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반 공동 열에너지저장소 주변 암반의 수리적 조건에 따른 열-수리-역학적 연계거동 분석
Effects of Hydrological Condition on the Coupled Thermal-Hydrological-Mechanical Behavior of Rock Mass Surrounding Cavern Thermal Energy Storage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5 no.2, 2015년, pp.168 - 185  

박정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이항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류동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신중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박의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천부의 암반 공동에 대용량 고온의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경우 주변 암반에 야기되는 열-수리-역학적 연계거동을 살펴보고, 이에 지하수위와 암반 투수계수 등 수리적 조건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해석대상을 투수계수가 비교적 낮은 수준($10^{-17}m^2$)인 결정질 암반으로 가정할 때 열에너지 저장으로 인한 암반 거동에 지하수가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저장 공동이 지하수위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온도, 주응력, 변위 분포 등은 저장공동이 불포화대에 위치하는 경우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암반내 열전달 특성은 암반의 투수계수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반의 투수계수를 $10^{-15}m^2$ 이하로 가정한 경우 열전달은 주로 암반에 전도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으나, 투수계수를 $10^{-12}m^2$으로 가정하는 경우 지하수 대류에 의한 상향 열유동이 뚜렷이 관찰되었다. 암반 투수계수의 크기에 따라 열수의 대류나 비등으로 인한 상변화 등 복합적인 유동 특성을 나타났으며, 온도, 압력, 포화도 분포가 상이하게 발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hermal-hydrological-mechanical (T-H-M) behavior of rock mass surrounding a large-scale high-temperature cavern thermal energy storage (CTES) at a shallow depth has been investigated, and the effects of hydrological conditions such as water table and rock permeability on the behavior have been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Rutqvist et al.(2012)이 제안한 연동해석을 통해 TOUGH2 코드의 열-수리 유동해석과 FLAC3D의 역학적 거동해석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열에너지 저장공동 주변 암반의 열-수리-역학적 연계거동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Park et al.(2015)의 수치적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로서, 암반의 수리적 조건이 저장공동 주변 암반의 복합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면밀하게 검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수치모델 및 전반적인 접근방식은 Park et al.
  • 본 연구에서는 TOUGH2-FLAC3D 연계해석기법을 통하여 천부 암반 공동에 고온의 열에너지를 장기간 저장하는 경우를 모델링하고, 암반의 수리적 조건이 주변 환경의 열-수리-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여기에서는 저장공동 자체의 안정성보다는 열에너지저장으로 인해 주변 암반에 발생하는 열-수리적 변화와 역학적 거동을 예측하는 데에 주목적을 두었으며, 기초적인 연구로서 저장공동의 단열성능은 고려하지 않았다.
  • 그들의 연구에서는 기본 해석케이스로서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동일하고, 암반의 투수계수가 10-17 m2인 경우의 수치해석 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암반의 거동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수리적 요인으로서 저장공동 인근의지하수 포화조건(지하수위)과 암반 투수계수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수치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하수위가 심도 150 m인 경우와 암반의 투수계수가 각각 10-15, 10-12 m2인 경우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각 해석결과를 Park et al.
  • 본 절에서는 열에너지저장소 주변 암반의 거동 특성에 암반의 투수계수가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암반의 투수계수가 10-17 m2 , 10-15 m2 , 10-12 m2인 경우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암반의 열-수리 유동 및 역학적 거동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 본 절에서는 열에너지저장소 주변 암반의 거동 특성에 지하수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저장공동이 지하수위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모델링하고, 그 해석결과를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동일한 경우의 해석결과(Park et al., 2015)와 비교・검토하였다. 해석모델의 암반 투수계수는 결정질 암반을 가정하여 비교적 낮은 수치인 10-17 m2를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TOUGH2-FLAC3D 연계해석기법을 통하여 천부 암반 공동에 고온의 열에너지를 장기간 저장하는 경우를 모델링하고, 암반의 수리적 조건이 주변 환경의 열-수리-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여기에서는 저장공동 자체의 안정성보다는 열에너지저장으로 인해 주변 암반에 발생하는 열-수리적 변화와 역학적 거동을 예측하는 데에 주목적을 두었으며, 기초적인 연구로서 저장공동의 단열성능은 고려하지 않았다.

