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장단계에 따른 케일 내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Effect of Developmental Stages on Glucosinolate Contents in Kale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3 no.2, 2015년, pp.177 - 185  

이헌학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양시창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이민기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류동기 (충남대학교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  박수형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정선옥 (충남대학교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  박상언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임용표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김선주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케일 내 유용성분인 GSL 함량은 작물의 재배방법과 기후조건, 영양상태, 유전적 특성 등 재배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생장단계에 따른 케일(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내 GSL 함량을 조사하였다. 케일 품종은 'Manchoo Collard', 'TBC' 두 품종으로 재배기간은 2012년 2월 20일부터 동년 7월 3일까지 133일이었으며 수확시기는 파종 후 35, 63, 91, 105, 119, 133일(days after sowing, DAS)이었다. 'TBC'에서는 총 10종의 GSL(progoitrin, sinigrin, glucoalyssin, gluconapin, glucoiberverin, 4-hydroxyglucobrassicin, glucobrassicin, 4-methoxyglucobrassicin, gluconasturtiin, neoglucobrassicin)가 분리 및 동정되었으나 'Manchoo Collard'에서는 glucoiberverin를 제외한 9종의 GSL가 분리 및 동정되었다. 'Manchoo Collard'의 GSL 함량은 133DAS에서(평균 $6.12{\mu}mol{\cdot}g^{-1}$ DW)가장 높았고, 35DAS($1.16{\mu}mol{\cdot}g^{-1}$ DW)에서 가장 낮았다. 'TBC'의 GSL 함량은 91DAS(평균 $13.41{\mu}mol{\cdot}g^{-1}$ DW)에서 가장 높았고, 35DAS($0.31{\mu}mol{\cdot}g^{-1}$ DW)에서 가장 낮았다. 총 GSL 함량 중 sinigrin이 'Manchoo Collard'(133DAS)에서 57%, 'TBC'(91DAS)에서 44%로 가장 높았다. 항암효과가 뛰어난 crambene, allyl isothiocynate, indole-3-cabinol, phenethyl isothiocyanate의 전구체인 progoitrin, sinigrin, glucobrassicin, gluconasturtiin은 'Manchoo Collard'와 'TBC'의 총 GSL 함량 중 각각 94, 78%로 나타나 두 품종 모두 항암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mounts of glucosinolates (GSL) in kale at various development stages. Kale varieties 'Manchoo Collard' and 'TBC' were cultivated from 20 February 2012 to 3 July 2013 in the greenhouse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s, sa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케일 내 GSL에 관한 연구는 케일의 생육이 이미 끝난 상태에서의 GSL 함량, GSL의 항산화 활성, 관상용 케일 품종에 따른 GSL 함량 분포에 대한 연구 등이 있는데 케일의 생육정도에 따른 GSL 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육단계별 GSL 함량이 최대가 되는 생육 단계를 보여줌으로써 케일 활용에 있어서 더욱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케일 주스’로 많이 소비되고 있는 케일 잎을 생장 단계(35, 63, 91, 105, 119, 133 days after sowing, DAS)에 따라 수확하여 케일 잎의 GSL 함량을 평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장단계에 따른 케일 내 GSL 함량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한편, ‘TBC’의 경우 91DAS 이후로는 GSL 전체 함량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는데 이는 그에 해당하는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케일의 잎이 더이상 크게 자라지 않았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케일 내 GSL 함량은 잎의 체적과 수량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며 생육이 어느 정도 완성된 이후에도 주변 환경의 온도, 습도나 영양 상태에 따라 GSL 함량은 달라질 수 있으나 그 변화는 생장 정도에 비해 미미한 것으로 사료된다.
글루코시놀레이트란 무엇인가? GSL는 질소와 황을 함유하고 있는 2차 대사산물로 배추과 채소에 널리 분포한다. GSL는 독특한 향기와 매운 맛을 내고 주로 종자에 많이 존재하며, 발아 후 생장하면서 그 농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Fahey et al.
화학적으로 안정한 GSL의 식물체 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 나타나는 변화는? , 2001; Zhang and Talalay, 1994). GSL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지만, 식물체 조직이 손상을 입으면 myrosinase(thioglycoside glucohydrolase, EC 3.2.3.1)에 의해 빠르게 가수분해되어 불안정한 중간체 thiohrdroxamateO-sulfonate를 형성하며, 이 물질은 isothiocynates, oxazoldine2-thiones, indole-3-cabinol, nitriles, epithionitrile, thiocynates 등과 같은 안정한 물질로 전환된다(Fahey et al., 2001; Halkier and Du, 1997; Higd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gerbirk, N. and C.E. Olsen. 2012. Glucosinolate structures in evolution. Phytochemistry 77:16-45. 

  2. Cartea, M.E., P. Velasco, S. Obregon, G. Padilla, and A. de Haro. 2008. Seasonal variation in glucosinolate content in Brassica oleracea crops grown in northwestern Spain. Phytochemistry 69:403-410. 

