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와이드팬츠의 바지 길이와 바지 부리 폭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
Visual Evalu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Length of Pants and Width of Hem Line of Wide Pants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7 no.3, 2015년, pp.159 - 168  

이정진 (상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visual evaluation was wide pants with changes in length of pants and width of hem line of wide pants design to provide data which can enhance wearing image effects at the production of wide pants. According to the length of pants and width of hem line of wide pants, a total of 9 stim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와이드팬츠의 바지 길이와 바지 부리 폭 변화에 따른 시각적평가의 구성요인을 알아본다.
  • 4. 와이드팬츠의 바지 길이와 바지 부리 폭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상호 영향력을 알아본다.
  • 본 연구는 와이드팬츠의 바지 길이와 바지 부리 폭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를 연구하기 위하여 바지 길이 3단계와 바지 부리 폭 3단계의 2원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 김정미(2012)는 와이드 팬츠의 구성 조건에 따른 적정성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와이드 팬츠의 실루엣 변화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의 의미미분척도 개발을 위한 주요 표현용어를 추출하였고, 이정순(2013)은 와이드팬츠의 실루엣을 스트레이트, 벨버텀, 플레어로 나누고 실루엣 변화에 따라 바지 부리 폭에 변화를 주어 가상으로 착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와 같이 와이드 팬츠에 관한 연구는 와이드팬츠의 실루엣 또는 허리 위치변화 등에 관하여 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와이드 팬츠의 유행경향에 따라 와이드 팬츠의 바지 길이와 바지 부리 폭 변화에 따라 시각적으로 어떻게 다른 이미지가 나타나는지에 관한 연구 하고, 와이드 팬츠 패턴 제작 시 착장 이미지의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와이드팬츠 제작 시 시각적 이미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허리위치는 기본 허리선으로 고정하고 와이드팬츠 바지 길이 3단계와바지 부리 폭 3단계의 2원 요인 설계로 시각적 평가를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놈코어란 무슨 말인가? 최근 불어온 90년대 복고와도 맞물려 와이드 팬츠의 인기는 높아져가고 있으며, 평범함 속에서 개성을 드러내는 '놈코어(normcore. ‘노멀(normal)’과 ‘하드코어(hardcore)’의 합성어로 평범함을 추구하는 패션)' 패션 트렌드와도 일맥상통한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몸에 딱 붙는 스키니 진이 유행이었다면, 편안하면서도 멋스러운 와이드 팬츠가 대세로 떠올랐다(매일경제, 2015).
와이드팬츠의 바지 길이와 바지 부리 폭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를 측정하기 위해 평가자들에게 의복 자극물을 제시하여 평가할 때, 평가자로 전공자를 택한 이유는? 본 연구의 측정 방법은 평가자들에게 무작위로 의복 자극물을 제시하여 평가하였다. 평가자는 가상착의 평가 시 시각적 판단의 오차가 적고 정확해야 하므로 비전공자 보다는 객관적이고 명확하게 보려는 경향이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 선행연구(이경희, 1991)에 따라 의류학 전공자 40명을 평가자로 선정하였다. 와이드 팬츠 자극물은 평가자들에게 무작위로 제시하고 자극물과 평가자 사이의 거리는 4m로 하였다.
시각적 평가를 위한 자극물 제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시각적 평가를 위한 자극물 제시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컬렉션 사진을 제시하는 방법, 자극물을 직접 제작하여 마네킹 또는 실제 모델에게 착의시켜 제시하는 방법, 가상착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진으로 제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어패럴 캐드시스템과 가상봉제 시스템인 3D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상착의를 이용한 시각적 평가 연구로 상의(홍은희, 서미아, 2012), 원피스(어미경, 2012), 슬랙스(김정미, 2013; 이정순, 2014) 등 다양한 아이템이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정미. (2012). 와이드팬츠(wide pants)의 시각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2), 147-156. 

  2. 김정미. (2013). 와이드팬츠의 허리선 위치와 바지통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4), 101-112. 

  3. 나미향 외 공저. (2014). 산업패턴설계 -여성복1-(개정판). 서울: 교학연구사. 

  4. 롱팬츠.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15. 5. 1, 자료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378853 

  5. 어미경. (2012). 3차원가상착의 시스템을 활용한 원피스드레스의 디자인변화에 따른 이미지 차이.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2), 101-111. 

  6. 이경희. (1991). 의복형태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이선경. (2009). 3D 의상캐드를 이용한 가상 의복과 실물 의복의 실루엣 비교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정순. (2012). 플레어 팬츠의 바지 부리 폭과 허리선 위치의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4), 127-137. 

  9. 이정순. (2013). 와이드팬츠의 실루엣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1), 21-30. 

  10. 와이드팬츠. 패션인사이트. 자료검색일 2015. 6. 3, 차료출처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 

  11. 임숙자, 황선진, 이종남, 이승희, 양윤. (2002). 현대의상사회심리학. 서울: 수학사. 

  12. 통바지. 인쿠루트, 자료검색 2015. 4. 10. 자료출처 http://people.incruit.com/news/newsview.asp?newsno1809123 

  13. 홍은희, 서미아. (2012). 성인 남성의 기본 상의 원형 비교 연구-3차원 가상 착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식문화연구, 20(3), 403-415. 

  14. 7-9부 팬츠. 아시아경제. 자료검색일 2015. 3. 12, 자료출처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120910093097508 

  15. 90년대 복고열풍.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15. 4. 10, 자료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3185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