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 환경 인식과 사고 경험에 따른 외식산업 주방 종사원의 안전사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ccident of Kitchen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in Accordance with the Safety and Environment Awareness and Accident Experience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2, 2015년, pp.85 - 102  

오석태 (우송대학교 외식조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산업 주방에서 안전 매뉴얼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외식산업 주방에서의 사고는 87.2%의 매우 높은 사고경험을 가지고 있다. 사고의 유형별로는 칼로 인한 베임(84.7%)이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뜨거운 불과 물, 기름 등에 의한 화상인 데임(74.4%)과 넘어짐(28.1%)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대한 주방안전환경에 대한 인식과 개인의 주방안전 이행 정도에서는 남녀간 유의적 차이를 보임으로써 남성이 여성보다 사고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근무연수에서 보여주는 주방안전과 안전이행정도는 1~3년차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나지만, 7~10년이 되면 가장 낮은 것으로 보여지는 것은 환경에 익숙해지면서 위험도에 둔감해지는 시기로 볼 수 있어, 년수가 지날수록 위험에 대한 환기를 시켜 안전수칙 이행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순환적 구조에서 예방과 사고처리, 사후처리과정을 보다 전문적인 관점에서 심도 있게 검토하여 외식주방의 안전을 지키는 매뉴얼로 제시하는 바이며, 이를 기본으로 하여 각 외식주방별 환경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향후 사고 예방과 대처에 필요한 매뉴얼을 개발, 배치할 수 있는 방안을 향후 과제로 제언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safety manual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kitchen. The accident rate in food industry kitchens is around 87.2%, it meaning nearly 9 workers have accident among 10, considered to be very high. The most common accident is a knife cut wou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외식산업이 거대한 산업군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외식업 주방의 환경에 관한 안전인식이나 사고 유형을 면밀하고 구체적으로 실시한 연구를 찾기 어려웠고, 실제 주방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사고의 경험과 사고의 횟수, 그리고 주방 형태, 조직규모, 성별 등이 사고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 주지 못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공유하고자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세부적인 목표를 설정하였다.
  • 다시 말하면 환경의 영향에 따라서 업무 효율성이 달라질 수 있다(Kim KY 2004; Jang SU 2011).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적 환경들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방안제시를 통해 관리 방안과 종사원들의 업무효율도 함께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도록 한다.
  • 첫째, 외식업 주방과 환경개념을 이론적 배경에서 정립하고, 둘째, 주방에서 일어나는 사고 빈도와 사고의 유형들을 정리하여 빈번 하게 발생하는 사고들의 유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종사원들의 안전 인식과 사고와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향후 안전매뉴얼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역설적으로 풀이한다면 어떤 형태의 외식사업이든 또는 규모이든 앞서 나타난 사고의 잠재성을 모두 가지고 있음을 본 검증으로 확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가설의 수용 여부를 살펴보면, 가설 1. 성별에 따라 외식 산업 주방에서의 사고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성별에 따라 양적 유의성이 존재하므로 가설은 채택되었다.
  • 라는 성별에 따라 양적 유의성이 존재하므로 가설은 채택되었다. 반면, 가설 2. 외식업소의 형태에 따라 외식산업 주방에서의 사고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와 가설 3.
  • 외식업소의 형태에 따라 외식산업 주방에서의 사고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와 가설 3. 조리사 조직의 규모에 따라 외식산업 주방에서의 사고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가설은 기각되었다.
  • 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가설은 기각되었다. 다음 가설 4. 근무 연수에 따라 외식산업 주방에서의 사고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에서는 주방 안전 환경 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개인의 안전 이행 정도에 따라서는 유의도 0.
  • 성별에 따라 외식 산업 주방에서의 사고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성별에 따라 양적 유의성이 존재하므로 가설은 채택되었다. 반면, 가설 2.
  • 가설 1. 주방안전환경 인식과 개인의 안전수칙 준수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주방안전환경 인식과 개인의 안전수칙 준수는 외식업소의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주방안전환경 인식과 개인의 안전수칙 준수는 조리사 조직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식산업이란? 외식산업(外食産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전적인 의미와 실제적 의미를 모두 살펴보아야 한다. 먼저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외식산업을“밖에서 음식을 사 먹는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업” 이라고 매우 단순하게 정의를 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외식은 장소를 나타내는 공간적인 범위를 넘어서 매우 광범위한 곳에서 이루어진다(외식산업진흥법 제2조).
주방이란? 음식을 차리거나 만드는 곳을 현대적 의미로‘주방(廚房, Kitchen)’으로 부른다. 국어사전에서는 “음식을 만들거나 차릴 때 쓰도록 정해 높은 방”으로 일정한 공간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외식산업 주방의 작업환경의 장단점은? 작업환경은 근무하는 종사원들에게 영향을 주어 긍정적인 영향과 부적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긍정적인 영향은 직무 효율성을 높여 능률을 높이는 반면, 부정적인 영향은 직무 불안을 야기하여 사고의 발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Finlayson J, Morrison J, Jackson A, Mantry D and Cooper SA 2010). 주방에서 일어나는 사고는 단순 사고일 경우도 있지만, 때로는 생명을 위협하거나, 평생 작업능력을 상실시켜 직업인으로 활동을 하지 못할 정도의 심각한 수준의 사고도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국민일보 (2012). 한국산재 사망률 OECD 1위, 6월7일. 

