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표선유역의 물수지 평가를 위한 지하수 유동 모델링
Groundwater Modeling for Estimating Water Balance over Pyosun Watershed in Jeju Island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4 no.4, 2015년, pp.495 - 504  

송성호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이규상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안중기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전선금 ((주) 지오그린21) ,  이명재 ((주) 지오그린21)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stimate water balance of Pyosun watershed in Jeju Island, a three-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model MODFLOW was applied. Moreover, the accuracy of groundwater flow modeling was evaluat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recharge rate by flow modeling and the existing one from water balance mod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강수량 변동에 따른 수위변동 모사를 위하여,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표선유역 200~600 m 지역의함양량을 변동시켜 모의를 수행하였다 (Table 6). 모델링 결과 먹는샘물 취수정 주변의 두 관측정 (O2와 KR)에서는 2010년과 2011년 함양량이 각각 1,312 mm 증가와 1,054 mm 감소에 따라, 지하수위는 O2의 경우0.
  • 이때 서귀포층의 바닥 표고는 -130 m로 설정하였다. 경계조건은 유역을 경계로 바깥 부분은 비활성격자 (no-flow boundary), 남쪽 해안선은 일정수두경계 (constant head boundary)로 설정하였다.
  • 지하수 유동 모델의 민감도 분석 결과 전반적인 지하수위 분포 및 흐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수리전도도와 지하수 함양율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모의에서는 현장에서 측정한 수리전도도를 고려하여 모형보정을 수행하였으며, 함양율은 표선유역의 표고별 함양량을적용하였다. 연구지역의 주대수층은 화산암층으로, 양수시험 결과 수리전도도는 2×10-2 cm/sec로 나타났다.
  • 그러나 화산암층의 두께는 표선유역 상류와 하류에서 다양하게 나타남에 따라, 단속적으로 연결된 소규모 대수층이 연결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모델링을 위한 개념모델로 하부의 서귀포층을 기반암으로 상부의 화산암층을 대수층으로 구분하였다.
  • 제주도 표선유역의 지하수 유동을 모의하기 위하여 3차원 유한차분 모형인 MODFLOW를 이용하여 물수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모의 결과로 나타난 함양율과 기존의 수문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지하수 유동 모델링의 정밀도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표선유역의 포화대에 대한 지하수 유동을 모의할 수 있는 3차원 유한차분 모형을 이용하여 물수지를 분석하였다. 모의 결과는 기존의 수문분석 결과 (JSSP, 2012)와 비교하여 표선유역의 물수지 평가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모의영역은 표선유역에 대하여 100×100 m의 격자망으로 설정하였으며, 지하수를 연중 채수하는 상류부의삼다수 먹는샘물 취수정 인근에 대하여는 격자 간격을 50×50 m와 25×25 m로 세분하였다 (Fig.
  • 미래 강수량 변동 예측에 따른 지하수위변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성판악과 선흘 관측소의 2002~2013년 기간 중 최소 강수년인 2005년의 함양량 954 mm를 기준으로 과우년 3년, 평균 강수량이 2년 지속되는 조건으로부정류 모의를 수행하였다 (Table 7). 경과시간 1년은 과우년의 함양량이 적용되어 먹는샘물 취수정 인근의 두 관측정 (O2와 KR)에서는 각각 0.
