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 금산 진산금광산의 광맥 발달특성과 단층점토에 농집된 고품위 금함량에 대한 구조지질학적 해석
Characteristics of Lode Development and Structural Interpretation for the High Au Contents within the Fault Gouge Zones in Jinsan Au Mine, Chungcheongnam-do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8 no.2, 2015년, pp.103 - 114  

신동복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권세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영석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충청남도 금산에 위치한 진산금광산은 옥천층군에 속하는 창리층 내에 발달한 열극대를 충진한 수개 조의 석영맥으로 구성된 열수맥상광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갱, 본갱, 양하판, 특호맥 등 4개의 주요 갱도를 대상으로 지질광상 및 지질구조조사, 시추코어 분석, 그리고 주요 광맥의 발달상태와 품위를 파악하여 향후 효율적인 탐사 및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석영맥들은 주로 $N10^{\circ}-25^{\circ}W$, $N5^{\circ}-20^{\circ}E$ 방향으로 우세하게 발달하며, 맥폭은 대부분 0.1~0.5 m로 1 m가 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괴상을 이루기도 하나 누대구조, 빗구조, 각력상구조가 잘 발달한다. 광석광물로는 황철석, 황동석이 주를 이루며 자류철석, 섬아연석, 방연석, 백철석, 에렉트럼 및 소량의 휘동석이 수반된다. 회색내지 유백색의 석영맥에는 형석이 수반되기도 하며, 후기 방해석맥에 의해 절단되기도 한다. 총 22개 광석시료에 대한 품위분석 결과 갱내 시료의 경우 대부분 1 g/t 미만의 저품위를 보이나 시추코어의 점토질 시료는 최대 141 g/t에 이르는 고품위를 나타낸다. 즉 신선한 석영맥보다는 단층점토 부분에 금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1차적인 광화작용 이후에 이들이 단층의 재활성과 관련된 열수작용에 의해 금이 재이동되어 침전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이로 보아 진산광상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불규칙한 광체 발달양상을 지시하며, 이에 따라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인 탐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insan gold deposit is a hydrothermal vein type deposit consisting of several fissure filling quartz veins developed within the Changri Formation of the Ogcheon Supergroup in Geumsan, Chungnam.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fficient exploration and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시추는 기존 조사보고서(KMPC, 1985)에서 고품위(Au, 317 g/t) 함금석영맥이 배태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된 특호맥(함금석영맥)의 지하연장 및 광석품위 확인을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특호맥을 대상으로 3개 시추공에서 시추작업을 진행하여 착맥 구간 및 단층점토를 대상으로 품위평가를 실시하였다.
  • , 1988)가 수행된 바 있으며, 고품위(Au, 317 g/t) 함금 석영맥이 배태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광산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사지역 일대의 지표와 입갱이 가능한 갱내에 대한 지질광상 및 지질구조조사, 시추코어 분석 및 함금석영맥 품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주요 광맥의 발달상태, 발달특성 및 금의 품위를 파악하여 유망 광체를 예측함으로써 향후 효율적인 탐사 및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자 지원사업 “단층손상대 및 단층-단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4차원적 단층진화 연구(과제번호: 2013r1a1a2010910)”의 일부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이 광산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사지역 일대의 지표와 입갱이 가능한 갱내에 대한 지질광상 및 지질구조조사, 시추코어 분석 및 함금석영맥 품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주요 광맥의 발달상태, 발달특성 및 금의 품위를 파악하여 유망 광체를 예측함으로써 향후 효율적인 탐사 및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특호맥을 대상으로 3개 시추공에서 시추작업을 진행하여 착맥 구간 및 단층점토를 대상으로 품위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단층대의 지하연장 가능성, 석영맥의 특성 비교 및 품위평가를 위해 갱 내의 지질구조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산금광상의 위치는? 연구지역인 진산금광상은 행정구역상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석막리, 지리좌표상으로는 동경 127º 21' 11'' , 북위 36º 06' 00'' 부근에 위치한 열수맥상광상이다. 이 광상에 대해서는 시추조사(KMPC, 1985)와 유체포유물 및 안정동위원소 연구(Youn et al.
금속자원의 확보를 위해 진행중인 노력은? 특히 첨단산업의 발전과 국제광물자원의 급격한 가격변동으로 원료자원의 안정적 수급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해외자원 못지 않게 국내자원의 확보 노력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국내의 기존 광화대 및 광상에 대한 탐사 및 재평가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특히 금은 산업적가치뿐만 아니라 꾸준한 안정자산으로 인식되면서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요한 자원이다.
진산금광산은 어떤 광산인가? 충청남도 금산에 위치한 진산금광산은 옥천층군에 속하는 창리층 내에 발달한 열극대를 충진한 수개 조의 석영맥으로 구성된 열수맥상광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갱, 본갱, 양하판, 특호맥 등 4개의 주요 갱도를 대상으로 지질광상 및 지질구조조사, 시추코어 분석, 그리고 주요 광맥의 발달상태와 품위를 파악하여 향후 효율적인 탐사 및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wden, C.D. (2007) Epithermal systems of the Seongsan district, South Korea; an investigation on the geological setting and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ships between high and low sulfidation systems. Ph.D. thesis, James Cook University, Australia, 334p. 

