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Pv6 기본 개념 및 관련 기술의 이해 원문보기

정보와 통신 : 한국통신학회지 = Information & communications magazine, v.32 no.3, 2015년, pp.94 - 104  

김평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튜토리얼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기기 보급 확산으로 인한 모바일인터넷은 물론 사물인터넷 시대의 도래로 급격히 증가하는 인터넷 주소 수요로 인해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국내 외적으로 적용 확산을 위한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IPv6(IP version 6)의 기본 개념과 관련 기술을 표준화 및 논문연구를 중심으로 알기 쉽게 이해시키고자 한다. 첫 번째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 IPv4(IP version 4)와의 특징 비교와 주소 및 헤더를 통해 IPv6의 기본 개념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두 번째로, IPv4와 IPv6의 공존과정에서 IPv6의 연착륙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전환기술을 접근 방식과 세대별 분류를 통해 설명한다. 세번째로, 다양한 무선 환경에서의 이동단말의 연속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IPv6 이동성 기술을 중앙 집중형 및 분산형 관리 기반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네 번째로, IPv6 보안측면에서의 이슈를 다루고, 다섯 번째로로, 4세대 이동통신망(4G) 대비 10~1,000배의 연결 디바이스를 고려하고 있는 5세대 이동통신망(5G) 네트워크 환경에서 중요한 서비스로 간주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에서의 IPv6의 역할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국내외에서 진행된 대표적인 IPv6 상용서비스 사례를 제시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링크계층(L2) 핸드오버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L2 핸드오버 완료 이전에 네트워크계층 핸드오버를 미리 수행하는 고속 핸드오버 접근 방식이 IETF에서 고속 핸드오버 MIPv6(Fast Handover MIPv6, FMIPv6)란 이름으로 제안되었다. FMIPv6의 기본 개념은 L3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한 기술로서 새로운 링크 검출 시 즉각적인 데이터 송신을 가능케 하며 새로운 링크에 부착되는 즉시 MN으로 패킷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국내의 경우, 미래창조과학부가 IPv6 확산에 2017년까지 274억원 투입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2017년까지 주요 포털에서 IPv6 적용을 마무리하고 2022년까지 중소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 콘텐트사업자(CSP) 그리고 공공기관에서 80~100%도입률 달성 계획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절에서는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IPv6 상용 서비스를 SKT와 T-Mobile의 사례를 들어 간략하게 소개한다.
  • 본 튜토리얼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는 인터넷 주소 수요로 인해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적용 확산을 위한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IPv6의 기본 개념과 관련 기술을 표준화 및 논문연구를 중심으로 알기 쉽게 이해시키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호스트 기반 IPv6 이동성 기술의 경우 같은 HA에 접속하고 있는 모든 MN 대한 연결이 중단 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기반 IPv6 이동성 기술의 경우에는 전체 네트워크의 통신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로, 네트워크의 확장성에 취약하다. 급증하는 MN에 대해서 이를 처리하는 이동성 앵커가 하나이기 때문에, MN이 증가하고 MN들에 대한 이동성 지원 시그널링 메시지 및 단말의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처리의 수가 급증하면 단일 앵커에 부하가 걸릴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Pv6는 무엇인가? IPv6는 32비트로 구성된 기존 IPv4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고안되었으며 128 비트로 구성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이다. 이론적으로 본다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IPv4 주소는 약 43억(≒232) 개의 주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사설용으로 예약된 주소영역과 연구용으로 사용되는 특수영역을 제외한다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IPv4 주소의 수는 훨씬 적다.
듀얼스택의 큰 장점은 무엇인가? IP 스택 아래는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네트워크 카드를 사용 하여 IPv4와 IPv6 통신을 모두 함께 한다. 듀얼스택의 가장 큰장점은 IPv4와 IPv6가 가장 쉽게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IPv4 단일 프로토콜 환경에 비해 더많은 네트워크 자원을 소모하므로 성능저하가 예상되며 관리상의 복잡도가 증대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IPv4 헤더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는 무엇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 물론, IPv4에서도 헤더의 옵션 필드에 여러 가지 정보를 추가로 담을 있지만, 이로 인해 IPv4 헤더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변하게 된다. 이는 라우팅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IPv6에서는 기본 헤더는 20바이트로 고정이 되고 추가 정보를 포함할 경우 확장 헤더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본 헤더 길이의 가변적인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W. Stallings, "IPv6: The New Internet Protocol",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 34, No. 7, pp. 96-108, 1996. 