  • 본 모델링에서는 수리전도도와 함양량의 입력값이 모민감도를 분석하였다 (Table 4). 분석 결과 수리전도도를 20% 증가시킨 경우에는 유출량과 유입량의 차이가21 m3/day로 거의 없지만, 20% 감소시킨 경우에는 117 m3/day으로 전체의 약 98%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민감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부정류 상태의 모델링을 위한 함양량 산정은 기존 정류모델에서 이용한 200~600 m 지역의 함양량 1,124 mm/년을 평균으로 산정하고, 2002년부터 2013년까지성판악과 선흘 관측소의 강수량을 기준으로 과우년 (2005)과 2009~2013년 강수량을 적용하였다 (Table 5). 부정류 상태 모의는 아래의 두 가지 경우를 대상으로, 유역전체의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을 산정하였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강수의 변동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 모사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함양량을 변경하여 강수의변동에 따른 표선유역의 지하수위 변동을 모사하는 것이다.
  • 부정류 상태의 모델링을 위한 함양량 산정은 기존 정류모델에서 이용한 200~600 m 지역의 함양량 1,124 mm/년을 평균으로 산정하고, 2002년부터 2013년까지성판악과 선흘 관측소의 강수량을 기준으로 과우년 (2005)과 2009~2013년 강수량을 적용하였다 (Table 5). 부정류 상태 모의는 아래의 두 가지 경우를 대상으로, 유역전체의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을 산정하였다.
  • 여기서 Xobs는 현장 측정 수두값, Xcal는 모의 결과 수두값으로,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 모두 최소가 되도록 한후 물수지 분석 결과 계산되는 불일치 (discrepancy)가±1% 미만이 되도록 모의하였다.
  • 정류상태의 모의는 총 243개소 관정에 대해 일평균양수량을 유지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며, 이 중 수위자료가 확보된 33개소에 대하여 2005년 12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매 월 약 13회에 걸쳐 측정된 지하수위를 평균한값을 입력한 후 모형을 보정하였다. 이때 8개의 수위관측정을 대상으로 관측 수위와 계산 수위의 차이가 최소가되도록 조정하였다.
  • 또한 하부 서귀포층의 경우에는 기존의 자료를 해발고도 200 m를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Table 1). 이때 기존의 농업용관정과 먹는샘물 취수정의 대수층의 두께를 고려하여 산출된 비저류계수 (Ss)와 비산출률 (Sy)을 모의에 적용하였다.
  • 정류상태의 모의는 총 243개소 관정에 대해 일평균양수량을 유지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며, 이 중 수위자료가 확보된 33개소에 대하여 2005년 12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매 월 약 13회에 걸쳐 측정된 지하수위를 평균한값을 입력한 후 모형을 보정하였다. 이때 8개의 수위관측정을 대상으로 관측 수위와 계산 수위의 차이가 최소가되도록 조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유역별 지하수의 지속 이용 가능량 산정을 위하여, 지표수계를 기초로 4개의 대유역과16개의 소유역으로 분류하고 있다 (JSSP, 1993). 본 연구대상인 표선유역은 제주도 대유역 중 동부유역에 속하며, 서측으로 한라산에 속하는 높은 지형에서 제주도 동쪽 해안의 낮은 지형으로 동고서저의 지형특성을 나타낸다. 표선유역 내의 상시하천은 없으며, 유역평균 강수량이 80 mm 이상인 경우에 천미천에서 유출이 발생한다(JSSPDC, 2014).
  • 본 연구지역은 제주도 동부유역에 위치한 표선유역으로, 1992년부터 2011년까지 20년간 강수자료로 분석한 수문총량은 16개 유역 중 가장 많은 평균 537백만 m3/ year이다 (JSSP, 2012). 이 중 증발산량은 전체 수문총량의 약 29%인 156백만 m3/year로, 이 중 해발고도200~600 m 구간에서 전체의 약 58%인 90 백만 m3/year를 차지한다.