  2. Caine, J.S., Evans, J.P. and Forster, C.B. (1996) Fault zone architecture and permeability structure: Geology, v.24, n.11, p.1025-1028. 

  3. Chester, F. and Logan, J. (1987) Composite planar fabric of gouge from the Punchbowl fault, California: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v.9, n.5, p.621-IN6. 

  4. Childs, C., Manzocchi, T., Walsh, J.J., Bonson, C.G., Nicol, A. and Schopfer, M.P.J. (2009) A geometric model of fault zone and fault rock thickness variation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v.31, n.2, p.117-127. 

  5. Choi, S.G., Kwon, S.T., Ree, J.H., So, C.S. and Pak, S.J. (2005a) Origin of Mesozoic gold mineralization in South Korea. The Island Arc, 14, 102-114. 

  6. Choi, S.G., Ryu, I.C., Pak, S.J., Wee, S.M., Kim, C.S. and Park, M.E. (2005b) Cretaceous epithermal gold-silver mineralization and geodynamic environment, Korea. Ore Geology Reviews, v.26, p.115-135. 

  7. Corbett, G.J. and Leach, T.M. (1998) Southwest Pacific rim gold-copper systems: structure, alteration, and mineralization. Society of Economic Geologists Special Publication 6, 234p. 

  8. Cox, S.F. (1995) Faulting processes at high fluid pressures: an example of fault valve behavior from the Wattle Gully Fault, Victoria, Australi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1978-2012), v.100, n.B7, p.12841-12859. 

  9. Doblas, M. (1998) Slickenside kinematic indicators: Tectonophysics, v.295, n.1-2, p.187-197. 

  10. Henley, R. and Adams, D. (1992) Strike-slip fault reactivation as a control on epithermal vein-style gold mineralization: Geology, v.20, n.5, p.443-446. 

  11. Hong, S.H. and Choi, W.C., 1978, Geological Report of the Geumsan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2. Kang, J.H., Lee, D.S., Ryoo, C.R., Koh, S.M. and Chi, S.J. (2011) Geological Structure of the Moisan Epithermal Au-Ag Mineralized Zone, Haenam and its Tectonic Environment at the Time of the Mineralization. Econ. Environ. Geol., 44, 413-431. 

  13. Korea Mining Promotion Corporation, 1985, Report on drilling ore deposits. v.8, p.53-55. 

  14. Kim, Y., Peacock, D.C. and Sanderson, D.J. (2004) Fault damage zone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v.26, n.3, p.503-517. 

  15. Lee, H. and Kim, H.S. (2005) Comparison of structural features of the fault zone developed at different protoliths: crystalline rocks and mudrock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v.27, n.11, p.2099-2112. 

  16. Lee, H.K., Ko, S.J. and Naoya, I. (1990) Genesis of the lead-zinc-silver and iron deposits of the Janggun mine, as related to their structural features, structural control and wall rock alteration of ore formation.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23, 161-181. 

  17. Petit, J.P. (1987) Criteria for the sense of movement on fault surfaces in brittle rock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v.9, n.5-6, p.597-608. 

  18. Pollard, D.D. and Aydin, A. (1988) Progress in understanding jointing over the past centur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v.100, n.8, p.1181-1204. 

  19. Sibson, R. (1977) Fault rocks and fault mechanism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v.133, n.3, p.191-213. 

  20. Sibson, R.H. (2000) Fluid involvement in normal faulting: Journal of Geodynamics, v.29, n.3, p.469-499. 

  21. Sibson, R.H. (1990) Conditions for fault-valve behaviour: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v.54, n.1, p.15-28. 

  22. So, C.-S., Chi, S.-J. and Choi, S.-H. Genetic environments of the Geumryong gold-sliver deposit, Korea.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4, p.321-330. 

  23. Walsh, J., Watterson, J., Bailey, W. and Childs, C. (1999) Fault relays, bends and branch-line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v.21, n.8, p.1019-1026. 

  24. Youn, J-S., Lee, K-Y., So, C-S. and Koh, Y-K. (1988) The Jinsan Gold Mine, Korea: A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y,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21, p.17-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