가설 설정

  • 저장심도와 저장기간은 각각 50 m, 30년이며, 기초 연구로서 저장공동의 단열성능을 배제한 안전측 해석을 실시하였다. 저장소는 높이와 직경이 각각 50 m, 20 m인 원통형이며, 내부의 저장온도는 평균 350℃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 해석모델의 암반 투수계수는 결정질 암반을 가정하여 비교적 낮은 수치인 10-17 m2를 적용하였다. 지하수위를 심도 150 m로 가정하고, 지표면에서 지하수위까지 포화도(saturation)가 1.0 이하인 불포화대(unsaturated zone)가 존재하는 것으로 모델링하였다. 여기서 포화도는 정확히 액체포화도(liquid saturation)를 의미하는 것으로 공극 내 액상으로 존재하는 지하수의 체적비를 의미한다.
  • , 2015)와 비교・검토하였다. 해석모델의 암반 투수계수는 결정질 암반을 가정하여 비교적 낮은 수치인 10-17 m2를 적용하였다. 지하수위를 심도 150 m로 가정하고, 지표면에서 지하수위까지 포화도(saturation)가 1.
  • 이를 위하여 암반의 투수계수가 10-17 m2 , 10-15 m2 , 10-12 m2인 경우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암반의 열-수리 유동 및 역학적 거동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해석상에서 지하수위는 지표면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이외의 해석조건은 2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에너지저장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최근 전력수급 체계의 불안정성과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에너지 환경 문제가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면서 새로운 에너지원의 개발과 에너지의 효율적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열에너지저장(thermal energy storage, TES)은 에너지 이용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태양열, 조력, 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나 산업폐열과 같은 잉여 에너지를 적절히 회수・저장하여 열원 형태의 유효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함으로써 전력공급의 탄력성을 제고하고 에너지 공급과 에너지 수요의 시간적・양적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암반 공동 열에너지저장의 장점은 무엇인가? 암반 공동 열에너지저장(cavern thermal energy storage, CTES)은 지하공동 내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개념으로 암반 자체를 열저장 매질로 사용하는 대수층 열에너지 저장(aquifer thermal energy storage, ATES)이나 보어홀 열에너지저장(borehole thermal energy storage, BTES) 에 비해 입지 유연성이 좋고, 고온의 원자로열이나 산업 폐열, 태양열 등의 대규모 저장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국내외적으로 상용화 사례를 찾기 어렵고, 현재까지 고온 열에너지저장 기술 대부분이 태양열에너지와 연계된 지상식 저장소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 왔으므로 암반 공동을 활용하기 위한 저장방식 및 운영방식 등에 대해서는 초기연구 단계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암반 공동 열에너지저장을 위해 주변 암반의 거동 특성을 적절히 예측하고 제어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암반 공동을 활용한 대용량 고온 열에너지저장 개념은 공동 자체의 안정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주변 암반의 열-수리적 환경과 역학적 거동 특성에 큰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지하수나 암반의 열전달로 인해 지표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변 암반의 거동 특성에 대해 적절히 예측하고 제어 대책을 수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연구에 의하면, 지중온도의 증가는 지하수용존 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미생물의 반응 활성화를 야기시켜, 토양의 산화-환원 상태를 보다 강력한 환원 조건으로 바꾸고 오염물질의 확산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onte, M., Stuyfzand, P.J., Hulsmann, A., Van Beelen, P., 2011, Underground thermal energy storage: environmental risks and policy developments in the Netherlands and European Union, Ecology and Society, Vol. 16, No. 1, pp. 22. 

  2. Hall, E.K., Neuhauser, C., Cotner, J.B., 2008, Toward a mechanistic understanding of how natural bacterial communities respond to changes in temperature in aquatic ecosystems, ISME Journal, Vol. 2, No. 5, pp. 471-481. 

  3. Itasca Consulting Group Inc., 2012, FLAC3D (Fast Lagrangian Analysis of Continua in 3 Dimensions) Version 5.0 (Minneapolis, MN). 

  4. Jaeger, J.C., Cook, N.G.W, Zimmerman, R.W., 2007, Fundamentals of rock mechanicics, 4th edition, London: Chapman and Hall. 

  5. Jesussek, A., Grandel, S., Dahmake, A., 2012, Impacts of subsurface heat storage on aquifer hydrogeochemistry, Environmental Earth Science, Vol. 69, pp. 1999-2012. 

  6. Joo, G.-J., Kim, D.-K., Yoon, J.-D., Jeong, K.-S., 2008, Climate changes and freshwater ecosystem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 Engineers, Vol. 30, No. 12, pp. 1190-1196. 

  7. Kang, H., Park, M.-Y., Jang, J.-H., 2013, Effect of Climate change on fish habitat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1, pp. 1-12. 

  8. Kim, H.M., Rutqvist, J., Ryu, D.W., Choi, B.H., Sunwoo, C., Song, W.K., 2012, Exploring the concept of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CAES) in lined rock caverns at shallow depth: A modeling study of air tightness and energy balance, Applied Energy, Vol. 92, pp. 653-667. 

