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에서는 먼저 서비스 측면에서 사용자 중심인 모바일인터넷과 기기 간 통신인 사물인터넷 서비스, 단말 측면에서 안경단말기, HMD(Head Mounted Display), 드론, 스마트센서, Connected Car가 어떻게 5G 통신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지 알아보고, 5G서비스와 단말을 수용하는 코어와 무선액세스 네트워크 구조 및 중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5G 주파수 소요량 분석 및 선정을 위한 ITU-R 동향에 대해서도 간략히 알아본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5G를 추진하게 된 첫 번째 요인은 무엇인가? 단말기는 그 시대의 서비스를 최대로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지기도 하였는데, 근래에 2007년도의 스마트폰 출현은 서비스의 형태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변화시키기도 하였다. 이런 장점이 있는 스마트폰의 출현은 모바일 트래픽을 폭발적으로 증가시켰고, 매년 2배씩 증가한다는 예측이 있어[1], 마침내는 4G LTE/LTE-A도 감당하지 못하여 그 보다 대용량의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것이 5G를 추진하게 된 첫 번째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 사물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는 보통 모바일인터넷이라고 부를 수 있는데, 5G는 보다 개선되고 대용량 전송이 가능한 모바일인터넷 서비스가 펼쳐진다 하겠다. 사실 사물인터넷의 정의는 다양하여 사람대사람, 사물대사물, 사람대사물 등을 모두 일컫는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는 단말 서비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입되지 않고, 기기가 스스로 작동하는 경우를 사물인터넷이라 하겠다.
5G는 어떤 것을 주요 요소로 보고 있는가? 여기서 보면, 4G는 사용자 중심의 모바일인터넷을 위해 이동성(mobility)과 사용자 최대전송속도(Peak Data Rate) 만을 제시하고 있는데, IMT-2020에서는 이를 개선시키는 것과 그에 더하여 기기 간 사물인터넷을 위해 Connection Density 를 더 두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듯 5G는 사용자 중심의 개선된 모바일인터넷과 기기 간 통신의 사물인터넷을 주요 요소로 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isco, "Cisco Visual Networking Index: Global Mobile Data Traffic Forecast Update, 2012-2017," Cisco white paper, Feb. 2013 

  2. 5G 포럼, "5G NEW WAVE: TOWARDS FUTURE SOCIETIES IN THE 2020S," 5G 포럼 서비스분과위원회 서비스 백서, 2015년 3월 

  3. ITU-R WP5D, "IMT Vision -Framework and overall objective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IMT for 2020 and beyond," 2015년 2월 

  4. ITU-R WP5D,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IMT in the bands above 6 GHz," 2015년 2월 

  5. 고정길, 홍상기, 이병복, 김내수, "스마트 디바이스와 사물 인터넷 (IoT) 융합 기술 동향,"전자통신동향분석, 2013년 

  6.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Study on LTE Support for V2X Services," TR 22.7de, 2015년 2월 

  7. NGMN, "NGMN 5G White Paper," Feb. 2015 

  8. 5G 포럼, "5G Vision, Requirements, and Enabling Technologies," 5G 포럼 기술분과위원회 기술백서 , 2015년 3월 

  9. "Centralized vs. Distributed EPC and the Role of SDN and Cloud,"ABI research, 2012.12 

  10. 방승찬, 홍승은, 송종태, 김일규, 박애순, 이문식, 장성철 "5G 이동통신 기술 방향," 한국통신학회지, 2013. 11, pp. 25-36 

  11. IETF"Distributed Mobility Anchoring", IETF internet draft, 2012.6, (http://tools.ietf.org/html/draft-seite-dmm-dma-00) 

  12. T. L. Marzetta, "Noncooperative cellular wireless with unlimited numbers of base station antennas", IEEE Transactio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2010. 

  13. Young-Han Nam et al., "Full-dimension MIMO (FD-MIMO) for next generation cellular technology,"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June 2013. 

  14. 정희상 외, "모바일 핫스팟을 위한 이동무선백홀 기술 동향 분석," 전자통신동향분석 30권 2호, 2015년 

  15.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A; Study on Architecture Enhancements to Support Proximity Services (ProSe) (Release 12)," TR 23.703 V0.4.1, June 2013. 

  16. Alexander Tyrrell and Gunther Auer1, "Biologically inspired intercellular slot synchronization," EURASIP Journal on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Volume 2009 

  17. 이문식, 신경철, 방승찬, "초근접 직접통신 기술의 동향과 초고속 NFC 기술," 한국통신학회지 제30권 12호 2013.11., pp51-56 

  18. 김경미, "5G 주파수 논의 동향," TTA Journal Vol. 152, 2014 

  19. 홍인기, "5G 주파수 수요량 및 계획," Telecommunications Review 24권 2호, 2014 

  20. 5G 포럼, "5G Spectrum Issues in Korea," 5G 포럼 주파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