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대기 중 초미세먼지 (PM2.5) 질량과 화학성분 농도의 장기 변동 추이
Long-term Trends of the Concentrations of Mass and Chemical Composition in PM2.5 over Seoul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1 no.2, 2015년, pp.143 - 156  

한상희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용표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중점으로 1984년부터 2013년까지의 TSP, $PM_{10}$, $PM_{2.5}$$PM_{2.5}$의 이온성분 그리고 원소상탄소의 농도변화 추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TSP와 $PM_{10}$은 비슷한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1998년부터 2003년까지를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PM_{2.5}$는 정부 자료와 학술대회나 학술지에서 파악한 자료의 질량농도는 다르지만 두 자료 모두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10년 이후에는 2015년부터 적용될 연평균 기준농도보다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2013년에는 다시 증가했고 안정적으로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PM_{2.5}$에 대한 보다 적절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M_{2.5}$의 이온성분의 경우 $NH{_4}^+$$NO{_3}^-$의 농도는 증가하고 $SO{_4}^{2-}$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SO{_4}^{2-}$ 농도의 감소는 중국에서의 장거리 이동 영향과 정책의 적용이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이온성분들 간의 반응도 이온성분의 농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NO{_3}^-$의 경우 $SO{_4}^{2-}$와는 다르게 $NO_x$의 농도는 감소하고 있지만 저감 대책에 따른 $NO_2$의 뚜렷한 농도변화를 보이지 않고 $NO{_3}^-$의 농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M_{2.5}$의 원소상 탄소의 추이를 통해 1차 오염과 2차 오염의 영향을 볼 수 있다. OC는 2000년대 초반까지는 감소하였으나 2000년대 후반에는 뚜렷한 경향이 없으며, EC는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OC와 EC의 추이뿐만 아니라 두 성분의 비를 통해 1차 오염보다는 2차 오염에 의한 영향이 크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1986년부터 2013년까지 장기간의 $PM_{2.5}$와 그 화학성분들의 연평균 농도 추이를 파악하였다. $PM_{2.5}$와 그 성분의 농도 변화 추이를 통해 대기오염원의 기여도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PM_{2.5}$와 그 화학조성은 대기질 개선을 위한 대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이 연구가 정확성을 갖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평균 농도파악을 통해 구체적인 추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속적인 측정과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적절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iterature data of the mass concentrations of TSP, $PM_{10}$, and $PM_{2.5}$,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M_{2.5}$ (sulfate, nitrate, ammonium, OC, and EC) from 1985 and 2013 at Seoul were collected and the temporal trends we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the 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WSOC는 유기화합물에 산소나 질소가 포함된 성분들로 대부분의 2차 OC가 WSOC에 포함된다. 또 다른 구분은 OC를 분석하는 동안의 광학특성 변화도(thermogram)을 분석하여 발생원을 구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들 방법들은 나름대로의 장단점이 있으나, 가장 유효한 방법은 OC에 포함된 성분들을 하나씩 정량화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중점으로 1984년부터 2013년까지의 TSP, PM10, PM2.5와 PM2.5의 이온성분 그리고 원소상탄소의 농도변화 추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TSP와 PM10은 비슷한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1998년부터 2003년까지를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정부 자료, 국내외 학술대회와 학술지 자료, 보고서 자료를 검토하여 (1) 1985년부터 2013년 사이의 서울의 총부유분진(TSP, Total Suspended Particles), PM10, PM2.5의 질량농도와 PM2.5 화학조성의 변화추이와 구성 비율을 파악, 검토하고, (2) 이러한 추이가 나타난 정부 정책에 따른 PM2.5와 전구물질의 배출량 변화, 대기에서의 반응, 외부에서의 이동을 통한 과정을 검토하여, (3) PM2.5 농도를 저감하기 위해 추진하여야 할 정책 및 연구 방향을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한 가지 가설은 NO3- 농도의 경우 이온 성분(NH4+, SO42- , NO3- ) 사이의 반응이 NO3- 농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것이다. 서울 대기에 과량으로 존재하는 NH4+의 경우 보통 SO42-와 결합하여 (NH4)2SO4의 상태로 존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오염물질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대기오염을 “대기 중에 인위적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이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존재하여 오염물질의 양, 농도 및 지속시간이 어떤 지역의 불특정 다수인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해당 지역에 공중보건상 위해를 끼치고, 인간이나 동식물의 활동에 해를 주어 생활과 재산을 향유할 정당한 권리를 방해 받는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WHO, 2013). 대기오염을 일으킨다고 판단되는 물질을 대기오염물질이라 하며 크게 가스상 물질과 입자상 물질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중 입자상 물질에 포함되는 초미세먼지(PM2.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의한 대기오염이란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대기오염을 “대기 중에 인위적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이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존재하여 오염물질의 양, 농도 및 지속시간이 어떤 지역의 불특정 다수인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해당 지역에 공중보건상 위해를 끼치고, 인간이나 동식물의 활동에 해를 주어 생활과 재산을 향유할 정당한 권리를 방해 받는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WHO, 2013). 대기오염을 일으킨다고 판단되는 물질을 대기오염물질이라 하며 크게 가스상 물질과 입자상 물질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기오염물질 중 초미세먼지(PM2.5)와 미세먼지(PM10)는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대기오염을 일으킨다고 판단되는 물질을 대기오염물질이라 하며 크게 가스상 물질과 입자상 물질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중 입자상 물질에 포함되는 초미세먼지(PM2.5)와 미세먼지(PM10)는 각각 공기역학적 지름이 2.5 μm, 10 μm 이하의 먼지를 말한다. PM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Choi, E.K. and Y.P. Kim (2010) Effects of aerosol hygroscopicity on fine particle mass concentration and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at Seoul and Gosan in Korea. Asian J. Atmos. Environ., 4(1), 55-61. 