  9. Knauss, K.G., Dibley, M.J., Leif, R.N., Mew, D.A., Aines, R.D., 2000, The aqueous solubility of trichloroethene (TCE) and tetrachloroethene (PCE)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pplied Geochemistry, Vol. 15, No. 4, pp. 501-512. 

  1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14, Development of technology of CO2 geological storage and securing green energy resources in deep geo-environment (Part III) GP2012-001-2014(3). 

  11. Kurylyk, B.L., MacQuarrie, K.T.B., Caissie, D., McKenzie, J.M., 2014, Shallow groundwater thermal sensitivity to climate change and land cover disturbances: derivation of analytical expressions and implications for stream temperature projection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1, pp. 12573-12626. 

  12. Menberg, K., Blum, P., Kurylyk, B. L., Bayer, P., 2014, Observed groundwater temperature response to recent climate change,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8, pp. 4453-4466. 

  13. Noyes, P.D., McElwee, M.K., Miller, H.D., Clark, B.W., Van Tiem, L.A., Walcott, K.C., Erwin, K.N., Levin, E.D., 2009, The toxicology of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contaminants in a warming world. Environment International, Vo. 35, No. 6, pp. 971-986. 

  14. Park, D., Kim, H.M., Ryu, D.W., Choi, B.H., Sunwoo, C., Han, K.C., 2013, The effect of aspect ratio on the thermal stratification and heat loss in rock caverns for underground thermal energy storage,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Vol. 64, pp. 201-209. 

  15. Park, J.W., Park, D., Ryu, D., Choi, B.H., Park, E.S., 2014, Analysis on heat transfer and heat loss characteristics of rock cavern thermal energy storage, Engineering Geology, Vol. 181, pp. 142-156. 

  16. Park, J.W., Rutqvist, J., Ryu, D., Synn, J., Park, E.S., 2015, Coupled thermal-hydrological-mechanical behavior of rock mass,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25, No. 2, pp. 155-167. 

  17. Porporato, A., Laio, F., Ridolfi, L., Rodriguez-Iturbe, I., 2001, Plants in water-controlled ecosystems: active role in hydrological processes and response to water stress III, Vegetation water stres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24, No. 7, pp. 725-744. 

  18. Pruess, K., Oldenburg, C., Moridis, G., 1999, TOUGH2 User's guid, Ver. 2.0.,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Report LBL-43134, Berkeley, CA, USA. 

  19. Rodriguez-Iturbe, I., 2000, Ecohydrology: a hydrologic perspective of climate-soil-vegetation dynamic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6, No. 1, pp. 3-9. 

  20. Rutqvist, J., Oldenburg, C.M., 2008, Analysis of injectioninduced micro-earthquakes in a geothermal steam reservoir, In: Proceedings of the 42th U.S. Rock Mechanics Symposium,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June 29-July 2, 2008, American Rock Mechanics Association ARMA, Paper No. 151. 

  21. Rutqvist, J., Tsang, C.F., 2003, Analysis of thermalhydrologic-mechanical behavior near an emplacment drift at Yucca Mountain, Journal of Contaminant Hydrology, Vol. 62-63, pp. 637-652. 

  22. Rutqvist, J., Y-S. Wu, C-F Tsang and G. Bodvarsson, 2002, A modeling approach for analysis of coupled multiphase fluid flow, heat transfer, and deformation in fractured porous rock,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enics and Mining Sciences, Vol. 39, pp. 429-442. 

  23. Sowers, L.S., Epstein, C., York, K.P., van Guilder, B., Jahangir, Z.M.G.S., Steinberg, A., Stafford, L., Pierce, J., 1997, Impact of a large scale geothermal project on its surface and subterranean environment, Megastock 97 Proceedings, Volume 1: 85-90. Presented at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rmal Energy Storage, Sapporo, Japan, June 18-21, 1997. 

  24. Ten Hulscher, T.E.M., Cornelissen, G., 1996, Effect of temperature on sorption equilibrium and sorption kinetics of organic micropollutants-a review, Chemosphere, Vol. 32, No. 4, pp. 609-626. 

  25. Tsang, C.F., Birkholzer, J., Rutqvist, J., 2008, A comparative review of hydrologic issues involved in geologic storage of $CO_2$ and injection disposal of liquid waste, Journal of Environmental Geology, Vol. 54, pp. 1723-1737. 

  26. York, K.P., Jahangir, Z.M.G.S., Solomon, T., Stafford, L., 1998, Effects of a large scale geothermal heat pump installation on aquifer microbiota. The Second Stockton International Geothermal Conference Proceedings, pp. 49-56, Presented at the Second Stockton International Geothermal Conference, Pomona, NJ, March 16-17,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