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생수목 이식 성공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ablishment Ratio of Native Tree Transplant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2, 2015년, pp.23 - 29  

이상철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조부연 (한국도로공사) ,  최송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로 건설시 훼손될 산림의 자생수목 이식 및 활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한국도로공사의 협조를 얻어 최근 6년간(2008~2013) 자생수목 이식을 시행한 시공현장 자료를 취합하여 수종별, 규격별 이식활착률에 대한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7개 사업단에서 실시한 자생수목 이식현황을 살펴보면 총 22,521주를 이식하였으며 그 중 69%인 15,519주가 이식에 성공하였다. 이식수종별로 살펴보면 소나무가 15,562주로 가장 많았으며, 참나무류(6,156주), 산벚나무(235주), 곰솔(154주) 등의 순이었다. 침엽수 그룹으로 소나무와 곰솔, 활엽수 그룹으로 참나무류와 산벚나무를 선정하여 대비검정을 실시한 결과, 침엽수가 활엽수보다 낮은 이식성공률을 보였다. 근원직경과 이식성공률은 근원직경이 커질수록 이식성공률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상관성은 상관계수(R)가 -0.730으로 부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근원직경에 따른 이식성공률 예측모형의 설명력($R^2$)은 0.532였으며, 예측 회귀모형은 Y= -0.811X+88.627(X=근원직경, Y=이식성공률)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fulfill the need for reuse indigenous tree to mitigate the elimination of nature forests due to road construction, one representative method for this reuse is to transplant them and re-establish in similar condi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ransplant and establishment of indigenous tree,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재시 필요에 따라 지주를 설치하고 식재된 이후에는 고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관리를 받게 된다. 이렇게 자생수목을 이식하는 과정에는 이식활착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가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국내 자생수목 수종별, 규격별 인자를 중심으로 이식 및 활착의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그 결과 부적절한 수종선정 및 수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시공 중 낮은 이식성공률 및 높은 고사율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시공현장의 자생수목의 이식 및 활착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자생수목의 재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수종별, 규격별 이식활착률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향후 자생수목의 적절한 이식기준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도로공사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자생수목 이식을 진행한 9개 사업단의 현장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자생수목의 재활용실태를 파악하고 수종별, 규격별 이식성공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수종 중 참나무류는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등으로 분류가 되어 있었으나, 각 현장별 분류기준이 모호하여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류로 통합하여 사용하였다. 전국적인 현장에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지엽적인 자료의 불균형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식 수목의 수종과 근원직경의 크기를 파악하고 두 가지 요인에 대한 이식활착률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와 분석은 SPSS Windows 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지에 대한 개발이 불가피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 결과 경제 발전에 따른 부작용으로 자연훼손면적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자연지역의 도시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는 이미 다양한 방면에서 그 결과가 입증되고 있다 (Yli-Pelkonen and Niemelä, 2006; Harris, 1984; Brown, 1981). 특히 산림이 전국토의 64%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산지에 대한 개발은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러한 각종 산지 개발은 산림의 부분 또는 전체를 절․성토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연식생과 동물 서식처를 파괴하고 생물다양성을 감소 시키는 등 환경적인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과거 우리나라 국토개발 정책의 특징은? 우리나라는 급격한 근대화, 산업화, 도시화에 의한 경제발전을 도모하여 왔다. 이에 따라 국토를 이용․관리함에 있어 환경생태적 건강성에 입각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향하기보다는 경제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며 공급위주의 국토개발 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그 결과 경제 발전에 따른 부작용으로 자연훼손면적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자연지역의 도시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는 이미 다양한 방면에서 그 결과가 입증되고 있다 (Yli-Pelkonen and Niemelä, 2006; Harris, 1984; Brown, 1981).
산지 개발로 발생하는 환경적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규정은? 이러한 각종 산지 개발은 산림의 부분 또는 전체를 절․성토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연식생과 동물 서식처를 파괴하고 생물다양성을 감소 시키는 등 환경적인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국토기본법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는 훼손된 자연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책 추진과 국토의 자연환경과 경관의 보전, 복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이용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개발에 따른 생태계 훼손 및 저감, 보상 방안에 대한 방안으로 사전환경성검토와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merican Association of Nurserymen(1996) American standards for nursery stock. ANSI Z60.1-1996. Amer. Assn. of Nueserymen, Washington, D.C. 

