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강상세에 따른 특수전단벽 연결보의 내진성능
Seismic Performance of Special Reinforced Concrete Coupling Beams with Different Reinforcement Details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6 no.1, 2015년, pp.21 - 29  

천영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박지영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결보는 지진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하기 위하여 적절한 강도, 강성, 변형능력을 지녀야 한다. 특히 스팬-춤 비가 2.0 이하인 대각선다발철근을 갖는 특수전단벽 연결보는 일반 연결보보다 더 높은 강도, 강성, 연성능력을 갖게 되나 대각선다발철근 상세는 시공에 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의 하나로서 대각선다발철근 상세를 대체하기 위한 대안상세들이 실험적으로 연구되었다. 실험결과, 앵글형태로 보강된 SA실험체가 대각방향 보강근을 완전히 제거한 SB시리즈의 실험체와 비교하여 더 안정된 거동을 보였으며, 기존의 대각선다발철근상세를 갖는 CA실험체와 비교하여 유사한 강도, 강성, 에너지소산능력과 변형능력(drift)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upling beams posses proper strength, stiffness and ductility capacities to resist efficiently under seismic loads. The strength, stiffness and ductility capacities for special diagonally reinforced concrete coupling beam with a span-to-depth ratio 2.0 or less is higher than those of coupling bea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연결보에서 요구되는 변형능력은 약 2.5% 정도의 수준일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실험결과 분석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연결보의 변형능력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 또한 천영수 등(2012)에 따르면 현재의 KBC2009에서는 대각선방향의 다발철근이 모든 전단력과 휨을 부담하도록 설계하고 있으나 실험결과 벽체 내로 단부 정착된 휨 보강근과 연결보 내에 배근된 스터럽이 일부 휨과 전단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각철근의 상세를 단순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휨 보강근과 연결보의 스터럽(전단보강근)을 최대한 활용하여 대각선 방향의 보강근 자체를 완전히 제거하는 방안을 함께 제안하였다.
  • 선행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연결보 전체의 횡구속성능개선과 내부 철근의 대구경화 그리고 강재와의 합성 등을 통하여 시공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 전체를 횡 구속하고, 내부 대각선다발철근의 배근상세를 단순화한 실용적인 상세를 제시하고, 그 내진성능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함으로서 특수전단벽 연결보의 현장적용 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실들에 근거하여 연결보의 콘크리트 구속방법을 기존의 대각선다발철근 보강에서와 같이 대각방향의 철근을 기둥식으로 보강하는 대신 연결보 전체를 횡구속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것으로 하여 그림 1과 같이 4가지 대체상세(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때 횡구속을 위한 스터럽은 기존 상세와 동일하게 135º갈고리를 갖는 폐쇄형 스터럽으로 하고, 연결철근(tie)은 양단부에 헤드바를 채용하거나 한쪽 단부는 헤드바를 다른 쪽 단부는 135º 갈고리를 갖는 형태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팬-춤 비가 2.0 이하인 대각선다발철근을 갖는 특수전단벽 연결보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특히 스팬-춤 비가 2.0 이하인 대각선다발철근을 갖는 특수전단벽 연결보는 일반 연결보보다 더 높은 강도, 강성, 연성능력을 갖게 되나 대각선다발철근 상세는 시공에 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의 하나로서 대각선다발철근 상세를 대체하기 위한 대안상세들이 실험적으로 연구되었다.
연결보에 요구되는 조건은 무엇인가? 연결보는 지진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하기 위하여 적절한 강도, 강성, 변형능력을 지녀야 한다. 특히 스팬-춤 비가 2.
이중 연결보의 대각배근상세는 시공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복잡한 배근을 요구하고 있어 현장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을 실무적인 관점에서 보면 어떠한가? 현행 건축구조기준(KBC2009)에서는 내진설계범주 D에 해당하는 고층건물(높이 60m 이상)의 건설에 특수전단벽과 연결보를 반드시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중 연결보의 대각배근상세는 시공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복잡한 배근을 요구하고 있어 현장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실무적인 관점에서 보면 설계기준에 따라 복잡한 배근상세로시공할 경우 시공 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시공품질의 저하 또는 부실시공의 가능성이 높다. 공장작업의 공정이 추가되더라도 가능한 한 현장에서 작업이 용이한 배근상세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현재까지 이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상세가 완성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강동훈, 한상환, 권현욱 (2013), "묶음대각철근을 갖는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HPFRCC) 연결보의 내진성능평가",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구조계, 33(2): 509-510. 

  2. 대한건축학회(2009), 건축구조기준 및 해설(KBC). 

  3. 박완신, 윤현도(2009), "HPFRCCs 커플링 보의 전단강도",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구조계, 29(1): 263-266. 

  4. 박완신(2005), Shear strength of steel coupling beam-wall conn ections in a hybrid couplied shear wall systems,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서수연 등(2003), "강도설계법으로 설계된 연결 전단벽의 변형 성능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4): 11-17. 

  6. 송한범(2006), 병렬 전단벽 시스템에서 철골 커플링보 접합부의 거동 및 설계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천영수 등(2012), 특수철근콘크리트 연결보의 내진성능 평가, 토지주택연구원. 

  8. Building Seismic Safety Council (BSSC) (2003), NEHRP Recommended Provisions for Seismic Regulation for New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FEMA 450). 

  9. El-Tawil, S. and C. Kuenzli (2002), "Pushover of Hybrid Coupled Walls. II: Analysis and Behavior",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28(10): 1282-1289. 

  10. Harries, K., J. Moulton and R. Clemson (2004), "Parametric Study of Coupled Wall Behavior-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Coupling Beam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30(3): 480-488. 

  11. Shahrooz, B. M., J. T. Deason and G. Tunc (2004), "Outrigger Beam-Wall Connections. I: Component Testing and Development of Design Model",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30(2): 253-26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