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상향식 모형을 이용한 국내 주거부문의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 분석
Marginal Abatement Cost Analysis for the Korean Residential Sector Using Bottom-Up Modeling 원문보기

에너지공학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24 no.1, 2015년, pp.58 - 68  

정용주 (부산외국어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  김후곤 (경성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백천현 (동의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김영진 (부경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향식 모형을 이용하여 국내 주거부문의 온실가스 배출특성과 감축 잠재량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계감축 비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상향식 모형의 필수 입력요소인 주거부문의 최종수요, 기준에너지시스템 (Reference Energy System; RES) 등을 정의하고 국내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요한 활동량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기준 시나리오에서의 연도별 에너지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을 구하고 감축수단의 도입에 따른 감축잠재량 및 관련 비용을 분석하였다. 한계감축비용 분석 결과는 중장기적으로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감축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arginal abatement cost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abatement measures on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or the Korean residential sector. A bottom-up model using MESSAGE has been developed by defining the energy demand and constructing the reference energy system fo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주거부문을 대상으로 상향식 모형을 이용하여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특성과 개별 감축 수단의 한계감축비용 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주거부문의 에너지 수요, RES, 기술 DB 등을 정의하고 국내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요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 그러므로 기준시나리오의 개발은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하는 정성적인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도 주거부문 관련 전문가의 조언 및 관련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주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기준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예를 들어, 기준시나리오에 의한 조명기술 분야의 기술적용 및 보급은 다음 [Table 2]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향후 백열등의 점유율은 급속히 줄어들다가 2020년에 시장에서 사라지고 CFL과 형광등은 LED 기술에 의해 서서히 대체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MESSAGE 모형을 이용하여 국내 주거부문의 온실가스 배출특성을 파악하고 주거부문의 감축수단별 한계감축비용(Marginal Abatement Cost)을 분석하는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주거부문의 에너지 수요와 그 흐름을 파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주거부문의 기준에너지시스템(Reference Energy System; RES)을 구축하였다.
  • 상향식 모형을 이용한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은 해당 부문의 에너지 수요 전망, RES 작성, 기술 DB 구축, 수리계획모형 개발 및 해법 도출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본 절에서는 국내 주거부문을 대상으로 이러한 분석과정을 적용한 결과를 서술하였다.

가설 설정

  • 7 kWh 로 나타났다. 또한 거주시설의 노후화에 따른 멸실을 반영하기 위하여 2008년 건설교통통계연보와 통계청 통계자료에 의한 평균 멸실율을 고려하여 2007년 거주시설의 2.5%가 매년 멸실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신축 주택수를 산정하였다. 따라서 단위면적당 에너지 원단위와 난방면적을 이용하여 난방분야의 에너지 소비량을 구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ESSAGE는 IAEA에서 어떠한 목적에서 채택되었는가?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상향식(Bottom-up) 모형의 하나로서 온실가스 배출과 에너지 소비에 관한 기술 또는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MESSAGE (Model for Energy Supply Strategy Alternatives and their General Environmental Impacts)를 이용하였다. MESSAGE는 IAEA(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에서 온실가스 배출특성 및 감축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채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국가에서 상향식 접근방법에 의한 중장기적인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수립에 널리 적용하는 효과적인 분석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정용주 외, 2012).
대표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감축 수단의 예는 무엇인가? 또한 이렇게 설정된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각 부문별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감축 수단(또는 감축기술)의 개발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폐기물을 소각하여 열이나 전기 등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Waste to Energy; WTE)이나 농작물의 경작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 감축기술 등을 들 수 있다. 감축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수반되는 비용이나 도입 후 발생하는 편익은 다양하며, 감축기술의 도입을 통한 감축효과나 감축기술의 도입시점 또한 기술적 특성이나 연구개발 현황 등 제반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다.
RES를 통해 무엇을 산정할 수 있는가? 먼저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주거부문의 에너지 수요와 그 흐름을 파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주거부문의 기준에너지시스템(Reference Energy System; RES)을 구축하였다. RES를 통하여 주거부문의 에너지원별 소비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한편 감축수단별 한계감축비용 분석을 위해서는 개별 감축수단의 적용으로 인한 감축잠재량과 감축비용을 파악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eller, M. (1980) Methodology for Assessing the Full Costs of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Research, 4(3), 235-251 

