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가 도시화 진행 유역수문에 미치는 영향 평가
Assessment of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s on Watershed Hydrology for an Urbanizing Watershed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3, 2015년, pp.567 - 577  

안소라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장철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이준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는 유역의 수문순환의 변화를 초래하여 가용수자원의 변화를 야기 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371.1km^2$) 유역을 대상으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모형을 이용하여 미래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가 유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미래 기후자료는 IPCC 제 5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에서 생산된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대표농도경로)기반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중 기상청에서 제공한 RCP 4.5와 8.5 시나리오(한반도 영역; 12.5km)를 이용하였다. 기준 년과 비교한 결과 RCP 8.5의 2080s (2060-2099)에서 평균온도가 $4.2^{\circ}C$ 상승하였으며, 강우량은 최고 21.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변화 추세는 CLUE-s (Conservat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at Small regional extent)모형을 이용하여 예측되었고, 도시 면적 증가에 따른 3가지 시나리오(Linear, Exponential, Logarithmic)를 적용한 안성천 유역의 미래(2040s, 2080s) 토지이용도를 구축하였다. 각각의 시나리오에서 도시면적 비율은 2100년에 9.4%, 20.7%, 35%로 예측되었다. 기후변화만을 고려하였을 때 증발산량과 총 유출량은 RCP 8.5의 2080s에서 최고 20.6%, RCP 4.5의 2080s에서 최고 25.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지이용변화만을 고려한 경우 증발산량과 총 유출량은 최고 3.7%, 2.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과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모두 적용한 경우 증발산량과 총 유출량은 RCP 8.5 2080s의 Linear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에서 최고 19.2% 증가하였으며, RCP 4.5 2080s의 Exponential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에서 최고 36.1%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의 유역 수문환경조건 변화에 따른 수자원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have impact on availability water resource by hydrologic cycl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ydrologic behavior by the future potential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in Anseongcheon watershed ($371.1km^2$) using SWAT model. For climat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토지이용변화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도시화 진행유역의 수문현상변화를 산정하기 위해 안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미래 기후변화만을 고려한 경우, 토지이용변화만을 고려한 경우, 미래 기상자료와 토지이용변화를 모두 고려한 경우를 분석하였다. 미래 기상자료는 안성천 유역 3개 관측소의 RCP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침투는 토층을 최대 10개 층까지 세분화하여 선형저수량 추적기법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Hargreaves 방법, Priestley-Taylor 방법과 Penman-Monteith방법을 제공하며, 작물과 토양의 증발산을 분리하여 모의하기 위해 Ritchie 방법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SCS 유출곡선법과 Penman-Monteith방법을 이용하였다.
SWAT 모형이란? SWAT 모형은 미국 농무성 농업연구소(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에서 개발된 준 분포형 장기 강우-유출 모형으로서,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종류의 토양과 토지이용 및 토지관리 상태에 따른 유출과 유사 및 농업화학물질의 거동에 대한 토지관리 방법의 영향을 예측하기 위한 모형으로 수문, 토양유실, 영양물질, 하도추적의 4가지 부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수문 부모형에서는 토양과 토지이용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수문반응단위(Hydrologic Response Unit, HRU) 로 SCS 유출곡선법과 Green & Ampt 침투식을 이용하여 지표유출량을 산정하며, 측방유출량은 Kinematic Storage Model을 이용한다.
CLUE-s 모형의 특징은 무엇인가? , 1999). 이모형은 비공간적 분석과 공간적 분석으로 나누어 수행된다. 비공간적 분석에서는 토지이용변화를 유도하는 구동요인과 토지이용과의 상관성을 다변량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총 변화면적을 산적하고, 공간적 분석 모듈에서는 대상지역의 래스터 자료로부터 토지이용변화 위치를 배분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S. R., Park, G. A., Jang, C. H. and Kim, S. J. (2013).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in a mixed forest catchment using spatially calibrated SWAT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6, pp. 569-583 (in Korean). 