  2. A. Vallejo, J. Ruiz, J. Abella, A. Zaballos, and J.M. Selga, "State of the Art of IPv6 Conformance and Interoperability Testing",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 45, No. 10, pp. 140-146, 1996. 

  3. P. Roberts and M. Ford, "World IPv6 Launch: The Future is Forever", IETF Journal, Vol.8, No. 1, pp. 12, 2012. 

  4. T. Tsou, D. R. Lopez, J. J. Brzozowski, C. Popoviciu, C . Perkins, and D. Cheng , Exploring IPv6 Deployment in the Enterprise: Experiences of the IT Department of Futurewei Technologies, IETF Journal, Vol.8, No. 1, pp. 13-17, 2012. 

  5. 박수홍, "미래인터넷과 IPv6", 정보과학회지, 제31권, 제9호, pp. 34-40, 2013. 

  6. 고득녕, 김종민, IPv6 네트워크의 이해, 성안당, 2014. 

  7. M. Bagnul, A. Garcia-Martinez, and I. Van Beijnum, "The NAT64/DNS64 Tool Suite for IPv6 Transition",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0, No. 7, pp. 177-183, 2012. 

  8. P. Wu, Y. Cui, J. Wu, J. Liu, and C. Metz, "Transition from IPv4 to IPv6: A State-of-the-Art Survey", IEEE Communications Surveys & Tutorials, Vol. 15, No. 3, pp. 1407-1424, 2013. 

  9. 김평수, "IPv4/IPv6 전환기술 비교분석", Telecommunication Review, SK Telecom, Vol. 24, No. 3, pp. 419-432, 2014. 

  10. 김평수, "IPv4/IPv6 공존 환경에서 운용(Operation) 및 전환(Transition) 기술의 표준화 동향", 한국통신학회지, 정보와 통신 특집호, 제31권, 제9호, pp. 17-23, 2014. 

  11. M. Georgescu, H. Hazeyama, Y. Kadobayashi, and S. Yamaguchi, "Empirical Analysis of IPv6 Transition Technologies Using the IPv6 Network Evaluation Testbed", Lecture Notes of the Institute for Computer Sciences, Social Informatics and Telecommunications Engineering, Vol. 137, pp. 216-228, 2014. 

  12. N. Skoberne, O. Maennel, I. Phillips, R. Bush, J. Zorz, and M. Ciglaric, "IPv4 Address Sharing Mechanism Classification and Tradeoff Analysis", IEEE/ACM Trans. Netw., Vol. 22, No. 2, pp.391-404, 2014. 

  13. 유지영, 임준형, "IPv6 상용서비스를 위한 464XLAT 기술동향", TTA Journal,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Vol. 155, pp. 107-111, 2014년 9월. 

  14. 김평수, 김용진 "Seamless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IP 이동성 및 고속 핸드오버 기법", 한국통신학회지, 정보와 통신 특집호, 제26권, 제2호, pp.9-15, 2009. 

  15. 김평수 "다양한 IP 이동성 고속 핸드오버 기법 분석 및 새로운 고속 핸드오버 Proxy Mobile IPv6 기법 제안",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8권, 제1호, pp. 165-177, 2009. 

  16. S. Wang, Y. Cui, S.K. Das, W. Li, and J. Wu, "Mobility in IPv6: Whether and How to Hierarchize the Network?", IEEE Transactions on Parallel and Distributed Systems, Vol. 22, No. 10, pp. 1722-1729, 2011. 