  2. Ghim, Y.S. and C.H. Kim (2013) Regional trends in shortterm high concentrations of criteria pollutants from national air monitoring station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9(5), 545-552. 

  3. Han, Y.J., Y.S. Kim, and H.K. Kim (2008) Ionic constituents and source analysis of $PM_{2.5}$ in three Korean cities, Atmos. Environ., 42(19), 4735-4746. 

  4. He, Y., I. Uno, Z. Wang, T. Ohara, N. Sugimoto, A. Shimizu, A. Richter, and J.P. Burrows (2007) Variations of the increasing trend of tropospheric $NO_{2}$ over central east China during the past decade, Atmos. Environ., 41(23), 4865-4876. 

  5. Hong, S.Y., J.J. Lee, J.Y. Lee, and Y.P. Kim (2008) Comparison of the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in Seoul and other foreign mega-cities, Part. Aerosol Res., 4(1), 1-7. 

  6. Huh, J.B., Y.M. Lee, Y.S. Seo, H.S. Kim, S.H. Kim, and S.M. Yi (2004) Distribution of $PM_{2.5}$ and Component of Atmosphere in Seoul, proc. Korean Soc. Atmos. Environ., 38, 224-225. 

  7. Hwang, E.J., J.Y. Lee, and Y.P. Kim (2014) An internal thermal desorp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ethod for analysis of non-polar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erosol samples, J. Korean Soc. Environ. Anal., 17(1), 54-61. 

  8. Jung, J.H., S.R. Kim, B.R. Choi, K.S. Kim, J.B. Huh, S.M. Yi, and Y.J. Han (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rbonaceous Compounds in $PM_{2.5}$ Measured in Chuncheon and Seoul, J. Korean Soc. Atmos. Environ., 25(2), 141-153. 

  9. Kang, C.M., B.W. Kang, and H.S. Lee (2006) Source identification and trends in concentrations of gaseous and fine particulate principal species in Seoul, South Korea, J. Air & Waste Manage. Assoc., 56(7), 911-921. 

  10. Kang, C.M., H.S. Lee, B.W. Kang, S.K. Lee, and S.W. Young (2004)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idic gas pollutants and $PM_{2.5}$ species during hazy episodes in Seoul, South Korea, Atmos. Environ., 38, 4749-4760. 