  2. Brown, L.(1981) Building a Sustainable Society. New York: Norton & Company. 

  3. Campana, R. J.(1999) Arboriculture: History and Development in North America. Michigan State Univ., East Lansing. 443pp. 

  4. Cho, H. R., S. B. Kimand D. K. Oh(2009) Cost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native tree treatment methods. J. Korean Env. Res. Tech. 12(6): 51-62. 

  5. Gilman, E. E.(1989) Plant form in relation to root spread. J. Environ. Hortic. 7: 88-90. 

  6. Gilman, E. E.(1990) Tree root growth and development. II. Response to culture, management and planting. J. Environ. Hortic. 8: 220-227. 

  7. Gilman, E. E. and M. E. Kane(1991) Growth dynamics following planting of cultivars of Juniperus chinensis. J. Am. Soc. Hortic. Sci. 116: 637-641. 

  8. Gilman, E. F., R. J. Black and B. Dehgan(1998) Irrigation volume and frequency and tree size affect establishment rate. J. Arboric. 24: 1-9. 

  9. Harris, L. D.(1984) The Fragmented Forest: Island Biogeography Theory and the Preservation of Biotic Diversi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211. 

  10. Hong, S. R.(2003) The Effect of Tree Root-ball Size on the Regrowth of Landscape Trees -In Case of Cercidiphyllum japonicum and Prunus yedoensis-. M. S. Dissertation, Chongju University, Chongju, Korea. 

  11. Kim, C. S. and Z. S. Kim(2012) Effects of cutting time, auxin treatment, and cutting position on rooting of the green-wood cutting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ransplanted cuttings in the adult Prunus yedoensis. Kor. J. Hort. Sci. Technol. 30(2): 129-136. 

  12. Kim, O. K.(2005) The Transplantation Method of Natural Vegetation Community in Development Area -A Case Study of Yong-In Dongbaek District-. M. S.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167pp. 

  13. Korea Land Development Corporation(KLDC)(1994) The Study of Utilizing Wild Plants in Land Development District-Focused on New Town(Bundang and Ilsan)-. Korea Land Development Corporation Report, 113pp. 

  14. Korea Research Group of Tree Protection(2001) A survey on tree transplanting and utilizing at development area. Tree Health 6: 149-156. 

  15. Korea Research Group of Tree Protection(2004) A survey on tree transplanting and utilizing at development area of road expansion. Tree Health 8: 85-95. 

  16. Lee, S. D. and S. H. Choi(2009)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transplanting trees in the forest reserve area designated for future development. Kor. J. Env. Eco. 23(6): 535-544. 

  17. Lim, W. H. and Y. S. Kim(2001) Defects of planting in landscape plants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2): 61-67. 

  18. Na, S. J., I. S. Kim, J. H. Kim and D. H Lee(2014)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by root pruning intensity.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1): 15-21. 

  19. Struve, D. K., L. Burchfield and C. Maupin(2000) Survival and growth of transplanted large- and small-caliper red oaks. Journal of Arboriculture 26(3): 162-169. 

  20. Watson, G.(1985) Tree size affects root regeneration and top growth after transplanting. J. Arboric. 11: 37-40. 

  21. Watson, G. W.(1986) Cultural practices can influence root development for better transplanting success. J. Environ. Hortic. 4: 32-34. 

  22. Watson, W. T.(2005) Influence of tree size on transplant establishment and growth. Hort Technology 15(1): 118-122. 

  23. Yli-Pelkonen and V. J. Niemela(2006) Use of ecological information in urban planning: Experiences from the Helsinki metropolitan area, Finland. Urban Ecosystems 9(3): 211-2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