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영적건강에 관한 유형별 탐색 - Q 방법론적 접근 -
Spiritual Health in Korean Culture -Q methodological approach-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2 no.2, 2015년, pp.129 - 138  

심형화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aper is a basic study done to establish spiritual health concepts according to Korean culture. The focus was on identifying perceived concepts of spiritual health in Korean people. Methods: The Q method, which is effective in measuring individual subjectivity, was used in this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에 독특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영적건강에 대한 주관성의 구조를 밝혀냄으로서 현대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에게 맞는 보다 개별화된 전인적 간호를 강조하고, 나아가 영적건강 증진을 위한 통합적 접근과 영적건강에 관한 한국적 간호이론 정립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인들이 내재화하고 있는 영적건강을 파악함으로써, 그들의 욕구에 맞는 적절하고 구체적인 영적건강증진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개인의 주관성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데 효용이 큰 Q 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인이 인식하는 영적건강에 대한 유형을 추출해 내는데 목적을 두고 시도되었고 분석결과 3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들이 나타낸 영적건강에 대한 인식의 유형은 유형Ⅰ: 자기주도적, 현세중심형, 유형Ⅱ: 신앙중심적, 내세지향형, 유형Ⅲ: 동양적, 가치공유형 등 3개로 분류되었다.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영적건강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그 유형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관점에서 출발하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인의 영적건강에 대한 인식유형과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행복지수의 순위가 낮은 원인은 무엇이 있을까? 그러므로 현재 우리는 한국형 ‘행복요법’이 절실히 필요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우리사회의 이러한 낮은 행복지수는 사회경제적 격차가 심하고, 미래가 불안하며, 무한경쟁의 소용돌이에 버려져 있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인간존재의 의미와 목적 상실, 인간성의 상실, 파편화된 인간, 폭력 등으로 말미암은 수많은 병리현상은 근원적으로 영성(spirituality)의 결핍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2].
우리나라의 행복지수 순위는 2014년 어떻게 되는가? 복잡한 현대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은 얼마나 행복할까? 2014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행복지수(Better Life Index)는 36개국 가운데 25위, 자살률은 10년째 1위이다[1]. 행복은 주관적 안녕 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삶의 만족 및 긍정적 기분이 상대적으로 많고 부정적 기분이 적은 상태라 할 수 있다.
행복은 어떤 상태인가? 복잡한 현대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은 얼마나 행복할까? 2014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행복지수(Better Life Index)는 36개국 가운데 25위, 자살률은 10년째 1위이다[1]. 행복은 주관적 안녕 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삶의 만족 및 긍정적 기분이 상대적으로 많고 부정적 기분이 적은 상태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우리는 한국형 ‘행복요법’이 절실히 필요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OECD StatExtracts. 2014 Better life index [Internet]. Paris: OECD StatExtracts; 2014 [cited 2015 January 8]. Available from: http://stats.oecd.org/viewhtml.aspx?datasetcodeBLI&langen. 

  2. Yoo JB. Spirituality in education: Towards a recovery of spirituality in school.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2013;35(1):97-117. 

  3. Myers DG. The funds, friends and faith of happy people. American Psychologist. 2000;55(1):56-67. http://dx.doi.org/10.1037/0003-066X.55.1.56 

  4. Banks R. Health and the spiritual dimension: Relationships and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Journal of School Health. 1980;50(4):195-202. http://dx.doi.org/10.1111/j.1746-1561.1980.tb07373.x 

  5. Purdy M, Dupey P. Holistic flow model of spiritual wellness. Counseling and Values. 2005;49(2):95-106. http://dx.doi.org/10.1002/j.2161-007X.2005.tb00256.x 

  6. Dhar N, Chaturvedi SK. Nandan D. Spiritual health scale 2011: Defining and measuring 4th dimension of health. Indian Journal of Community Medicine. 2011;36(4):275-282. http://dx.doi.org/10.4103%2F0970-0218.91329 

  7. Stoll RI. The essence of spirituality. In: Carson VB, editor. Spiritual dimensions of nursing practice. Philadelphia, PA: W.B. Saunders; 1989. p. 4-23. 

  8. Kim SC. Jung, the symbolical/intuitional understanding of the symbol, and the interreligious dialogue. Shim-Song Yon-Gu. 2011;26(2):189-208. 

  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Guidelines regarding possible conflict between psychiatrists' religious commitments and psychiatric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990;147(4):542. http://dx.doi.org/10.1176/ajp.147.4.542 

  10. Statistics Korea. 2005 religion tables for Korea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05 [cited 2015 January 7]. Available from: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11. Chung SJ, Suh KH, Kim SS, Ji CH. The moderate effect of the religious fundamentalism on religious orientations and subjective well-being.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010;16(1):19-41. 

  12. Cheung SD, Lee JB, Kim JS, Seo WS, Bai DS, Park SJ, et al. The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on the mental health of the Cho-Sun tribal women residing in P.R..of China.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2004;21(2):151-166. 

  13. Andreasen NJC. The role of religion in depression.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1972;11(2):153-166. http://dx.doi.org/10.1007/BF01533217 

  14. Cheung SD, Lee JB, Park HB, Kim JS, Bai DS, Lee KH, et al.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piritual Well being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1;40(2):230-242. 

  15. Hwang HR, Suh KH, Kim JY.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1;16(4):709-724. 

  16. Min SY. A study on the state of spiritual health of cancer patients. Nursing Science. 1995;7:127-142. 

  17. Oh PJ, Chun HS, So WS. Spiritual Assessment Scale: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1;1(2):168-179. 

  18. Lee KY, Kim CH, Kim DW.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3;15(4):711-728. 

  19. Kim SE. Q method & sociology. Pusan: Goldwell Publishing Inc.; 2007. 

  20. Capra F. The turning point. Lee SB, Ku YS, translator. Seoul: Pumyang; 1996. 

  21. Hur YJ, Jun SP. A critical study on existing spirit-oriented curriculum: On the basis of consciousness development proces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2012;16(3):145-173. 

  22. Kim IW. A study on the cultural foundation of Korean education. Seoul: Moonumsa; 1994. 

  23. Park JS. A survey for the construction of nursing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About concepts of health and illness, and health behavio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96;8(2):375-393. 

  24. Cheung SD, Kim LI. Basic structures of consciousness and odes to cow seeker on the transpersonal context.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2):334-350. 

  25. Wilber K, Patten T, Leonard A, Morelli M, Intergral life practice. Cho HN, Ahn HY, translator. Seoul: Hakjisa; 2014. 

  26. Kim SN, Choi SO. Nurses' death anxiety and spiritualit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0;16(1):101-110. 

  27. Choi SO, Kim SN. Suicidal ideation and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2):190-199. 

  28. Shim HW. A study on health concepts of Korea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2;8(1):108-119. 

  29. Cho HN. A study on complementary and integral awareness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Jungshin Science. 2007;11(2):9-43. 

  30. Edwards A, Pang N, Shiu V, Chan C. The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and the potential role of spiritual care in end-of-life and palliative care: A meta-study of qualitative research. Palliative Medicine. 2010;24(8):753-770. http://dx.doi.org/10.1177/02692163103758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