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4종 임플란트 나사산 디자인의 응력분산 특성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 연구
Stress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four implant thread designs evaluated by 3D finite element modeling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3 no.2, 2015년, pp.120 - 127  

남옥현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치과) ,  유원재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학원 치과교정학교실) ,  경희문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학원 치과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4종의 임플란트 나사산이 골유착 중간과정과 완료 이후 단계에서 보이는 응력분산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실린더형 몸체(외경 4.1 mm 길이 10 mm)에 이전연구에서 식립 특성이 우수하게 평가되었던 V-자형 나사산과 다른 3종(buttress형, reverse buttress형, square형)의 나사산을 가진 4종의 임플란트가 악골에 매식된 복합체 모델을 CAD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였다. 지대주 상부에 100 N의 힘을 임플란트 장축과 30도 방향으로 부하하고 인접골 응력분포를 유한요소 해석하였다. 응력분산 특성이 골유착 진척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가정하에 임플란트/골 계면을 골유착 미숙단계와 골유착 완료단계의 두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골유착 미숙단계는 임플란트/골 계면을 비선형 contact 조건(마찰계수 0.3)으로 모사하였고, 골유착이 완료된 단계에 대해서는 계면이 충분히 결합된 것으로 간주하여 접합(bonding) 조건을 부여하였다. 결과: 골유착 정도에 따라 임플란트의 응력분산 특성이 달라졌다. 골유착 미숙단계에서는 골응력과 나사산에 따른 응력 특성의 차이도 상대적으로 컸고 골유착 완료단계에서는 골응력의 절대값과 나사산간 차이가 모두 감소하였으며, V-자형 나사산의 응력분산 특성은 골유착 미숙 및 완료단계에서 모두 4종 나사산의 중간 정도였다. 이로부터 나사산 디자인의 차이는 임플란트 식립후 골유착이 진행되는 과정까지 영향을 미치며, 일단 골유착이 완료되면 나사산의 영향은 급격히 감소할 것임을 추론할 수 있었다. 결론: V-자형 나사산의 응력분산 특성은 골유착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완료된 이후 단계 전기간 동안 4종 나사산의 중간 정도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plant thread designs on the stress dissipation of the implant. Materials and methods: The threads evaluat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V-shaped, buttress, reverse buttress, and square-shaped threads, which were of the same size (depth). Building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식립 특성이 우수하게 평가되었던 V-자형 나사산에 대해 골유착 진행단계 그리고 골유착이 완료된 이후 단계에서 다른 3종의 나사산(buttress형, reverse buttress 및 square형)과의 응력분산 특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고, 연구의 범위 내에서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 연구목적은 식립특성이 우수하게 평가되었던 V-자형 나사산이 골유착 단계 그리고 골유착이 완료된 이후를 모두 고려할 때에도 유리할 것인지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 데 있다.
  • 임플란트 사이즈(직경과 길이), 지대주, 치은 관통부 형상, 골조건 등 나사산 외에 변연골 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조건들의 영향을 배제하고, 오직 나사산 형상이 미치는 영향에만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초점은 치관이나 지대주 응력이 아닌 골응력이며, 치관의 유무가 임플란트 디자인 차이에 따른 골응력의 비교/분석에 영향을 미칠 소지는 크지 않을 것이다.
  • 악골은 협설 방향 대칭형상으로, 치밀골 두께는 모든 곳에서 1.0 mm로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고, 불필요한 응력집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spline 곡선을 사용하여 굴곡 없이 매끈한 곡면으로 골의 외형을 모델링하였다.
  • 임플란트와 지대주 그리고 치밀골과 해면골 등 모든 구성체는 선형탄성 및 등방 균질성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선학자료를 참조,16-18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성치를 부여하였다.
  • 임플란트와 지대주는 모두 cp-titanium 재질로 동일하며, 임플란트와 지대주 그리고 치밀골과 해면골은 서로 충분히 밀착/결합 되어 있다고 가정하였다.
  • 임플란트의 응력분산 특성이 골유착 단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본 연구에서는 골유착 미숙단계와 골유착 완료단계의 두가지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유착을 치과 임플란트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치과 임플란트의 핵심은 골유착(osseointegration)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악골에 매식된 임플란트가 안정성을 얻고 저작압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성공적인 골유착이 필수적이기 때문인데,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초기안정성이다. 초기안정성 결여가 초래하는 골유착 실패 위험은 임플란트 개발 초기부터 지금까지 여러 연구들에서 반복하여 보고되어 왔고,1-3 최근 국내에서 실시된 임플란트 생존연구에서도 초기안정성이 임플란트 사이즈나 표면 특성, 환자 나이, 식립부 골질 등의 요소들 보다 임플란트 성패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변연골을 위시한 인접골내 응력분산에 유리한 디자인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개발된 나사산 디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나사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하에 그 사이즈, 단면형상(profile), 피치 등의 디자인 요소가 저작압 분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미 이루어 졌다.7-11 연구의 공통된 목적은 변연골을 위시한 인접골내 응력분산에 유리한 디자인을 찾고자 하는 것이었으며, 이 같은 노력의 결과 임플란트 시스템 별로 사각형(square), 삼각형(V-shape), buttress 및 reverse buttress, 그리고 이들을 변형한 다양한 형태의 나사산이 개발되었고 현재 사용되고 있다. 나사산의 형태뿐 아니라 사이즈, 피치(pitch)와 나선각(helical angle) 그리고 비교적 근래 들어 적용되기 시작한 경부미세나사산과 표면처리기술 등의 변수까지 고려한다면 나사산 디자인의 다양성이 더욱 커질 것이다.
많은 나사산 디자인이 임상에 성공적으로 사용되는 와중에 해당 연구에 어떤 미흡한 점이 존재하는가? 많은 나사산 디자인이 임상에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 디자인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에는 아직 미흡한 점이 있어 보인다. 임플란트는 식립 후 2 - 4주 동안 안정성이 감소되는 예민한 기간을 거치는데,12,13 대부분의 연구들이 골유착 성패에 중요한 이 기간 중의 나사산 역할보다는 골유착이 이미 완전히 이루어진 단계에서의 분석에 치중해 왔기 때문이다.7-11 골유착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저작압의 골내 분산이라는 골유착이 완료된 이후의 나사산 역할 뿐 아니라, 임플란트 식립 과정과 그리고 뒤이은 골유착 과정에서의 그 역할에 대한 분석이 함께 중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brektsson T, Branemark PI, Hansson HA, Lindstrom J. Osseointegrated titanium implants. Requirements for ensuring a long-lasting, direct bone-to-implant anchorage in man. Acta Orthop Scand 1981;52:155-70. 