  11. Kim, H.J., J.Y. Ahn, K.J. Moon, J.C. Kim, J.S. Kim, M.D. Lee, S.J. Lee, H.E. Jeon, J. Oh, J.S. Choi, S.M. Park, S.U. Lee, A.K.R. Loka, and E.S. Shin (2010)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PM_{2.5}$ , J. Korean Soc. Atmos. Environ., 16(2), 81-88. 

  12. Kim, H.S., J.B. Huh, K.H. Philip, M.H. Thomas, and S.M. Yi (2007)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hemical constituents of $PM_{2.5}$ and smog event in Seoul, Korea in 2003 and 2004, Atmos. Environ., 41(32), 6762-6770. 

  13. Kim, N.K., Y.P. Kim, and C.H. Kang (2011) Long-term trend of aerosol composition and direct radiative forcing due to aerosols over Gosan: TSP, $PM_{10}$ , and $PM_{2.5}$ data between 1992 and 2008, Atmos. Environ., 45(34), 6107-6115. 

  14. Kim, N.K., Y.P. Kim, Y. Morino, J.-I. Kurokawa, and T. Ohara (2013) Verification of $NO_{x}$ emission inventory over South Korea using sectoral activity data and satellite observation of $NO_{2}$ vertical column densities, Atmos. Environ., 77, 496-508. 

  15. Kim, Y.P. (2006) Air Pollution in Seoul Caused by Aerosol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2(5), 535-553. 

  16. Kim, Y.P. (2009) Validation of the emission inventor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Seoul, Part. Aerosol Res., 5(3), 139-143. 

  17. Kim, Y.P. (2010) Analysis of the trend of atmospheric $PM_{10}$ concentration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etween 1999 and 2008, J. Environ. Impact Assess., 19(1), 59-74. 

  18. Kim, Y.P. (2011) Challenges for the Management of Ambient $PM_{2.5}$ , proc. Korean Soc. Atmos. Environ., 53, 45-47. 

  19. Kim, Y.P. and M.J. Yeo (2013) The trend of the concentrations of the criteria pollutants over Seoul, J. Korean Soc. Atmos. Environ., 29(4), 369-377. 

  20. Kim, Y.P., S.G. Shim, K.C. Moon, N.J. Baik, S.J. Kim, C.G. Hu, and C.H. Kang (1995)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at Kosan, Cheju Island: Intensive study results during March 1117 1994, J. KAPRA, 11(3), 263-272. 

  21. Kim, Y.P., K.C. Moon, J.H. Lee, and N.J. Baik (1999) Concentrations of carbonaceous species in Particles at Seoul and Cheju in Korea, Atmos. Environ., 33(17), 2751-2758. 

  22. Kwon, S.H., Y.P. Kim, and J.Y. Lee (2013) Impact of dust storm on the organic composition in the ambient aerosol, Aerosol Air Qual. Res., 13(1), 97-106. 

  23. Lee, B.K., Y.H. Kim, J.Y. Ha, and D.S. Lee (2005) Development of automated and continuous analysis system for $PM_{2.5}$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PM_{2.5}$ in the atmosphere in Seoul, J. Korean Soc. Atmos. Environ., 21(4), 439-458. 

  24. Lee, H.S. and B.W. Kang (2001)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rincipal $PM_{2.5}$ species in Chongju, South Korea, Atmos. Environ., 35(4), 739-746. 

  25. Lee, J.H., N.J. Baik, Y.P. Kim, and K.C. Moon (1995) Visibility study in Seoul on Aug., 1993, J. Korean Soc. Atmos. Environ., 11(3), 291-298. 

  26. Lee, J.Y. and Y.P. Kim (2007) Source apportionment of the particulate PAHs at Seoul, Korea: impact of long range transport to a megacity, Atmos. Chem. Phys., 7, 3587-3596. 

  27. Lee, J.Y., D.A. Lane, J.B. Huh, S.M. Yi, and Y.P. Kim (2009) Analysis of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PM_{2.5}$ over Seoul using Thermal Desorption-comprehensive Two Dimensional Gas Chromatography-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TD-GC $\times$ GCTOFM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5(5), 420-431. 

  28. Lee, J.Y., D.A. Lane, and Y.P. Kim (2015) Formation of PAHquinonesduring the gas phase reactions of PAHs with the OH radical in the atmosphere, Environmental Chemistry, in press. 

