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라돈 취약가구에 대한 주거공간의 실내 라돈 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oor Radon Concentration among Vulnerable Household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1 no.2, 2015년, pp.61 - 70  

주덕현 (한국환경공단 안전정책지원팀) ,  박기호 (한국환경공단 안전정책지원팀) ,  정희원 (한국환경공단 안전정책지원팀) ,  임형준 (한국환경공단 안전정책지원팀) ,  복동석 (한국환경공단 안전정책지원팀) ,  윤동원 (한국환경공단 안전정책지원팀) ,  민경환 (한국환경공단 안전정책지원팀) ,  문경덕 (한국환경공단 안전정책지원팀) ,  김정운 (한국환경공단 안전정책지원팀) ,  이지민 (한국환경공단 안전정책지원팀) ,  최원용 (한국환경공단 안전정책지원팀) ,  김성윤 (한국환경공단 안전정책지원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radon exposur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environment and indoor radon concentrations among vulnerable households. Methods: Nationwide, 1,129 subjects were selected using personal questionnaires for adequately understand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라돈 노출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는 단독 및 연립/다세대주택의 1층과 반지하층, 그리고 지하층에 거주하는 전국 1,129가구를 대상으로 환기가 제한적인 겨울철의 실내 라돈 농도를 측정한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라돈 노출에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국내의 단독주택, 연립/다세대주택의 1층, 지하층, 반지하층(이하 라돈취약가구) 거주자들 대상으로 주거공간의 특성을 파악하고 지역별로 실내 라돈 농도의 수준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 라돈 대부분의 유입 경로는? 실내 라돈의 유입은 대부분(85~97%)이 확산이동 및 압력과 온도구배에 따른 대류 과정으로 건축물의 바닥이나 갈라진 벽의 균열부위를 통해 유입3)되므로 1층 이하의 거주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라돈 노출에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4) 특히 현대사회로 접어들어 인간의 활동양상은 유해인자 노출과 밀접5)해지고 하루 24시간의 대부분(80~88%)을 실내에서 생활하는 패턴으로 변화하고 있다.
라돈의 특징은? 라돈(222Rn)은 천연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방사성 기체를 말한다. 토양이나 암반 내에 존재하는 우라늄(238U)의 단계적 붕괴 과정에서 생성되는 무색, 무취의 비활성 기체로 토양, 모래, 건축자재 등에 미량(7.8 Bq/kg)으로 함유되어 있는 라듐(226Ra)의 알파붕괴시 생성되며,1) 지구상 어디서나 존재하는 자연방사능 물질이다. 화학적으로 극히 안정한 상태로 다른 물질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며 3.8일의 반감기를 지닌 채 토양에서 공기 중으로 방출되므로 라돈 딸핵종에 의한 일반인의 자연방사선 피폭 기여도가 높다.2)
라돈에 취약한 시설에 위치한 가구를 대상으로 정밀조사와 함께 저감 관리가 실시되어야 하는 이유는? 본 연구에서도 단독주택의 실내 라돈 농도(139.1Bq/m3)가 연립/다세대주택의 실내 라돈 농도(111.4 Bq/m3)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단독주택의 경우 건축 연식이 오래될수록 평균 실내 라돈 농도가 권고기준에 근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때문에 동계에 라돈에 취약한 시설에 위치한 가구를 대상으로 정밀조사와 함께 저감 관리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라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JD, Kim YS, Son BS, Kim DS. A study of radon concentration in first floor and basement and prediction of annual exposure rate in Korea. J Environ Sci. 2006; 15(4): 311-7. 

  2. Jamil K, Al-Ahmady KK, Fazal-ur-Rehman, Ali S, Qureshi AA, Khan HA. Relative performance of different types of passive dosimeters employing solid state nuclear track detectors. Health Phys. 1997; 73(4): 629-32. 

  3.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UNSCEAR). Sources, effects and risks of ionizing radiation.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annexes. United Nations. New York. 1988. 

  4.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1990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60. Annals of ICRP. 1991; 21(1-3). 

  5. Klepeis NE, Nelson WC, Ott WR, Robinson JP, Tsang AM, Switzer P, et al. The national human activity pattern survey(NHAPS): a resource for assessing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J Expo Anal Environ Epidemiol. 2011; 11(3): 231-52. 