  2. Bhattacharyya, S.C., and Rimilsina, G.R. (2010) A Review of Energy System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Sector Management, 4(4), 494-518 

  3. Chung, Y. Kim, H. Kim, Y.J., and Paik, C. (2012) MESSAGE Optimization Modeling for GHG Emissions of the Residential Sector, ICIC Express Letters, 6(3), 839-844 

  4. Element Energy Ltd., (2013) Review of Potential for Carbon Savings from Residential Energy Efficiency, Final Report for The Committee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K 

  5. IPCC (1996) Technologies, Policies and Measures for Mitigating Climate Change, IPCC Technical Paper, IPCC 

  6. Jung, J.H. (2014) GHG Emissions and Mitigation Potential of Building Sector in Republic of Korea, Climate Change and Green Growth, 7(1), 51-64 

  7. Kialashaki, A., and Reisel, J.R. (2013) Modeling of the Energy Demand of the Residential Sector in the United States Using Regression Model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Applied Energy, 108, 271-280 

  8. Levine, M.D., Price, L., and Martin, N. (1996) Mitigation Options for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Buildings: A Global Analysis, Energy Policy, 24, 937-949 

  9. Li, J. (2008) Towards a Low-Carbon Future in China's Building Sector - A Review of Energy and Climate Models Forecase, Energy Policy, 36, 1736-1747 

  10. Mata, E., Kalagasidis, A.S., and Johnsson, F. (2013a) A Modelling Strategy for Energy, Carbon, and Cost Assessments of Building Stocks, Energy and Buildings, 56, 100-108 

  11. Mata, E., Kalagasidis, A.S., and Johnsson, F. (2013b) Energy Usage and Technical Potential for Energy Saving Measures in the Swedish Residential Building Stock, Energy Policy, 55, 404-414 

  12. McKenna, R., Merkel, E., Fehrenbach, D., Mehne, S., and Fichtner, W. (2013) Energy Efficiency in the German Residential Sector: A Bottom-Up Building - Stock - Model - Based Analysis in the Context of Energy-Political Targets, Building and Environment, 62, 77-88 

  13. Motherway, B., and Walker, N. (2009) Ireland's Low-Carbon Opportunity, Sustainable Energy Ireland, Ireland 

  14. Promjiraprawat, K., Winyuchakrit, P., Limmeechokchai, B., Masui, T., Hanaoka, T., and Matsuoka, Y. (2014) CO2 Mitigation Potential and Marginal Abatement Costs in Thai Residential and Building Sectors, Energy and Building, Energy and Buildings, In Press 

  15. Swan, L.G., and Ugursal, V.I. (2009) Modeling of End-Use Energy Consumption in the Residential Sector: A Review of Modeling Technique,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3, 1819-1835 

  16. Urge-Vorsatz, D., and Novikova, A. (2008) Potentials and Costs of Carbon Dioxide Mitigation in the World's Buildings, Energy Policy, 36, 642-661 

  17. Tommerup, H., and Svendsen, S. (2006) Energy Savings in Danish Residential Building Stock, Energy and Buildings, 38, 618-626 

  18. 국토연구원 (2011) 녹색도시?건축 활성화 방안 연구, 녹색성장위원회 연구보고서(발간등록번호 12-B552462-000009-01) 

  19. 정용주, 백천현, 김후곤 (2012) 상향식 모형의 유형별 특징 및 접근방법, 기후변화와 녹색성장, 3(1), 9-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