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나모픽 착시예술을 활용한 초등 과학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Convergence Program using Anamorphic Optical Illusion Art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4 no.2, 2015년, pp.224 - 237  

안재홍 (온신초등학교) ,  권난주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n regard to the change of the paradigm to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we have looked into the ways to apply scientific inquiry through the arts,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ways to step forth with the science and the arts in e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무엇보다도 착시현상은 우리에게 흥미와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도 그 예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좋은 교육 콘텐츠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융합교육으로의 패러다임 변화와 과학과 타 분야 융합을 주제로 한 다양한 연구흐름, 그리고 학교 교육현장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융합교육 콘텐츠 요구를 바탕으로 착시예술의 과학적 적용 방안을 살펴보고, 나아가 교육 현장에서 과학 분야와 예술 분야가 함께 협업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 1차 투입 때와는 다르게 1명의교사가 수업을 담당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나, 소인수 학급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학생들의 활동 및 직관적인 대면을 통한 여러 상황 관찰 및 면담분석은 보다 학생들의 행동 변화와 관련된 변인 분석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또한 내용적으로 보면 학생 개인의 시선뿐 아니라, 모둠활동의 일환인 거울 및 카메라를 통한 착시현상 관찰 활동을 통해 사람의 눈을 통한 인지와 거울 및 카메라 렌즈 상에서의 관찰 차이점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환경 제공을 통해 학생들은 착시현상에 대한 흥미뿐 아니라, 이를 활용한 수업에 큰 관심을 나타낸 것을 볼 수 있었다.
  • 프로그램과 관련된 개발 전략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빛’의 성질을 좀 더 쉽고 친숙하게 배우기 위하여 해당 과학 원리에 대한 이해 이후 과학에서의 빛의 반사와 굴절, 착시의 원인, 수학에서의 물체의 대칭과 회전, 미술에서의 원근감 및 심미적 표현 등에 대한 기본 소양을 갖추고, 작품 구안의 창의적 설계 과정뿐 아니라 소통하며 의견을 나누는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감성적 체험까지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이러한 활동을 체험함에 있어 개인별, 모둠원들 끼리 서로 소통하고 배려함으로써 나눔의 즐거움과 학습의 진정한 가치를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다양한 분석 과정을 통해 우리는 교육과정 재구성이라는 이름으로 교과 내 연계 형식의 효과적인STEAM 교육을 계획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제 중심으로 별도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창의적 체험활동의 일환으로 실시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비록 프로젝트 형식의 긴 차시 적용이 아니더라도 각 과목별 연계되는 교육과정 내 분절된 형태로의 수업 적용을 통해 STEAM 교육의 수업 유형 중 하나인 교과 내 수업형, 교과 연계 수업형의 형태로 교육현장에 접목될 수 있기 때문에, 관련교육과정과의 연계 분석의 노력은 앞으로 STEAM교육 프로그램 개발 동안 지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Kang et al.
  • 미술 기법의 원근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과학적이며 수학적으로 계산된 설계과정을 거쳐 완성되는 현 시대에 새롭게 각광받는 착시예술 분야 중 하나이다(Lee, 2012). 본 연구에서는 착시예술의 한 분야인 아나모픽을 통하여 과학과 예술의 접점을 탐색하고, 교육현장에서 새로운 현실적 소통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아래와 같이 방향을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 융합시대,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감성 신장을 위하여 착시예술을 통한 과학예술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서 교육적 유의미성 분석이 목표인본 연구는 과학기술과 타 분야의 협업인 융합교육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의 깊이를 더하고,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새롭게 제시되는 교육과정에 발맞추어 현장에서 즉각 활용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검증하는 등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소양과 창의성 등을 육성할 수 있는 전략으로서의 교육적 유의미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학생들의 흥미와 과학적 접근이 가능한 예술 콘텐츠들은 현재 과학과 예술의 협업 영역 및 과학지식 기반 예술 영역인 미디어 아트, 광학 예술, 과학시각화 등 예술적 산물 등에서도 많이 소개되고 있다(Kwon & Kwon, 2012; Labanca & Ritchie, 2011;Yu & Kwon, 2012; Zhihui & Marcia, 2011). 이러한 분야를 교육 현장에 가져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주제 중심 프로젝트의 제시가 아닌 학교교육과정에서 단원 및 차시별 연관성을 가지며, 융합적 교육 접근이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주안점을 두었다.
  • 이를 통해 도출된 과학예술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기반으로 착시예술 융합 프로그램 콘텐츠를 탐색하였다. 착시예술의 여러 분야 중에서 시선의 위치 및 원근 등과 관련성이 깊은 현대 착시미술인 아나모픽 기법에 대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이 높은 바 이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이후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위하여 2011년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비교 연구(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이하 TIMSS) 연구에서 사용되어 타당도와 신뢰도가 인증된 검사지를 선정하였으며, 활동하는 동안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 미술가 펠리스 바리니의 작품이 가진 특징은 무엇인가? 1). 바리니의 작품은 특정 위치에서 관찰하면 입체 공간 속에서 평면의 형태를 보이지만, 다른각도에서는 기하학적인 선과 면의 모습 밖에 관찰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작품은 착시예술의 하나로 소개되어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일으키는 효과적인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다.
공학의 핵심 개념은 무엇인가? 창의적 설계는 학생이 주어진 상황에서 최적의 방안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같은 인간의 가치 추구를 위한 문제해결 또는 기술적 설계활동이 포함된다. ‘설계’는 공학의 핵심 개념이며, 접근으로 여러 연구에서 ‘설계’를 수업에 접목시킨 사례와 긍정적인 효과에 대하여 보고되고 있다(Ahn & Kwon, 2013; Fortus et al., 2005; Kim, 2010).
아나모픽 착시예술은 무엇인가? 아나모픽(Anamorphic) 착시예술은 사물을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을 이용한 착시예술기법 중 하나이다. 아나모픽으로 구현된 이해하기 힘든 그림이나 이미지들은 특정한 각도 또는 반구체 거울 등을 통해 보면 이미지들이 하나가 되어 특정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미술 기법의 원근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과학적이며 수학적으로 계산된 설계과정을 거쳐 완성되는 현 시대에 새롭게 각광받는 착시예술 분야 중 하나이다(Lee, 2012). 본연구에서는 착시예술의 한 분야인 아나모픽을 통하여 과학과 예술의 접점을 탐색하고, 교육현장에서 새로운 현실적 소통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아래와 같이 방향을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J. & Kwon, N. (2013). An analysis on STEAM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n technology and enginee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4), 708-717. 