  6. Yang WH, Lee KY, Yoon CS, Yu SD, Park KW, Choi WH. Determinants of residential indoor and transportation activity times in Korea. J Expo Sci Environ Epidemiol. 2011; 21(3): 310-6. 

  7. Spengler JD, Dockery DW. Personal exposure to respirable particulates and sulfates. J Air Pollut Control Assoc. 1981; 31(2): 153-9. 

  8. Ott WR. Models of human exposure to air pollutant. Technical report No.32. Study of Statistics. California: Stanford Univ Press; 1982. 

  9. Robinson J, Nelson WC. National human activity pattern survey database (US EPA). North Carolina: Research Triangle Park Press; 1995. 

  10. Steenland K, Thun M. Interaction between tobacco smoking and occupational exposures in the causation of lung cancer. J Occup Med. 1986; 28(2): 110-8. 

  11. Gofman JW. Radiation and human health. San Francisco: Sierra Club Press; 1981. 

  12. Kotrappa P, Dempsey JC, Ramsey RW, Stieff LR. A practical E-PERM (electret passive environmental radon monitor) system for indoor $^{222}Rn$ measurement. Health Phys. 1990; 58(4): 461-7. 

  13. Kotrappa P, Dempsey JC, Hickey JR, Stieff LR. An electret passive environmental $^{222}Rn$ monitor based on ionization measurement. Health Phys. 1988; 54(1): 47-56. 

  14. US EPA. Indoor Radon and Radon Decay Product Measurement Device Protocols. Available: http://www.epa.gov/radon/pubs/devprot1.html [Accessed 24 November 2013].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Nationwide survey (2011-2012) of indoor radon at home in Korea. Inche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ress; 2012. 

  16. Kim YS, Yoon SW, Lee JI, Shin HW, Lee JH, Lee CM, et al. Evaluation of correlation between indoor radon concentration and the attribution of gypsum board content in building materials. J Kor Soc Indoor Environ. 2013; 10(3): 217-26. 

  17. Lee SY, Lee YM, Park JH, Kim SS, Hong GY, Ahn HG, et al. Radon concentration assessment of studio apartments surrounding a university. J Environ Health Sci. 2013; 39(2): 138-43. 

  18.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UNSCEAR). Sources, effects and risks of ionizing radiation.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annexes. United Nations. New York. 2000. 

  19. Lee CM, Kim YS, Roh YM, Jeon HJ, Kim JC. Radon concentration in various indoor environment and effective dose by inhabitants in Korea. Kor J Environ Health Sci. 2007; 33(4): 264-75. 

  20. Swedgemark GA, Mjnes L. Radon and radon daughter concentrations in Swedish homes. Radiat Prot Dosimetry. 1984;7(1-4):341-5. 

  21. Kim JH. Caledonian Ogcheon Orogeny of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Ogcheon uraniferous marine black slate. Doctoral thesis, Tokyo: University of Tokyo; 1987. 

  22. Ju SH, Je WM. Chapter 5. Groundwater carries the radon. In: Ju SH, Je WM. editors. Radon radioactivity and living environment. 1st ed. Seoul: Gyechuk Press; 1995. p.154. 

  23. Cho BW, Sung IH, Cho SY, Park SK.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rado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f South Korea. J Soil Groundw Environ. 2007; 12(5): 98-104. 

  24. Cho BW, Kim MS, Kim TS, Han JS, Yun U, Lee BD, et al. Hydrochemistry and distribution of uranium and radon in groundwater of the Nonsan area. J Eng Geol. 2012; 22(4): 427-37. 

  25. Jeong CH, Kim DW, Kim MS, Lee YJ, Kim TS, Han JS, et al. Occurrence of natural radioactive materials in borehole groundwater and rock core in the Icheon Area, J Eng Geol. 2012; 22(1): 95-111. 

  26. Park HC, Choi HS, Cho SY, Kim SH. Numerical study on indoor dispersion of radon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J Kor Soc Environ Eng. 2014; 36(5): 325-32. 

  27. Jeon JS, Lee JI, Eon SW, Chae YZ.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from buildings with different environment, Seoul. J Kor Soc Atmos Environ. 2011; 27(6): 692-7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