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설하중 증가에 대비한 비닐하우스 골조 성능의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reenhouse Frame to Bear the Heavy Snow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2242 - 2248  

정현진 (순천향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양상현 (순천향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이태희 (순천향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폭설로 인하여 비닐하우스가 붕괴되는 사고가 잇따르는 것에 대비하여 효율적인 비닐하우스 골조의 개선방안을 찾고자 진행되었다. 2013년 겨울, 비닐하우스 피해가 가장 컸던 곳은 경북과 강원도로,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닐하우스 유형(07-단동 3형, 07-단동 18형)에 대하여 최대 적설량 대비 30%까지 하중을 증가시켜 MIDAS GE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해석의 결과, 경주의 비닐하우스는 적설하중의 중가에 대해 안전하였으나 속초의 경우는 위험요인이 발생하였으며, 강릉의 비닐하우스는 기존 적설하중에서도 붕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설에 대비, 비닐하우스 구조단면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서까래를 이루는 원형파이프 단면의 성능을 개선하는 동시에 서까래의 간격을 증가시켜 적정 비닐하우스 구조를 검토한 결과, 서까래의 관경과 간격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서까래의 두께와 간격을 증가시키는 방안보다 구조적으로 효율적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향후 폭설에 대비하여 비닐하우스의 서까래 관경을 증가시킨 적정 규격의 제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amages from greenhouses collapsing due to heavy snowfall in winter are increasing, and the current frames of greenhouse are required to be improv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k solutions to improve intensities of greenhouse frame to bear heavy snows. We investigated a structural safety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적설하중 증가에 대비하여 비닐하우스 골조의 적정한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농림부에서 2008년 제시한 내재해형 비닐하우스를 대상으로 최대 적설하중을 증가시켜 구조 해석을 수행하였다. 대상 지역은 2013년 겨울의 폭설로 가장 피해가 컸던 경북 경주와 강원도 속초, 강릉을 선정하였다.
  • 비닐하우스 골조의 성능을 개선하되, 파이프 단면의 개선에 따른 재료의 증가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경제적 구조를 제안하기 위하여 서까래의 간격을 늘려 재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비닐하우스의 규격은 길이 6m로 제한한다.
  • 향후 기상재해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는 시점에서, 폭설의 피해에 대비하여 비닐하우스 골조의 설계 대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비닐하우스 골조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향후 이상기후로 인한 폭설을 가정, 기존의 적설하중 기준보다 최대 30%까지 증가된 값을 대응하여 비닐하우스 골조의 변형을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겨울, 비닐하우스 피해가 가장 컸던 곳은? 본 연구는 폭설로 인하여 비닐하우스가 붕괴되는 사고가 잇따르는 것에 대비하여 효율적인 비닐하우스 골조의 개선방안을 찾고자 진행되었다. 2013년 겨울, 비닐하우스 피해가 가장 컸던 곳은 경북과 강원도로,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닐하우스 유형(07-단동 3형, 07-단동 18형)에 대하여 최대 적설량 대비 30%까지 하중을 증가시켜 MIDAS GE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해석의 결과, 경주의 비닐하우스는 적설하중의 중가에 대해 안전하였으나 속초의 경우는 위험요인이 발생하였으며, 강릉의 비닐하우스는 기존 적설하중에서도 붕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닐하우스가 붕괴되는 사고가 잇따르는 것에 대비하는 방법은? 본 연구는 폭설로 인하여 비닐하우스가 붕괴되는 사고가 잇따르는 것에 대비하여 효율적인 비닐하우스 골조의 개선방안을 찾고자 진행되었다. 2013년 겨울, 비닐하우스 피해가 가장 컸던 곳은 경북과 강원도로,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닐하우스 유형(07-단동 3형, 07-단동 18형)에 대하여 최대 적설량 대비 30%까지 하중을 증가시켜 MIDAS GE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자가 적설하중 증가에 대비하여 비닐하우스 골조의 적정한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한 결과는? 1) 경주의 적설하중 0.5kN/㎡을 비닐하우스 07-단동 3형에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향후 적설하중이 최대 30%정도로 증가되어도 조합응력은 최대 허용응력의 약 34% 정도에 불과하였다. 속초의 적설하중 2.0kN/㎡을 비닐하우스 07-단동 18형에 적용하는 경우, 적설하중을 최대 30%까지 증가시키면 조합응력이 최대허용응력의 약 92% 정도로 위험치에 근접하게 된다. 강릉의 적설하중 3.0kN/㎡을 비닐하우스 07-단동 18형에 적용하면 기존의 적설하중에서도 조합응력이 허용력의 100%를 넘어 붕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적설하중 증가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구조 단면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서까래를 이루는 원형파이프 단면의 성능을 개선하는 동시에 경제적 효율성을 위하여 서까래의 간격을 증가시켜 해석한 바, 서까래의 관경과 간격을 증가시키는 방안(원형 파이프 규격 Φ42.2 × 1.7t, 서까래 간격 60cm)이 서까래의 두께와 간격을 증가시키는 방안(원형 파이프 규격 Φ31.8 × 2.7t, 서까래 간격 60cm)보다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효율적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향후 폭설에 대비하여 비닐하우스의 서까래 관경을 증가시킨 적정 규격의 제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B.K Kim, S.H Lee, J.W Kim, K.J Shin, Collapse Prevention Method of Long-span Plastic Greenhouse for Heavy Snow, 22-1, Annual Semina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010 

  2. The special horticulture facility standard for natiral disaster,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07 

  3. Building construction standard and explana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1 

  4. B.K Kim, S.H Lee, K.J Shin, Reinforcing Method of Greenhouse Frame for heavy snow using Pretension Tie, 20-1, Annual Semina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008 

  5. MIDAS GEN V. 835, Limit state design is applied structural analysis program. Analysis and design at information input are possible, and is a simulation system of computer graphic base.(www.midasit.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