  2. Ahn, S. R., Park, M. J., Park, G. A. and Kim, S. J. (2009). "Assessing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 components of gyeongancheon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No. 1, pp. 33-50 (in Korean). 

  3. Clarke, K. C., Hoppen, S. and Gaydos, L. (1997). "A self-modifying cellular automation model of historical urbanization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Vol. 24, pp. 247-261. 

  4. Doogers, P. and Aerts, J. (2005). "Adaptation strategies to climate change and climate variabilit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even Contrasting River Basins." Physics and Chemistry of he earth, Vol. 30, pp. 339-346. 

  5. Harry, F. L. and Patrick, J. M. (1994). "Increasing U.S. streamflow linked to greenhouse forcing."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75, No. 25, p. 281. 

  6.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IPCC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7. Jung, H. K., Kim, S. J. and Ha, R. (2013).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storage behavior of chungju and the regulation dams using SWAT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12, pp. 1235-1247 (in Korean). 

  8. Kim, W. S., Yun, K. H., Heo, J. and Jayakumar, S. (2008). "The expectation of the land use and land cover using CLUE-S model and landsat ima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6, No. 1, pp. 33-41 (in Korean). 

  9. Lee, K. S., Yoon, Y. S., Kim, S. H., Shin, J. I., Yoon, J. S. and Kang, S. J. (2009). "Analysis of present status for the monitoring of land use and land cover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5, No. 1, pp. 71-83 (in Korean). 

  10. Lee, Y. J., Ahn, S. R., Kang, B. S. and Kim, S. J. (2008).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on hydrology and stream water quality of anseongcheon watershed using SWAT model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6B, pp. 665-673 (in Korean). 

  11. Lee, Y. J., Park, J. Y., Park, M. J. and Kim, S. J. (2008).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on hydrology and stream water quality of anseongcheon watershed using SWAT model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6B, pp. 653-663 (in Korean). 

  12. Oh, S. N., Ha, K. J., Kim, K. Y. and Kim, J. W. (1998). "Effects of land hydrology in northeastern asia in a doubling $CO_{2}$ climate experiment." Korean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Vol. 34, No. 2, pp. 293-305 (in Korean). 

  13. Oh, Y. G., Choi, J. Y., Bae, S. J., Yoo, S. H. and Lee, S. H. (2010). "A probability mapping for land cover change prediction using CLUE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16, No. 2, pp. 47-55 (in Korean). 

  14. Park, G. A., Lee, Y. J., Shin, H. J. and Kim, S. J. (2010). "Assessment of the contribution of weather, vegetation and land use change for agricultural reservoir and stream watershed using the SLURP model(1) - Preparation of Input Data for the Mode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0, No. 2B, pp. 107-120 (in korean). 

  15. Park, J. K. (2009). "A study on the impact runoff discharge by developing in upper basin at urban stre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 15, No. 1, pp. 23-28 (in Korean). 

  16. Park, J. Y., Park, M. J., Joh, H. K., Shin, H. J., Kwon, H. J., Srinivasan, R. and Kim, S. J. (2011). "Assessment of MIROC3.2 hires climate and CLUE-s land use change impacts on watershed hydrology using SWAT." Transactions of the ASABE, Vol. 54, No. 5, pp. 1713-1724. 

  17. Turner, B. L., Lambin, E. F. and Reenberg, A. (2007). "Land change science special feature: The Emergence of Land Change Science for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nd Sustainability."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 Vol. 104, No. 52, pp. 20333-20671. 

  18. Verburg, P. H., De Konong, G. H. J., Kok, K., Veldkamp, A. and Bouma, J. (1999). "A spatial explicit allocation procedure for modelling for pattern of land use change based upon actual and use." Ecological Modelling, Vol. 116, No. 1, pp. 45-61. 

  19. Yang, H. K. and Kim, J. I. (2004). "The change of water balance due to urbanization in gwangju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ol. 10, No. 1, pp. 192-20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