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미싱 범죄 프로파일링 모델 설계
Designing SMS Phishing Profiling Model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25 no.2, 2015년, pp.293 - 302  

정영호 (경찰대학 국제사이버범죄연구센터) ,  이국헌 (고려대학교 디지털포렌식 연구센터) ,  이상진 (고려대학교 디지털포렌식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미싱 범죄 피해 사례에서 수집할 수 있는 공격정보들을 이용하여, 범죄수사에 사용하는 프로파일링 기법을 응용한 스미싱 범죄 프로파일링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에 수사기관에서는 apk 파일해시를 이용한 시그니처 분석과 코드 내 삽입된 C&C IP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시그니처의 다변화와 코드 난독화로 인해 그 활용도가 낮아졌다. 실제 수사기관에 접수된 169건의 피해사례의 분석을 통해, apk 파일 내 인증서 파일 일련번호의 재사용이 151건(89%), 퍼미션 파일의 재사용은 136건(80%)에 달한다는 점에 착안, 인증서 파일의 일련번호와 퍼미션 파일의 해시를 중심으로 한 스미싱 프로파일링 모델을 설계하여 범죄를 군집화하여 기존의 해시 기반 군집화 방법을 보완하였고, 코드 유사도 검증을 통하여 추가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attack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SMS phishing investigation, this paper will propose SMS phishing profiling model applying criminal profiling. Law enforcement agencies have used signature analysis by apk file hash and analysis of C&C IP address inserted in the malware. However, recent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파일 내부 정보를 이용한 분류모델은 간략화하고, 범죄조직이 이용한 공격정보(SMS, 단축URL)와 피해자정보를 결합하여, 악성코드 기반분류모델로는 분류할 수 없는 범죄 피해사례별 군집화 및 프로파일링 기법을 연구한다.
  • 본 논문은 지금까지 제시된 스미싱 범죄의 클러스터링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사이버범죄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한 스미싱 범죄 프로파일링 모델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2장과 3장에서는 스미싱 범죄 현황과 기존 사이버범죄 프로파일링, 모바일 악성코드의 분류방법에 대한 선행 연구 내용을 살펴보며, 4장에서는 apk 파일의 인증서 일련번호, 퍼미션 파일의 해시 값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한 스미싱 프로파일링 모델을 설계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효과성을 검증한다.

가설 설정

  • 169건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apk 파일의 해시값이 중복되어 나타난 경우는 16건에 불과하였지만, 퍼미션이 중복되어 나타난 경우는 136건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중복 사용 총 32종류) 퍼미션 파일이 애플리케이션 개발 단계에서 선언하고 사용된다는 점에서, 개발자들은 퍼미션 파일을 대부분 재사용한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또한 중복 사용이 발견되지 않은 퍼미션 파일의 경우에도 피해사례 분석을 전국으로 확대한다면 충분히 중복된 사례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하지만 새로운 기준에 따라 인증서 일련번호와 퍼미션 파일의 해시로 사례를 군집화하고, 인증서 일련번호가 다르더라도 퍼미션 파일의 해시 값이 동일하므로 같은 그룹의 사례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미싱이란? 스미싱(smishing)은 인터넷 보안기업 맥아피(McAfee)가 2006년에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이며,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발송되는 피싱 공격을 의미한다[3]. 공격자는 Web 접속이 가능한 피해자의 휴대전화에 URL 주소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고, 피해자가 그 링크를 클릭하면 트로이목마가 설치되는 원리이다.
스미싱의 공격 원리는?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이며,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발송되는 피싱 공격을 의미한다[3]. 공격자는 Web 접속이 가능한 피해자의 휴대전화에 URL 주소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고, 피해자가 그 링크를 클릭하면 트로이목마가 설치되는 원리이다.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에서는 ‘무료쿠폰 제공’, ‘돌잔치 초대장’, ‘모바일청첩장’ 등을 내용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내 인터넷주소를 클릭하면 악성코드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피해자가 모르는 사이에 소액결제 피해나 개인․금융정보를 탈취당하는 사이버범죄 행위를 스미싱으로 정의하고 있다[4].
사이버범죄와 일반범죄의 차이점은? 일반 강력범죄의 경우 한 건의 범죄에선 범인(범죄조직)과 피해자가 같은 범죄장소에 위치하지만, 스미싱과 같은 사이버범죄는 범죄를 저지르는 장소에 관계없이 피해자들이 전국에 퍼져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 수사가 전국의 경찰관서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어 행정력이 낭비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orean Nation Police Agency, http://www.police.go.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64121&fileSn1&bbsIdB0000011 

  2.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http://www.fsc.go.kr/info/ntc_news_view.jsp?menu7210100&bbsidBBS0030&no29505, Dec. 2013. 

  3. InfoWorld, http://www.infoworld.com/article/2659058/security/mcafee-warnsof-smishing--attacks.html 

  4. Korean Nation Police Agency, http://www.police.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287 

  5. Jae-sung Yun, et al. "Andro-profiler: Anti-malware system based on behavior profiling of mobile malwa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24(1), pp. 145-154, Feb. 2014. 

  6. Changwook Park, et al.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Model of Similarity Malware using Fuzzy Hash,"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22(6), pp. 1325-1336, Dec. 2012. 

  7. Jae-woo Park, et al. "An Automatic Malware Classification System using String List and APIs," Journal of Security Engineering, 8(5), pp. 611-626, Oct. 2011. 

  8. Dong-Jie Wu, et al. "Droidmat: Android malware detection through manifest and API calls tracing," Information Security (Asia JCIS), 2012 Seventh Asia Joint Conference on. IEEE, 2012. 

  9. Choon Kyong Joo and Ji won Yoon, "Discrimination of SPAM and prevention of smishing by sending personally identified SMS(For financial secto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24(4), pp. 645-653, Aug. 2014. 

  10. SangKeun Jang, "A strategy for mobile malicious code and a method for diagnosis of moblie malicious code by case anlaysis," KIISC Review, 23(2), pp. 14-20, Apr. 2013. 

  11. Douglas, John E., et al. "Criminal profiling from crime scene analysis," Behavioral Sciences & the Law, vol. 4, no. 4, pp. 401-421, 1986. 

  12. Chaeho Lim, et al. "Profiling of Cyber-crime by Psychological View,"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19(4), pp. 115-124, Aug. 2009. 

  13. Cheol-Woo Jeong, et al. "A design for Profiling-system of Cyberterrorism,"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Jan. 2013. 

  14. Hongsuk Yang, "A model design for Profiling of DDoS Crime," Ph.D. Thesis, Korea University, Feb. 2012. 

  15. Neumann, Alexander, Johannes Barnickel, and Ulrike Meyer. "Security and privacy implications of url shortening services,"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Web 2.0 Security and Privacy, 2010. 

  16. Android Developer, "app-signing", http://developer.android.com/tools/publishing/app-signing.html 

  17. Java SE Documentation, "keytool", http://docs.oracle.com/javase/6/docs/technotes/tools/windows/keytool.html 

  18. Gephi v0.8.2, http://gephi.github.io/ 

  19. Jun-Hyung Kim and Eul-Gyu Im, "Androguard: Similarity Analysis for Android Application Binaries", Korea Computer Congress 2014, pp. 101-103, Jun,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