  2. Friberg B, Jemt T, Lekholm U. Early failures in 4,641 consecutively placed Branemark dental implants: a study from stage 1 surgery to the connection of completed prosthes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1;6:142-6. 

  3. Javed F, Ahmed HB, Crespi R, Romanos GE. Role of primary stability for successful osseointegration of dental implants: Factors of influence and evaluation. Interv Med Appl Sci 2013;5:162-7. 

  4. Kim SH, Kim S, Lee KW, Han DH. The effects of local factors on the survival of dental implants: A 19 year retrospective study.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0;48:28-40. 

  5. Meredith N. Assessment of implant stability as a prognostic determinant. Int J Prosthodont 1998;11:491-501. 

  6. Misch CE. Dental implant prosthetics. St. Louis, Mosby; 2005. p. 322-47. 

  7. Chun HJ, Cheong SY, Han JH, Heo SJ, Chung JP, Rhyu IC, Choi YC, Baik HK, Ku Y, Kim MH. Evaluation of design parameters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J Oral Rehabil 2002;29:565-74. 

  8. Kong L, Hu K, Li D, Song Y, Yang J, Wu Z, Liu B. Evaluation of the cylinder implant thread height and width: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8;23:65-74. 

  9. Seo YH, Vang MS, Yang HS, Park SW, Park HO, Lim HP. Threediment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for different implant thread slope.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7;45:482-91. 

  10. Hansson S, Werke M. The implant thread as a retention element in cortical bone: the effect of thread size and thread profile: a finite element study. J Biomech 2003;36:1247-58. 

  11. Geng JP, Ma QS, Xu W, Tan KB, Liu GR. Finite element analysis of four thread-form configurations in a stepped screw implant. J Oral Rehabil 2004;31:233-9. 