  17. L. J. Zhang and S. Pierre, "Mobility Support for IPv6-based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s: A Survey of Related Protocols", International Journal of Wireless Networks and Broadband Technologies, Vol. 2, No. 3, pp. 18-41. 2012. 

  18. J.-H Lee, J.-M. Bonnin, I. You, and T.-M. Chung, "Comparative Handover Performance Analysis of IPv6 Mobility Management Protocol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0, No. 3, pp. 1077-1088, 2013. 

  19. P. S. Kim, "An Optimized Vertical Inter-MAP Handover Scheme for HMIPv6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ve Computing, Information and Control, Vol. 9, No. 9, pp. 3599-3610, 2013. 

  20. J.-H. Lee, J.-M. Bonnin, P. Seite, and H.A. Chan, "Distributed IP Mobility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ETF: Motivations, Requirements, Approaches, Comparison, and Challenges",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Vol. 20, No. 5, pp. 159-168, 2013. 

  21. J. C. Zuniga, C. J. Bernardos, A. De La Oliva, T. Melia, R. Costa, A. Reznik,"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A Standards Landscape",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1, No. 3, pp. 80-87, 2013. 

  22. J.-H. Lee, K. D. Singh, J.-M. Bonnin, and S. Pack, "Data Offloading: A Host-Based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Approach", IEEE Internet Computing, Vol. 18, No. 1, pp. 20-29, 2014. 

  23. F. Giust, L. Cominardi, C. J. Bernardos,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for Future 5G Networks: Overview and Analysis of Existing Approache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3, No.1, pp. 142-149, 2015 

  24. S. Frankel, D. Green,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EEE Security & Privacy, Vol.6, No. 3, pp. 83-86, 2018. 

  25. 송중석, 이행곤, 박학수 "IPv6 보안기술 국제표준화 동향", 정보보호학회지, 제22권, 제2호, pp. 23-29, 2012. 

  26. Q. Li, C. Larsen, and T. van der Horst, "IPv6: A Catalyst and Evasion Tool for Botnets and Malware Delivery Networks", Computer, Vol. 46, No. 5, pp. 76-82, 2013. 

  27. C. E. Caicedo, J. B. D. Joshi, and S. R. Tuladhar, "IPv6 Security Challenges", Computer, Vol. 42, No. 2, pp. 36-42, 2009. 

  28. H. Rafiee, M. von Lowis, and C. Meinel, "IPv6 Deployment and Spam Challenges", IEEE Internet Computing, Vol. 16, No. 6, pp. 22-29, 2012. 

  29. A. Sehgal, V. Perelman, S. Kuryla, and J. Schonwalder, "Management of Resource Constrained Devices in the Internet of Thing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0, No. 12, pp. 144-149, 2012 

  30. T. Savolainen, J. Soininen, and B. Silverajan, "IPv6 Addressing Strategies for IoT", IEEE Sensors Journal, Vol. 13, No. 10, pp. 3511-3519, 2013. 

  31. M.R. Palattella, N. Accettura, X. Vilajosana, T. Watteyne, L.A. Grieco, G. Boggia, and M. Dohler, "Standardized Protocol Stack for the Internet of (Important) Things", IEEE Communications Surveys & Tutorials, Vol. 15, No. 3, pp. 1389-1406, 2013 

  32. A. J. Jara, L. Ladid, and A Skarmeta, "The Internet of Everything through IPv6: An Analysis of Challenges, Solutions and Opportunities", Journal of Wireless Mobile Networks, Ubiquitous Computing, and Dependable Applications (JoWUA), Vol. 4, No. 3, pp. 97-118, 2013. 

  33. 성기훈, IPv6 기반 Internet of Things(사물인터넷) 기술동향,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 

  34. 김평수, 5G 네트워크에서의 IPv6, OSIA Annual Technology Assembly Workshop, 2014년 11월.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