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6~2010년도 국내 노지재배 고추의 바이러스병 발생현황
Occurrence of Viral Diseases in Field-Cultivated Pepper in Korea from 2006 to 2010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3 no.1, 2015년, pp.123 - 131  

이장하 ((주)농우바이오) ,  홍진성 (강원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주호종 (전북대학교 농생물학과, 식물의학연구센터) ,  박덕환 (강원대학교 응용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 고추 노지재배 포장을 대상으로 경상남도와 제주도를 제외한 강원도 11개 지역 등 전국에 걸쳐 총 83개 지역을 중심으로 바이러스 이병체를 채집하여 연차별 고추 발생 바이러스의 발병률, 바이러스 종류 및 감염 형태를 조사하였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고추에서의 평균 단독 감염률은 46.6%, 복합 감염률은 48.0%로 조사되어 고추 생산에 있어서 가장 큰 위해요소는 바이러스 발병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별로는 CMV가 평균 34.8% 발병률로 가장 우점 바이러스로 조사되었다. 반면 BBWV2는 낮은 발병율을 보여주었으며, TSWV는 충남과 전남지역에 국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고추 노지재배 시 발생하는 바이러스의 위해도를 발병률에 따라 구분하면 CMV, PMMoV, 그리고 PepMov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복합 감염의 발생도 모든 조사지역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감염 별 바이러스 종류와 발생률을 분석하였다. 복합 감염에서 가장 빈번하게 검출된 바이러스는 CMV로, CMV+BBWV2, CMV+PepMoV, CMV+PMMoV의 복합 감염형태가 검출률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고추의 유기농 재배 생산에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작용하는 바이러스의 적절한 대책마련을 위한 지속적인 바이러스 모니터링과 3종 이상의 복합 감염 위해성을 판단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viral disease samples were obtained between 2006 and 2010 from pepper fields in 11 major pepper-growing districts in Gangwon-do, and in 83 areas from other provinces, with the exception of Gyeongsangnam-do and Jeju island in Korea. In order to assess the type of infection, field sur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Cho et al. (2007)에 의해 수행된 2002년, 2004년, 2005 및 2006년 이후 실시되지 않은 고추 바이러스 발생률을 2006년부터 2010년 까지 총 5년간 발생과 분포를 조사하였다. 특히 국내 고추재배에서 문제되는 바이러스의 변화추이를 통하여 적절한 방제대책이 전무한 상황에서 고추 유기농재배에서 필수적인 바이러스병과 관련된 내병성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2007)에 의해 수행된 2002년, 2004년, 2005 및 2006년 이후 실시되지 않은 고추 바이러스 발생률을 2006년부터 2010년 까지 총 5년간 발생과 분포를 조사하였다. 특히 국내 고추재배에서 문제되는 바이러스의 변화추이를 통하여 적절한 방제대책이 전무한 상황에서 고추 유기농재배에서 필수적인 바이러스병과 관련된 내병성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는 아시아에 언제 전파되었는가? )는 가지과(Solanaceae) 작물로 남미가 원산지이며, 열대지방에서는 다년생, 온대지방에서는 일년생으로 자란다. 아시아에는 약 450년 전 포루투갈 및 스페인 상인들에 의해 전파되었으며, 우리나라에 약 300년 전 도입되어 한국인의 식생활에 뿌리깊이 토착화되어 전통적 식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채소로 자리 잡고 있다. 세계적으로 고추 재배면적은 중국, 인도네시아 그리고 멕시코 순으로 많으며, 우리나라는 약 44만 6천여 ha 면적을 재배하여 세계 7위에 해당한다.
고추는 어느정도 기간동안 자라고 원산지는 어디인가? 고추(Capsicum annuum L.)는 가지과(Solanaceae) 작물로 남미가 원산지이며, 열대지방에서는 다년생, 온대지방에서는 일년생으로 자란다. 아시아에는 약 450년 전 포루투갈 및 스페인 상인들에 의해 전파되었으며, 우리나라에 약 300년 전 도입되어 한국인의 식생활에 뿌리깊이 토착화되어 전통적 식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채소로 자리 잡고 있다.
고추 수량감소의 생물적 원인체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고추 수량감소의 생물적 원인체로는 다양한 종류의 바이러스, 세균, 및 곰팡이가 존재하며, 역병, 탄저병 및 흰가루병 등의 곰팡이에 의한 피해가 크며, 세균병의 경우 풋마름병이 가장 대표적으로 이들 병원균들에 의한 고추의 수확량은 매우 큰 영향을 받고 있다(Hadden and Black, 1987). 특히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하나의 바이러스가 단독감염 되거나 서로 다른 바이러스의 복합감염의 형태로 다양한 병징을 나타내며, 이들로 인한 수확량 감소가 매우 큰 실정이다(Villalon, 1981; Green and Kim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 J. D., J. S., Kim, J. Y., Kim, J. H., Kim, S. H., Lee, G. S., Choi, H. R., Kim, and B. N. Chung. 2005. Occurrence and symptoms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on vegetables in Korea (I). Res. Plant Dis. 11: 213-216. 

  2. Cho, J. D., J. S., Kim, S. H., Lee, G. S., Choi, and B. N. Chung. 2007. Viruses and symptoms on peppers, and their infection types in Korea. Res. Plant Dis. 13: 75-81. 

  3. Clack, M. F. and M. Adams. 1977. Characteristics of the microplate method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the detection of plant viruses. J. Gen. Virol. 34: 475-483. 

  4. Green, S. K. and J. S. Kim. 1991. Sources of resistance to viruses of pepper (Capsicum spp.): a catalog. AVRDC Tech Bull. No. 20, Shanhua, Taiwan. 

  5. Hadden, J. F. and L. L. Black. 1987. Comparison of virulence of tomato and pepper isolates of Colletotrichum spp. Phytopathology 77: 641. 

  6. Kim, J. H., G. S., Choi, J. S., Kim, and J. K. Choi. 2004. Characterization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from paprika in Korea. Plant Pathology J. 20: 297-301. 

  7. Kim, J. S., S. K., Kim, G. S., Choi, and M. W. Lee. 1990. Virus disease incidence and symptom appearance in red pepper. Kor. J. Plant Pathology 6: 125-132. 

  8. Lee, J. H. 2013. Viral diseases of pepper in field cultivation in Korea and development of resistant molecular markers for Chilli veinal mottle virus in Capsicum annuum L. Ph. D.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9. Lee, S. H., J. B., Lee, S. M., Kim, H. S., Choi, J. W., Park, J. S., Lee, K. W., Lee, and J. S. Moon. 2004. The incidence and distribution of viral diseases in pepper by cultivation types. Res. Plant Dis. 10: 231-240. 

  10. Villalon, B. 1981. Breeding peppers to resist virus disease. Plant Dis. 65: 557-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