  12. Esposito M, Thomsen P, Ericson LE, Lekholm U. Histopathologic observations on early oral implant failur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798-810. 

  13. Raghavendra S, Wood MC, Taylor TD. Early wound healing around endosseous impla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5;20:425-31. 

  14. Yu WJ, Ha SJ, Cho JH. Effects of implant thread profile on insertion stress generation in cortical bone studied by dynamic finite element simulation.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4;52:279-86. 

  15. Schwitalla AD, Abou-Emara M2, Spintig T, Lackmann J2, Muller WD3.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biomechanical effects of PEEK dental implants on the peri-implant bone. J Biomech 2015;48:1-7. 

  16. Van Oosterwyck H, Duyck J, Vander Sloten J, Van der Perre G, De Cooman M, Lievens S, Puers R, Naert I. The influence of bone mechanical properties and implant fixation upon bone loading around oral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1998;9:407-18. 

  17. Sevimay M, Turhan F, Kilicarslan MA, Eskitascioglu G.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effect of different bone quality on stress distribution in an implant-supported crown. J Prosthet Dent 2005;93:227-34. 

  18. Papavasiliou G, Kamposiora P, Bayne SC, Felton DA. 3DFEA of osseointegration percentages and patterns on implant-bone interfacial stresses. J Dent 1997;25:485-91. 

  19. Huang HL, Hsu JT, Fuh LJ, Tu MG, Ko CC, Shen YW. Bone stress and interfacial sliding analysis of implant designs on an immediately loaded maxillary implant: a non-linear finite element study. J Dent 2008;36:409-17. 

  20. Mellal A, Wiskott HW, Botsis J, Scherrer SS, Belser UC. Stimulating effect of implant loading on surrounding bone. Comparison of three numerical models and validation by in vivo data. Clin Oral Implants Res 2004;15:239-48. 

  21. Rubin PJ, Rakotomanana RL, Leyvraz PF, Zysset PK, Curnier A, Heegaard JH. Frictional interface micromotions and anisotropic stress distribution in a femoral total hip component. J Biomech 1993;26:725-39. 

  22. Albrektsson T, Berglundh T, Lindhe J. Osseointegration: Historic background and current concepts. In Lindhe J, Karring T, Lang NP (eds). Clinical periodontology and implant dentistry. Oxford; Blackwell Munksgaard; 2003. p. 809-20. 

  23. Davies JE. Mechanisms of endosseous integration. Int J Prosthodont 1998;11:391-401. 

  24. Viceconti M, Muccini R, Bernakiewicz M, Baleani M, Cristofolini L. Large-sliding contact elements accurately predict levels of boneimplant micromotion relevant to osseointegration. J Biomech 2000;33:1611-8. 

  25. Wehner T, Penzkofer R, Augat P, Claes L, Simon U. Improvement of the shear fixation stability of intramedullary nailing. Clin Biomech (Bristol, Avon) 2011;26:147-51. 

  26. Bardyn T, Gedet P, Hallermann W, Buchler P. Prediction of dental implant torque with a fast and automatic finite element analysis: a pilot stud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10;109:594-603. 

  27. Lin D, Li Q, Li W, Ichim I, Swain M. Evaluation of dental implant induced bone remodelling by using a 2D finite element model. Proceedings of the 5th Australasian Congress on Applied Mechanics (ACAM 2007). 2007 Dec 10-12, Brisbane; Australia; p. 301-6. 

  28. Atieh MA, Shahmiri RA. Evaluation of optimal taper of immediately loaded wide-diameter implants: a finite element analysis. J Oral Implantol 2013;39:123-32. 

  29. Frost HM. Bone's mechanostat: a 2003 update. Anat Rec A Discov Mol Cell Evol Biol 2003;275:1081-101. 

  30. Geng JP, Ma QS, Xu W, Tan KB, Liu GR. Finite element analysis of four thread-form configurations in a stepped screw implant. J Oral Rehabil 2004;31:233-9. 

  31. Kong L, Liu B, Li D, Song Y, Zhang A, Dang F, Qin X, Yang J. Comparative study of 12 thread shapes of dental implant design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orld J Model Simul 2006;2:134-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