  2.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대학교병원 (2007). 안전사고 통계 DB 구축 및 현황분석 연구. pp.89-147. 

  3. 김병태 외 2 (2000). 생산운영론, 명경사, p.143. 

  4. 위키백과 (2014). 한국어사전, 환경(생활환경). 

  5. 정용, 옥치상(1998). 인간과 환경(환경보전의 이해), 지구문화사, 서울, pp. 43-78. 

  6. Andrey L, Derek S, Zeqiang S (2005). The effect of supply air systems on kitchen thermal environment. Journal of American Society of Heating 111(1):2-9. 

  7. Bae DS (2012). A study on cause analysis and safety-accident in power placnt maintenance industry, The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8. Douglas C, Nelson D, Melissa NM (2002). The impact of safety training on work-related injuries at eating and drinking places, Journal of Human Resources in Hospitality & Tourism. 1(4):19-32. 

  9. Finlayson J, Morrison J, Jackson A, Mantry D, Cooper SA (2010). Injuries, falls and accidents amo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4)11:966-980. 

  10. Jae JH (2013). Imfact of the emotional leadership of school nutritionists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cook. Th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1. Jang HJ, Yoon HY (2010).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in hotel restaurant service space upon employees' physiological respons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19(3):194-208. 

  12. Jang SU (2012). The effect analysis of composition for a kitchen environment in a super-deluxe hotel on job satisfaction : in Seoul. The Graduate School of Kwangwoon University. 

  13. Jeon HJ (2001). A study on the cooking environment of hotel kitchen.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Kyonggi University. 

  14. Jeon JA (2014). Elderly manufacturing worker's work environments and work behavior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accident experience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15. Kim KY(1995).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the kitchen facility in the hotel.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Kyonggi University. 

  16. Lee HK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kitchen equipment environment on cooks' job satisfaction- centering on hotel coffee shops. The Graduate School of Soon Chunhyang University. 

  17. Lee JH (2008). A comparison of cooks' job satisfaction in luxury hotels in Seoul and Busa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4(2):262-272. 

  18. Lee SH (2003). A study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hotel kitchens and its efficiency. The Graduate School of Chungwoon University, pp. 22-36. 

  19. Lee SH, Rue KM, Yoo KM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al fit,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by hotel chefs' personality type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4(2):80-94. 

  20. Lee SS (2008). Impact of hotel kitchen work environment on employee work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Graduate School of Chodang University 

  21. Park JS (2007).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open kitchen management system on job efficiency.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Kyonggi University pp. 96-98. 

  22. Park KU (2000). A study on the kitchen arrangement, construction, equipment for the greatest effective working. The Graduation School of Sejong University. 

  23. Park TJ (2007). A study on an efficient improvement of kitchen managemnet system of food service industry. The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24. Suzman MS, Sobocinski K, Himel H, Yurt RW (2001). Major burn injuries among restaurant workers in New York city: An underappreciated public health hazard. Journal of Burn Care & Rehabilitation 22(6):429-434. 

  25. Yoon GY, Kim SC (2010). Preliminary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for accident preventi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0(1):179-184. 

  26. Yoo JY, Park GS, Park KB (2013).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Focused on deluxe hotel culinary staff.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5):194-208. 

  27. Wherton JP, Monk AF (2008). Technological opportunities for supporting people with dementia who are living at hom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66(8): 571-5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