  3. Choi, Y.H., K.Y. Park, S.M. Lee, M.A. Yoo, and W.H. Lee. 1995. Inhibitory effect of the fresh juice of kale on the genotoxicity of aflatoxin B1. Korean J. Genetic. 17:183-190. 

  4. Clarke, D.B. 2010. Glucosinolates, structures and analysis in food. Anal. Methods 2:310-325. 

  5. Fahey, J.W., A.T. Zalcmann, and P. Talalay. 2001. The chemical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glucosinolates and isothiocyanates among plants. Phytochemistry 56:5-51. 

  6. Goncalves, A.L.M., M. Lemos, R. Niero, S.F. de Andrade, and E.L. Maistro. 2012. Evaluation of the genotoxic and antigenotoxic potential of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D.C. in different cells of mice. J. Ethnopharmacol. 143:740-745. 

  7. Hagen, S.F., G.I.A Borge, K.A. Solhaug, and G.B. Bengtsson. 2009. Effect of cold storage and harvest date on bioactive compounds in curly kale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Postharvest Biol. Technol. 51:36-42. 

  8. Halkier, B.A. and L. Du. 1997. The biosynthesis of glucosinolates. Trends Plant Sci. 2:425-431. 

  9. Halvorsen, B.L., K. Holte, M.C.W. Myhrstad, I. Barikmo, E. Hvattum, S.F. Remberg, A.B. Wold, K. Haffner, H. Baugerod, L.F. Andersen, O. Moskaug, D.R. Jr. Jacobs DR. and R. Blomhoff. 2002. A systematic screening of total antioxidants in dietary plants. J. Nutr. 132:461-471. 

  10. Higdon, J.V., B. Delage, D.E. Williams, and R.H. Dashwood. 2007. Cruciferous vegetables and human cancer risk: epidemiologic evidence and mechanistic basis. Pharmacol. Res. 55:224-236. 

  11. Hwang, E.S., E.Y. Hong and G.H Kim. 2012. Determinati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biocancer effect from extracts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Korean J. Food Nutr. 25:259-265. 

  12.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1992. Rapeseed: Determination of glucosinolates. Part 1: Metho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 1-9. In: ISO 9167-1. Geneva, Switzerland. 

  13. Keck, A.S. and J.W. Finley. 2004. Cruciferous vegetables: cancer protective mechanisms of glucosinolate hydrolysis products and selenium. Integr. Cancer Ther. 3:5-12. 

  14. Kim, S.J., C. Kawaharada, S. Jin, M. Hashimoto, G. Ishii, and H. Yamauchi. 2007. Structural elucidation of 4-(cystein-S-yl)butyl glucosinolate from the leaves of Eruca sativa. Biosci. Biotechnol. Biochem. 71:114-121. 

  15. Kim, Y.S. and J.A. Milner. 2005. Targets for indole-3-carbinol in cancer prevention. J. Nutr. Biochem. 16:65-73. 

  16. Kushad, M.M., A.F. Brown, A.C. Kurilich, J.A. Juvik, B.P. Klein, M.A. Wallig, and E.H. Jeffery. 1999. Variation of glucosinolates in vegetable crops of Brassica oleracea. J. Agric. Food Chem. 47:1541-1548. 

  17. Kushad, M.M., R. Cloyd, and M. Babadoost. 2004. Distribution of glucosinolates in ornamental cabbage and kale cultivars. Sci. Hortic. 101:215-221. 

  18. Lee, S.M., S.H. Rhee, and K.Y. Park. 1997. Antimutagenic effect of various cruciferous vegetables in salmonella assaying system. J. Food Hyg. Saf. 12:321-327. 

  19. Lim, H.S. 2002. The study for contents of sinigrin in dolsan leaf mustard kimchi during fementation periods. Korean J. Life Sci. 12:523-527. 

  20. Magrath, R., F. Bano, M. Morgner, I. Parkin, A. Sharpe, C. Lister, C. Dean, J. Turner, D. Lydiate, and R. Mithen. 1994. Genetics of aliphatic glucosinolates. I. Side chain elongation in Brassica napus and Arabidopsis thaliana. Heredity 72: 290-299. 

  21. Podseek, A. 2007. Natural antioxida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Brassica vegetables: A review. LWT-Food Sci. Technol. 40:1-11. 

  22. Sun, B., N. Liu, Y. Zhao, H. Yan, and Q. Wang. 2011. Variation of glucosinolates in three edible parts of Chinese kale (Brassica alboglabra Bailey) varieties. Food Chem. 124:941-947. 

  23. Zhang, Y. and P. Talalay. 1994.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organic isothiocyanates: Chemistry and mechanisms. Cancer Res. 54:1976-1981. 

  24. Zhang, Z., J.A. Ober, and D.J. Kliebenstein. 2006. The gene controlling the quantitative trait locus epithiospecifier modifier1 alters glucosinolate hydrolysis and insect resistance in Arabidopsis. Plant Cell 18:1524-15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