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수면모델에 근거한 지역사회 노인의 수면에 관한 경로모형
The Path Model based on Senescent Sleep Model for Sleep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2, 2015년, pp.211 - 222  

김아린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김옥수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odel for sleep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 hypothetical model based on a senescent sleep model was constructed using the multiple influencing factors of sleep and associated adverse outcomes of changes in sleep in the older adults. Metho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노인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는 많았으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이들 요인이 어떠한 경로로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지, 노인의 수면 변화가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수면건강 향상과 수면문제를 예측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수면을 중심으로 노인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수면 변화에 따른 결과에 대해 구축한 모형에서 각 변수들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Vaz Fragoso와 Gill[13]의 노인수면모델에 근거하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수면 변화에 따른 결과를 확인하고자 가설적 모형을 설정한 후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설정된 모형이 노인의 수면을 설명하고, 수면 변화에 따른 결과를 예측하는데 타당한지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수면모델에 근거하여 노인의 수면에 대한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수면 변화에 따른 결과를 예측하는데 타당한지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노인의 수면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Vaz Fragoso와 Gill의 노인수면모델에 근거하여 구성하였고, 노인의 수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노화, 신체적 요인, 정신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수면은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로 구성되며, 수면에 따른 결과는 인지기능과 우울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고, 수면 변화에 따른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노인의 수면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이론적 기틀을 제공하였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노화, 신체적 측면, 정신적 측면, 행위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제시하고, 수면의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을 포괄하여 반영하기 위해 객관적으로 측정한 수면시간과 주관적 수면의 질을 포함하였으며, 수면변화에 따른 결과를 예측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수면 변화에 따른 결과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모형에서 제시하는 가설을 검정하고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모델 검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수면의 결과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이는 운동이 수면-각성주기를 강화시킨다는 선행연구결과로 볼 때[15], 노인의 신체활동 감소가 불규칙한 수면 습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한편, 사회적 관계망이 클수록 오히려 수면위생이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관계망이 클수록 수면위생이 좋을 것이라는 가설을 기각하였다. 이는 Vaz Fragoso와 Gill의 노인수면모델[13]에서 사회적 고립은 불규칙하게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게 하여 수면-각성 습관을 나쁘게 하고, 잠자리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 수면위생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한 것과 상반된 결과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수면이란 자발적인 신체 기능의 소실과 완전하거나 부분적인 의식의 소실에 의해 휴식을 취하게 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양적, 질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1]. 수면문제는 어느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노인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며,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의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역사회에 거주 하는 노인의 약 50% 정도가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6시간 이하로 나타났으며, 노인 중 약 70%는 수면의 시작과 유지가 어렵고, 아침에 일찍 깨어나는 불면증 증상 중 하나 이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13~22%가 주간 졸림증을 호소하며, 14~27%는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3].
노인의 수면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를 계획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수면에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노인에게 수면문제는 노화 과정 뿐 아니라, 신체적, 정신사회적, 행위 요인 등 다양한 측면의 요인에 의해 흔하게 나타나게 되며, 이는 건강문제를 야기하는 부정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수면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를 계획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수면에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면이란 무엇인가? 수면이란 자발적인 신체 기능의 소실과 완전하거나 부분적인 의식의 소실에 의해 휴식을 취하게 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양적, 질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1]. 수면문제는 어느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노인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며,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의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Random House Webster's College Dictionary. New York: Random House Reference; 2005 

  2. Jung KH, Oh YH, Lee YK, Sohn CK, Park BM, Lee SY, et al. 2011 Korean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Policy report. Korea: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2 April. Report No.: 11-1352000-000672-12. 

  3. Jaussent I, Bouyer J, Ancelin ML, Akbaraly T, Peres, K, Ritchie, K, et al. Insomnia and daytime sleepiness are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Sleep. 2011;34(8):1103-10. http://dx.doi.org/10.5665/SLEEP.1170 

  4. Kang S, Kim JS. Experiences of insomnia of the elderly women in community,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2010;11(1):13-25. 