  29. Lee, S., Y.S. Ghim, Y.P. Kim, and J.Y. Kim (2006) Estimation of the seasonal variation of particulate nitrate and sensitivity to the emission changes in the greater Seoul area, Atmos. Environ., 40(20), 3724-3736. 

  30. Lee, S.B., G.N. Bae, H.C. Jin, Y.S. Ghim, K.C. Moon, and S.G. Shim (2004) Shipboard measurements of air pollutants across the Yellow s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0(1), 33-46. 

  31. Lee, S.Y., J.B. Huh, and S.M. Yi (2010) Characteristic of carbonaceous compounds in $PM_{2.5}$ measured in Seoul, proc. Korean Soc. Atmos. Environ., 51, 253. 

  32. Lim, D.Y., T.J. Lee, and D.S. Kim (2012) Quantity estimation of precipitation scavenging and wind dispersion contributions for $PM_{10}$ and $NO_{2}$ using long-term air and weather monitoring database during 2000-2009 in Ko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8(3), 325-347. 

  33.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Basic Plan on the 2nd stage Metropolitan Area Air Quality Management. (in Korean) 

  34.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01-2013) Environmental statistics yearbook. (in Korean) 

  35. NAEK(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Korea) (2014) $PM_{2.5}$ in East Asia, A policy report. 

  36.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Annual Report of Ambient Air Quality in Korea, 2012. 

  37. Pandis, S.N. and J.H. Seinfeld (2006)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from air pollution to climate change, 2nd Ed., Wiley. 

  38. Park, S.M., K.J. Moon, S.J. Park, H.J. Kim, J.Y. Ahn, and J.S. Kim (2012)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mbient Aerosol during Asian Dusts and High PM Episodes at Seoul Intensive Monitoring Site in 2009, J. Korean Soc. Atmos. Environ., 28(3), 282-293. 

  39. Richter, A., J.P. Burrows, H. Nuss, C. Granier, and U. Niemeier (2005) Increase in tropospheric nitrogen dioxide over China observed from space, Nature, 437(1), 129-132. 

  40. SEPA (State Environmental Protection Administration) (2013) Report on the State of the Environment in China 2011, (http://english.mep.gov.cn/standards_reports/soe/soe2011/201307/t20130712_255427.htm), accessed on 2014. 12. 5. 

  41. Shin, H.J., J.C. Kim, S.J. Lee, and Y.P. Kim (2013a) Evaluation of the optimum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rol strategy considering the formation of ozone and secondary organic aerosol in Seoul, Korea, Environ. Sci. Pollut. Res., 20(3), 1468-1481. 

  42. Shin, H.J., S.A. Roh, J.C. Kim, and Y.P. Kim (2013b) Temporal vari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their major emission sources in Seoul, Korea, Environ. Sci. Pollut. Res., 20(12), 8717-8728. 

  43. Shon, Z.H., K.H. Kim, S.K. Song, K. Jung, N.J. Kim, and J.B. Lee (2012) Relationship between water-soluble ions in $PM_{2.5}$ and their precursor gases in Seoul megacity, Atmos. Environ., 59, 540-550. 

  44. SI (The Seoul Institute) (2011) Analysis of the reason for the slow reduction of nitrogen dioxide ( $NO_{2}$ ) concentration and countermeasures in Seoul, Seoul. 

  45. SI (The Seoul Institute) (2012) Identification and apportionment of VOC emission sources in Seoul, Seoul. 

  46. Sohn, D.H. and M.Y. Heo (1986) Concentration and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s, Chloride, Nitrate, and Sulfate Salt in Urban Air, J. Korean Soc. Atmos. Environ., 2(3), 27-33. 

  47. US EPA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1)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http://www.epa.gov/air/criteria.html) accessed on 2014. 6. 24. 

  48. Wang, J., Z. Hu, Y. Chen, Z. Chen, and S. Xu (2013)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and possible sources of $PM_{10}$ and $PM_{2.5}$ in different functional areas of Shanghai, China, Atmos. Environ., 68, 221-229. 

  49.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Health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Copenhagen, Denmar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