가지 용도와 이동 개인셀로 인한 성능 향상에 대해 논한다.
5G 시스템의 목표는 무엇인가? 고정 기지국 및 셀룰러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4G 네트워크 모델이 사용자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안에 존재해야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 중심인데 반해서, 5G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 없이 최적의 경험이 사용자를 따라 다니는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크 모델이 제공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동 개인셀 기술은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크를 실현하기 위하여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는 무선 백홀 기반의 초소형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G. Andrews, "Seven Ways that HetNets Are a Cellular Paradigm Shift,"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51, no.3, pp.136-144, Mar. 2013. 

  2. T. Nakmura, S. Nagata, A. Benjebbour, Y. Kishiyama, T. Hai, S. Xiaodong, Y. Ning, and L. Nan, "Trends in Small Cell Enhancements in LTE Advanced,"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51, no.2, pp.98-105, Feb. 2013. 

  3. C. Hoymann, D. Larsson, H. Kooraphty, and J.F. Cheng, "A Lean Carrier for LTE,"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51, no.2, pp.74-80, Feb. 2013. 

  4. E. Dahlman, G. Mildh, S. Parkvall, J. Peisa, J. Sachs, Y. Selen, and J. Skold, "5G Wireless Access: Requirements and Realization,"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52, no.12, pp.42-47, Dec. 2014. 

  5. 김근영, 이상호, 김영진, "5G 통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 30권 1호, pp.1-11, Feb. 2015. 

  6. A. Osseiran, F. Boccardi, V. Braun, K. Kusume, P. Marsch, M. Maternia, O. Queseth, M. Schellmann, H. Schotten, H. Taoka, H. Tullberg, M. Uusitalo, B. Timus, and M. Fallgren, "Scenarios for 5G Mobil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The Vision of the METIS Project,"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52, no.5, pp.26-35, May 2014. 

  7. W. Chin, Z. Fan, and R. Haines, "Emerging Technologies and Research Challenges for 5G Wireless Networks,"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vol.21, no.2, pp.106-112, Apr, 2014. 

  8. METIS 2020 Deliverable D6.2, "Initial Report on Horizontal Topics, First Results and 5G System Concept," Apr. 2014. 

  9. C. Wang, F. Haider, X. Gao, X. You, Y. Yang, D. Yuan, H. Aggoune, H. Haas, S. Fletcher, and E. Hepsaydir, "Cellular Architecture and Key Technologies for 5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52, no.2, Feb. 2014. 

  10. F. Heider, H. Wang, D. Yuan, H. Wang, X. Gao, X. You, and E. Hepsaydir, "Spectral Efficiency Analysis of Mobile Femtocell Based Cellular Systems, ICCT, pp.347-351, 2011. 

  11. Y. Sui, J. Vihriala, A. Papadogiannis, M. Sternad, W. Yang, T. Svensson, "Moving Cells: A Promising Solution to Boost Performance for Vehicular Users," IEEE Communication Magazine, pp.62-68, June 2013. 

  12. 신재승, 오성민, 박애순, 송평중, "5G 이동셀 기술 및 표준화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0권 1호, pp.21-33, Feb. 2015. 

  13. 정희상, 조대순, 최성우, 최승남, 오현정, 김준형, 회빙, 신성문, 김일규, 방승찬, "모바일 핫스팟을 위한 이동무선백홀 기술동향 분석," 전자통신동향분석, 제 30권 1호, pp.12-20, Feb. 2015. 

  14. X. Wang, M. Chen, T. Taleb, A. Ksentini, and V. Leung, "Caching in the Air: Exploiting Content Caching and Delivery Techniques for 5G Systems,"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52, no.2, Feb. 2014. 

  15. N. Golrezaei, A. Molisch, A. Dimakis, and G. Caire, "Femtocaching and Device-to-Device Collaboration: A New Architecture for Wireless Video Transmission,"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51, no.4, Apr. 2013. 

  16. E. Bastug, M. Bennis, and M. Debbah, "Living on the Edge: The Role of Proactive Caching in 5G Wireless Networks,"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52, no.8, pp.82-89, Aug. 2014. 

  17. 채승엽, 여규학, 임민중, 김황남, 강충구, 박애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릴레이 기반 네트워크," 한국통신학회 추계학술대회, 2013. 

  18. 채승엽, 여규학, 임민중, 김황남, 강충구, 박애순, "릴레이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밀도의 결정," 한국통신학회 추계학술대회, 2013. 

  19. 채승엽, 여규학, 임민중, 김황남, 강충구, "변화하는 단말 분포에서의 기지국 및 릴레이 분포," JCCI, 2014. 

  20. H. Kim, S. Yoo, J. Jung, H. Kim, C.G. Kang, M. Rim, "Augmenting Small Cell with Personal Area Cell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CUFN, pp.181-186, 2014. 

  21. 김현순, 유승호, 정종택, 김황남, 강충구, 임민중, "비주기적 인구이동에 따른 기존 기지국의 활용도 한계에 관한 연구," JCCI, 2014. 

  22. 채승엽, 여규학, 임민중, 김황남, 강충구, "다중 무선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릴레이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 JCCI, 2014. 

  23. 채승엽, 임민중, 김황남, 강충구, "이동셀의 무선백홀 성능향상을 위한 간섭제어," 한국통신학회 추계학술대회, 2014. 

  24. 채승엽, 임민중, 강충구, "서로 다른 이동속도를 가지는 디바이스들의 그룹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셀," 한국통신학회 동계학술대회, 2015. 

  25. 채승엽, 임민중, 강충구, "IoT 시스템에서 주기적 데이터 수집을 할 때의 이동셀을 이용한 전력소모 감소," 한국통신학회 동계학술대회,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