  2. Apedoe, X., Reynolds, B., Ellefson, M. & Schunn, C. (2008). Bringing engineering design into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 The heating/cooling uni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7, 454-465. 

  3. Baek, Y., Park, H., Kim, Y., Noh, S., Park, J., Lee, J., Jeong, J., Choi, Y. & Han, H. (2011). STEAM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4), 149-171. 

  4. Bang, W. (2006). Focusing on op art and animation : A study of art forms using an optical illus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6(5), 76-84. 

  5. Bevins, S. (2011). STEM : Moving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to the 21st century. Technology & Engineering Teacher, 71(4), 10-13. 

  6. Born, G. & Barry, A. (2010). ART-SCIENCE : From public understanding to public experiment. Journal of Cultural Economy, 3(1), 103-119. 

  7. Burton, J. M., Horowitz, R. & Abeles, H. (2000). Learning in and through the arts : The question of transfer. Studies in Art Education, 41(3), 228-257. 

  8. Chiu, M. & Duit, R. (2011). Globalization : Science education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553-566. 

  9. Fortus, D., Krajcik, J., Dershimer, R. C., Marx, R. W. & Mamlok-Naaman, R. (2005). Design-based science and real-world problem solv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7), 855-879. 

  10. Hong, S. (2008). Science essay- Science talks about human and society [과학, 인간과 사회를 말하다], Seoul: Eastasia Publication Co. 

  11. Kang, S., Lim, H., Yeo, S., Choi, S., Shin, M. & Joung, Y. (20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about the teachers' manual for science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3), 296-304. 

  12. Karakas, S. L. (2010).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in the arts and sciences : Some examples of congruence. Forum on Public Policy, 2010(2), 1-9. 

  13. Kim, H. (2010). Study of teaching writing methods for a engineering courses.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4. Kim, S. (ed). (2012). Art and science. Seoul: Eulyoo Publication Co. 

  15.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2).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education through integration of science with other curriculum subjects. Paper presented at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ASE] Winter Workshop, Gwacheon, February 2. 

  16.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2011). STEAM based on convergence. Paper presented at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KOSSS] Summer Workshop, Cheongju, August 9. 

  17.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2). 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for integrated and talented student. Paper presented at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KESES] Winter Workshop, Busan, January 2. 

  18. Kwon, N. & Kwon, H. (2012). Application and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s to utilize "Science TV" in science communication activities at early morning class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 56-68. 

  19. Labanca, F. & Ritchie, K. C. (2011). The art of scientific ideas :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promote creative problem finding. Science Teacher, 78(8), 48-51. 

  20. Lee, J. (2012). 3D anamorphic illusion with a mysterious art. Retrieved April 5th, 2012, from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slee402&logNo10131979241. 

  21. Merten, S. (2011). Enhancing science education through art. Science Scope, 35(2), 31-35. 

  2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a). 2011 Report- The future of Republic of Korea through talented and advanced technology [2011 업무보고-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b). An initiativ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education to foster creativity and personality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활성화 기본방안].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The 2th plan of science and technology workforce development support [제2차 과학기술인력육성지원 기본계획].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5. Na, S. (2013). Explore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lementary convergence science education program : Focused on South Korea,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26. Park, H. (2012). Considerations for STEAM education in Korea. Paper presented at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ASE] Winter Workshop, Gwacheon, February 2. 

  27. Robelen, E. W. (2011). Building STEAM : Blending the arts with STEM subjects. Education Week, 31(13), 8-9. 

  28. Root-Bernstein, R. (2003). The art of innovation. Polymath and University of the Creative Process. 

  29. Yang, S. & Kwon, N. (2014). The analysis on development trends for Korean and overseas science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2), 376-400. 

  30. Yu, Y. & Kwon, N. (2012).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strategies using science magic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3), 269-283. 

  31. Zhihui, H. Z. & Marcia, C. L. (2011). Can generating representations enhance learning with dynamic visualiz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10), 1177-11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