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자연하천변의 목본성 식물군락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Woody Vegetation in the Edge of Natural River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7 no.2, 2015년, pp.124 - 129  

방제용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허은복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김혜주 (김혜주자연환경계획연구소) ,  유영한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의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인간의 간섭에 의한 훼손이 없거나 적은 10개의 자연하천을 군집생태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 사시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산벚나무군락 등 총 29개의 식물군락으로 확인되었다. 하천식생은 계곡 계반림과 하변림으로 나누어졌다. 계곡 계반림은 경사가 급하고 물에 의한 영향이 적어 경목림이 우점하였고, 하변 연목림은 버드나무류로 대변되었다. 하천 선택시 자연성이 기준이 되어 인간의 간섭이 많은 하류보다 중 상류에 위치한 조사지가 많았고, 그에 따라 출현군락의 92%(44 plot)는 경목림이었고, 8%(4 plot)는 연목림이었다. 전층을 이용한 PCA 분석에서는 신갈나무군락 그룹과 산벚나무군락 그룹, 소나무군락 그룹, 산벚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 혼합 그룹, 기타군락 그룹으로 크게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교목층을 이용한 PCA 분석은 신갈나무군락 그룹, 산벚나무군락 그룹, 기타군락 그룹으로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하천변에 출현한 식물군락은 경목림과 연목림으로 나누어졌으며, 이를 통해 하천제방권 및 고수위권은 신갈나무, 소나무, 사시나무, 굴참나무와 산벚나무 등의 종을 식재하는 것이 적합하고, 고수부지권 및 저수위권은 버드나무속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재될 목본에 따른 초본의 선택은 통계분석에서 같은 그룹에 속해있고, 높은 빈도로 출현하는 종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get as ecological basic data for river restoration, vegetatio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natural river and analysed it synecological methods, such as ordination cluster. 29 plant communities units were identified and the major dominant plant communites were Quercus mongolica commu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인간의 간섭에 의한 훼손이 없거나 적은 자연하천을 군집생태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복원할 하천의 특성에 맞은 식물군락 및 종의 선택과 식물이 정착하여 지속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인간의 간섭에 의한 훼손이 없거나 적은 자연하천을 군집생태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복원할 하천의 특성에 맞은 식물군락 및 종의 선택과 식물이 정착하여 지속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생태계의 역할은 무엇인가? 하천생태계는 수중생태계와 육상생태계를 연결하는 전이대(ecotone) 역할 뿐 아니라 하천을 중심으로 하는 복잡한 먹이사슬이 얽혀 있어 생물다양성의 유지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하천과 생물들 간의 관계 뿐 아니라 하천과 인간 간의 관계에 있어서도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우리나라의 하천관리정책은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가? 하천과 생물들 간의 관계 뿐 아니라 하천과 인간 간의 관계에 있어서도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우리나라의 하천관리정책은 홍수방지를 위한 치수위주의 하천정비 사업이 추진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부터 산업화, 도시화과정에서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 등 각종 용수 수요급증에 따른 다목적 댐 등의 구조물 조성에 의한 수자원개발이 주요 사업으로 추진되어 왔다. 이와 같은 하천 정비 사업은 우리나라의 하천정비대상 35,781km 중 80%이상이 개보수작업이 추진되었으며, 직할하천은 거의 하천 정비 사업이 완료되었다(Park et al.
하천생태계의 주요 변화 요인중 물리적 변형은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 하천생태계의 주요 변화 요인은 물리적 변형, 화학적‧생물학적 변화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물리적 변형으로는 댐 건설, 직강화, 준설, 골재 채취, 제방 건설, 고수부지 개발, 용수공급을 위한 과도한 하천수의 이용, 유역의 교란(산림 벌채, 산불, 농경지 개간, 습지 매립), 수중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물리적 변화요인은 화학적‧생물학적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쳐 왔다(Choo et al.,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YH, YC, Yang, SH, Chun (2001). A study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alicaceae species at the An-sung stream-refered to Woldongcheon, Yokjungcheon, Joyoungcheon and Gisolcheon-J. of Environment and Ecology, 15(3), pp. 213-223.[Korean Literature] 

  2. Braun-Blanquet, J (1964). Planzensozilogie. 3rd ed. Wien . NewYork; Springer. 

  3. Cho, JC, Lee, KJ (1988). Study on the vegetational community of Hongrudong valley in the Mt. Gaya by ordination techniques. Korean J. of Forestry. 77(1), pp. 73-82. [Korean Literature] 

  4. Choo, KJ, Kim, HW, Ha, K (1997). The development of stream ecology and current status. Korean J. of Ecology, 20(1), pp. 69-78.[Korean Literature] 

  5. Han, SJ, Kim, HJ, You, YH (2009). Selection on tolerant oak species to water flooding for flood plain restoration. J. of Wetlands Research, 11(2), pp. 1-7. [Korean Literature] 

  6. Haslam, SM. and PA. Wolseley (1981). River vegetation: It's 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Jarolimek, I, K. Jiri and D. Jiri (1991). Annual nitrophilous pond and river bank communities in north part of Korean peninsula. Folia Geobotanic et Phytotaxonomica. 26(1), pp. 1-112. 

  8. Karrenberg, S., S. Blaser, J. Kollmann, T. Speck and PJ. Edwards. (2002). Root anchorage of saplings and cuttings of woody pioneer species in a riparian environment. Functional Ecology, 17, pp. 170-177. 

  9. Kim, HJ., BK. Sin, YH, You, CH, Kim (2008). A Study on the vegetation of the present-day potential natural state of water for flood plain restoration in South Korea.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5), pp. 564-594. [Korean Literature] 

  10.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Korean Literature] 

  11. Lee, CS, Oh, JM, Lee, NJ (2003). Rivers and waterside plants: Conservation and Manegement of Vegetation. Sinkwangmunwhasa. pp. 32-111.[Korean Literature] 

  12. Lee, WC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book.[Korean Literature] 

  13. Lee, YK (2005).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iparian vegetation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Korean Literature] 

  14. Malanson, GP (1993). Riparian Landscap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5. Mucina, L., G. Grabherr and S. Wallnofer (1993). Die pflanzen geselschaften Osterreichs: walder und gebusche. Stuttgart.NewYork:Gustav Fisher/Verlag Jena. 

  16. Park, SY, Yoon, SY, Lee, KC, Bae DH, Kim, HS, Kim, KG (2003). Wetland study principle. Gyeongnam Institute of development. p.40.[Korean Literature] 

  17. Penka, M., M. Vyskot, E. Klimo and F. Vasicek (1985). Floodplain forest ecosystem. Praha: Academia. 

  18. Shim, JK (2001). A study on the natural ecology of the Gabcheon stream(Kasuwonkyo-Manneonkyo). Mokwon Journal of Natural Science. 10(2), pp. 5-30.[Korean Literature] 

  19. Son, MW, YG, Jeon (2003). Physical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etlands on the downstream reach of Nakdong river. Korean J. of Regional Geography, 9(1), pp. 66-76.[Korean Literature] 

  20. Song, JS (2008). A synecological study of the riverside vegetation of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I . Forest and shrub vegetation-.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4), pp. 443-452.[Korean Literature] 

  21. Song, JS, SD, Song (1996).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riverside vegetation around Hanchon, an upper stream of Nak-tong river. Korean J. of Ecology, 19(5), pp. 431-451.[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