이론/모형

  • 모의지역 상부층의 수리전도도는 해발고도 200 m 이하는 기존의 농업용 관정의 양수시험 결과를 이용하였으며, 200 m 이상은 먹는샘물 취수정에 대한 양수시험 해석 결과를 이용하였다 (JSSPDC, 2007)(Fig. 2). 또한 하부 서귀포층의 경우에는 기존의 자료를 해발고도 200 m를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Table 1).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표선유역의 포화대에 대한 지하수 유동을 모의할 수 있는 3차원 유한차분 모형을 이용하여 물수지를 분석하였다. 모의 결과는 기존의 수문분석 결과 (JSSP, 2012)와 비교하여 표선유역의 물수지 평가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제주도 표선유역의 지하수 유동을 모의하기 위하여 3차원 유한차분 모형인 MODFLOW를 이용하여 물수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모의 결과로 나타난 함양율과 기존의 수문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지하수 유동 모델링의 정밀도를 평가하였다.
  • 지하수 유동 모형은 지하수 수문 순환 및 오염물질의 이동 특성 등을 단순화시킨 수학적인 표현으로, 본 연구에서는 포화대에서의 지하수 유동을 모의할 수 있는 3차원 유한차분 지하수 유동 모형인 MODFLOW를 이용하였다 (McDonald and Harbaugh, 198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지역으로 선정한 제주도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제주도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해안방향으로 고도가 완만하게 낮아지는 지형적 특성으로 지표수계 구분은 용이하다. 그러나 수리지질을 구성하고 있는 화산암의 특성상 수평적인 투수성이 높고 내륙에 비해 지하수위가 깊어 지하수계 구분은 상대적으로 어렵다. 이에 따라 약180여개의 하천 중 상시하천 (perennial stream)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남북에 각각 2곳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대부분의 하천은 건천을 이루고 있다.
유역단위의 물수지란 무엇인가? 유역단위의 물수지는 일정기간 동안 해당유역 내로 유입되는 물과 유출되는 물의 균형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소유역의 경우 유입량 중 가장 큰 요소는 강수량이지만, 유역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천수량과 지하수량도 포함된다.
유출량에 포함되는 요소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소유역의 경우 유입량 중 가장 큰 요소는 강수량이지만, 유역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천수량과 지하수량도 포함된다. 반면 유출량은 증발산량, 직접 유출량, 지하수 관정을 통한 취수량과 더불어 유역 외부로 유출되는 지하수량이 포함된다. 따라서 물수지 분석을 위해서는유입 및 유출량을 평가하는데, 앞서 언급된 강수량, 직접유출량, 증발산량 및 지하수 취수량 등은 평가 방식에 따라 체계적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n, J.G., Lee, Y.D, Hwang, J.H, 2006, Estim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recharge by grid-based soil water balance method, J. Korean Soc. Soil and Groundwater Environ., 11(1), 65-76. 

  2. An, J.G., Kim, T.H., 2006, Water balance of a small catchment in the subalpine grassland of Mt. Halla, Southern Korea, J. Korean Geographical Soc., 41(4), 404-417. 

  3. An, J.G., Kim, T.H., 2008, Rainfall partitioning in a small catchment of a monogenetic volcano in Jeju Island: case study on Eoseungsaeng-oreum of Mount Halla, J. Korean asso. regional geographers, 14(3), 212-223. 

  4. Ha, K., Moon, D., Koh, K.W., Park, K.H., 2008,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Oedocheon Watershed in Jeju Island, J. Korean Soc. Soil and Groundwater Environ.,13(5), 20-32. 

  5. JSSP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1993, Master plan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6. JSSP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2, Master plan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7. JSSPDC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evelopment Corporation), 2007, Report of groundwater impact assessment for development and use of groundwater. 

  8. JSSPDC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evelopment Corporation), 2014, Report of groundwater impact assessment for development and use of groundwater. 

  9. McDonald, M.G., Harbaugh, A.W., 1988, A modular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ground-water flow model: Techniques of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Book 6, Chapter A1, 586 p. 

  10. Song, S.H., An, J.G., Lee, G.S., 2014a, Analysis of water budget in mountainous area of Pyosun watershed considering runoff characteristics, Proceeding of KSEG Conference. 

  11. Song, S.H., Lee, B.S., Choi, K.J., Kim, J.S., Kim, G.P., 2014b, Evaluation of drought effect on groundwater system using groundwater level data in Jeju Island, J. Environ. Sci. Int., 23(4), 637-647. 

  12. Song, S.H., Choi, K.J., Kim, J.S., 2013, Evalu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using time-series data of groundwater level in Jeju Island, J. Environ. Sci. Int., 22(5), 609-623. 

  13. Won, J.H., Lee, J.Y., Kim, J.W., Koh, G.W., 2006, Groundwater occurrence on Jeju Island, Hydrogeology Journal, 14(4), 532-5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