  5. Keage HA, Banks S, Yang KL, Morgan K, Brayne C, Matthews FE. What sleep characteristics predict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Sleep Medicine. 2012;13(7):886-92. http://dx.doi.org/10.1016/j.sleep.2012.02.003 

  6. Nebes RD, Buysse DJ, Halligan EM, Houck PR, Monk TH. Self-reported sleep quality predicts poor cognitive performance in healthy older adults.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 Social Sciences. 2009;64B(2):180-7. http://dx.doi.org/10.1093/geronb/gbn037 

  7. Ohayon MM, Carskadon MA, Guilleminault C, Vitiello MV. Meta-analysis of quantitative sleep parameters from childhood to old age in healthy individuals: developing normative sleep values across the human lifespan. Sleep. 2004;27(7):1255-73 

  8. Holfeld B, Ruthig JC.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sleep quality and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2012. Forthcoming. http://dx.doi.org/10.1177/0733464812455097 

  9. Tu X, Cai H, Gao YT, Wu X, Ji BT, Yang G, et al. Sleep duration and its correlates in middle-aged and elderly chinese women: the shanghai women's health study. Sleep Medicine. 2012;13(9):1138-45. http://dx.doi.org/10.1016/j.sleep.2012.06.014 

  10. Yao KW, Yu S, Cheng S, Chung I.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depression, social network factors and sleep qual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8;16(2):131-9. 

  11. McHugh JE, Lawlor BA. Perceived str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oneliness and sleep quality over time in older adults.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3;18(3):546-55. http://dx.doi.org/10.1111/j.2044-8287.2012.02101.x 

  12. Monk TH, Buysse DJ, Billy BD, Fletcher, ME, Kennedy KS, Schlarb, JE, et al. Circadian type and bed-timing regularity in 654 retired seniors: correlations with subjective sleep measures. Sleep. 2011:34(2),235-9. 

  13. vaz Fragoso CA, Gill TM. Sleep complaints in communityliving older persons: a multifactorial geriatric syndrom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7;55(11):1853-66. 

  14. Ayotte BJ, Margrett JA, Hicks-Patrick J. Physical activity in middle-aged and young-old adults the roles of self-efficacy, barriers, outcome expectancies, self-regulatory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0;15(2):173-85. http://dx.doi.org/10.1177/1359105309342283 

  15. Yamanaka Y, Hashimoto S, Tanahashi Y, Nishide SY, Honma S, Honma K. Physical exercise accelerates reentrainment of human sleep-wake cycle but not of plasma melatonin rhythm to 8-h phase-advanced sleep schedul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Regulatory. Integrative and Comparative Physiology. 2010;298(3):R681-91. http://dx.doi.org/10.1152/ajpregu.00345.2009 

  16. Milanovic Z, Pantelic S, Trajkovic N, Sporis G, Kostic R, James N. Age-related decrease in physical activity and functional fitness among elderly men and women.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2013;8:549-56. http://dx.doi.org/10.2147/CIA.S44112 

  17. Lieverse R, de Vries R, Hoogendoorn AW, Smit JH, Hoogendijk WJ. Social support and social rhythm regularity in elderly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3;21(11):1144-53. http://dx.doi.org/10.1016/j.jagp.2013.01.052 

  18. Theeke LA, Goins RT, Moore J, Campbell HT. Lonelin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chronically ill appalachians. The Journal of Psychology. 2012;146(1-2):155-71. 

  19. Mesas AE, Lopez-Garcia E, Leon-Munoz LM, Graciani A, Guallar-Castillon P, Rodriguez-Artalejo F. The association between habitual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in older adults according to health status. Age and Ageing. 2011;40(3):318-23. http://dx.doi.org/10.1093/ageing/afr004 

  20. Kline R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2005. p. 20-208. 

  21. Montgomery-Downs HE, Insana SP, Bond JA. Movement toward a novel activity monitoring device. Sleep Breath. 2012;16(3):913-7. http://dx.doi.org/10.1007/s11325-011-0585-y 

  22. Buysse DJ, Reynolds CF, Monk TH, Berman SR, Kup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1989;28(2):193-213. 

  23. Charlson ME, Pompei P, Ales K, MacKenzie CR.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hronic Diseases. 1987;40(5):373-83. 

  24. Oh JY, Yang YJ, Kim BS, Kang J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hort form.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7;28(7):532-41. 

  25. Hong M, Casado, BL,, Harrington D. Validation of Korean versions of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s in Korean Americans. Clinical Gerontologists. 2011;34(4):319-34. http://dx.doi.org/10.1080/07317115.2011.572534 

  26. Kim OS.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7;27(4):871-9. 

  27. Mastin DF, Bryson J, Corwyn R. Assessment of sleep hygiene using the sleep hygiene index.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06;29(3):223-7. 

  28. Kwon YC, Park JH.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89;28(1):125-35. 

  29. Cho MJ, Bae JN, Suh GH, Hahm BJ, Kim JK, Lee DW, et al.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1):48-62. 

  30. Kang YH, Kim MY, Lee GJ, Jung DY, Ma RW. A study of social support, loneliness, sleep qual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2;26(2):303-13.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2.3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