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ocyanine green(ICG) and 5-aminolevulinic acid(5-ALA) have been widely used to mark blood vessels or tumors. However, fluorescent dye detection systems were designed to use one type of dyes only. In this study, we proposed a detection system capable of detecting Indocyanine green and 5-aminolevu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에 맞는 별도의 광원을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광원의 적합성 실험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술현미경하에서 형광 샘플이 보이는지 관측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술현미경 하에서 형광이미지 획득하는 것을 성공한 상태이며 이를 영상의 질을 높이기 위한 추가연구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추가 연구 진행사항으로 광원의 향상을 위하여 관측 범위에 집중되는 디자인으로 LED 설계를 진행 중에 있으며 효율적인 방열시스템 및 광량을 높이는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다.
  • 온도(Temperature, 溫照)는 LED에서 발생하는 발열현상을 관측하기 위하여 측정하였다. 이와 동시에 열 발생에 따른 LED 파장의 변화(Shift)가 발생하는지 관측하여 측정하였다.
  •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중형광 광 역학 진단기기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특히 온도에 의한 파장변화의 경우 광원이 변화할 경우 발광(Emission)의 파장의 최고점이 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관측하여 필터 세트를 구성하는 데 참고 하기 위하여 측정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5-ALA이란? 악성교종 및 혈관을 표시하기 위한 형광 발광물질은 5-ALA(5-Aminolevulinic Acid)의 경우 몸 속의 신진대사에 의한 물질 변환과정에서 파생된 Protoporphyrin IX 물질의 생성에 의한 형광발현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반응 과정으로 암세포만을 타겟으로 하는 형광 표지자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4-8].
다중형광 광 역학 진단기기는 어떤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이 필요한가? 기존의 형광발광물질을 이용한 제품들은 하나의 필터만을 제공하여 ICG나 5-ALA중 하나의 물질만을 사용할 수 있어 환자의 안전과 수술의 용이성을 위해선 교종의 위치와 혈관을 동시에 보여주는 시스템 장치가 필요하다.
ICG 투여 시 형광 발광이 일어나는 과정은? 특히 환자의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효율적인 ICG는 1957년도부터 사용된 부작용이 적은 형광물질이다. 환자에 투여 시 ICG는 혈장단백질(Plasma protein)과 결합하며 750~800 nm 대역의 빛을 투과하면 845 nm의 형광 빛을 방사한다. 5-ALA는 형광성질이 없으나 세포 내에서 변환된 Protoporphyrin IX에 약 400 nm의 빛을 투과하면 635 nm의 형광 빛을 방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ttp://ncc.re.kr/hospital/centers/center07/clinic04/content_3396.jsp 

  2. J. C. Yoo, S. P. Lee, J. G. Kim, G. H. Choi, H. T. Yeo, "An Image Study of Malignant Glioma Model with Diffraction Enhanced Imaging Computed Tomography", Journal of Korean Brain Tumor Society, vol. 10, pp. 103-109, 2011. 

  3. A. Ruck, C. Hauser, S. Lorenz, S. Mosch, S. Rotte, M. Kessler, S. Kalinina, "Cell metabolism, tumour diagnosis and multispectral FLIM." in SPIE BiOS.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2013,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pp. 85880U-85880U-85888. 

  4. L. Teng, M. Nakada, Y. Hayashi, T. Yoneyama, S.-G. Zhao, J.-I. Hamada, Current Applications of 5-ALA in Glioma Diagnostics and Therapy, INTECH. 2013, pp. 249-261. 

  5. B. W. Pogue, S. L. Gibbs-Strauss, P. A. Valdes, K. S. Samkoe, D. W. Roberts, K. D. Paulsen, "Review of neurosurgical fluorescence imaging methodologies." Selected Topics in Quantum Electronics, vol. 16, PP. 493-505, 2010. 

  6. M. Schwake, D. Gunes, M. Kochling, A. Brentrup, J. Schroeteler, M. Hotfilder, M. C. Fruehwald, W. Stummer, C. Ewelt, "Kinetics of porphyrin fluorescence accumulation in pediatric brain tumor cells incubated in 5-aminolevulinic acid." Acta neurochirurgica, vol. 156, pp. 1077-1084, 2014. 

  7. T. Beez, S. Sarikaya-Seiwert, H.-J. Steiger, D. Hanggi, "Fluorescence-guided surgery with 5-aminolevulinic acid for resection of brain tumors in children-a technical report." Acta neurochirurgica, vol. 156, pp. 597-604, 2014. 

  8. M. Hefti, H. Maximilian Mehdorn, I. Albert, L. Dorner, "Fluorescence- guided surgery for malignant glioma: a review on aminolevulinic acid induced protoporphyrin IX photodynamic diagnostic in brain tumors." Current Medical Imaging Reviews, vol. 6, pp. 254-258, 2010. 

  9. G. Klein, R. Baumgartner, R. Flower, "An image processing approach to characterizing choroidal blood flow."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vol. 31, pp. 629-637, 1990. 

  10. G. Themelis, J. S. Yoo, K.-S. Soh, R. Schulz, V. Ntziachristos, "Real-time intraoperative fluorescence imaging system using light-absorption correction." Journal of biomedical optics, vol. 14, pp. 064012-064012-064019, 2009. 

  11. C. B. Jeong, K. G. Kim, T. S. Kim, S. K. Kim, "Image Fusion of Lymphoscintigraphy and Real images for Sentinel Lymph Node Biopsy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vol. 31, no. 2, pp. 114-122, 2010. 

  12. J. T. Alander, I. Kaartinen, A. Laakso, T. Patila, T. Spillmann, V. V. Tuchin, M. Venermo, P. Valisuo, "A review of indocyanine green fluorescent imaging in surgery." Journal of Biomedical Imaging, vol. 2012, pp. 7, 2012. 

  13. W. Stummer, U. Pichlmeier, T. Meinel, O. D. Wiestler, F. Zanella, H.-J. Reulen, "Fluorescence-guided surgery with 5-aminolevulinic acid for resection of malignant glioma: a randomised controlled multicentre phase III trial." The lancet oncology, vol 7, pp. 392-401 (2006). 

  14. B. Ganeshan, K. A. Miles, R. C. Young, C. R. Chatwin, "In search of biologic correlates for liver texture on portal-phase CT." Academic radiology, vol. 14, pp. 1058-1068, 2007. 

  15. F. Ricci, F. Missiroli, L. Cerulli, "Indocyanine green dyeenhanced micropulsed diode laser: a novel approach to subthreshold RPE treatment in a case of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Europe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 14, pp. 74-82, 2003. 

  16. M. V. Marshall, J. C. Rasmussen, I.-C. Tan, M. B. Aldrich, K. E. Adams, X. Wang, C. E. Fife, E. A. Maus, L. A. Smith, E. M. Sevick-Muraca, "Near-infrared fluorescence imaging in humans with indocyanine green: a review and update." Open surgical oncology journal (Online), vol. 2, pp. 12, 2010. 

  17. G. Themelis, J. S. Yoo, V. Ntziachristos, "Multispectral imaging using multiple-bandpass filters." Optics letters, vol. 33, pp. 1023-1025, 2008. 

  18. Y. Kondo, Y. Murayama, H. Konishi, R. Morimura, S. Komatsu, A. Shiozaki, Y. Kuriu, H. Ikoma, T. Kubota, M. Nakanishi, "Fluorescent detection of peritoneal metastasis in human colorectal cancer using 5-aminolevulinic acid." International journal of oncology, vol. 45, pp. 41-46,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