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충북의 2010년 이후 신설된 학교 분석을 통한 저층부 배치 시설 및 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acilities Layout of Lower Floor and Space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of Newly Established Schools in Chungbuk since 2010원문보기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rough the social awareness and issues are being changed. 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school building which also has to be changed. This study is Low-floor(1~2 floor) for high accessibility, important management and a lot of locomotion. This study is anal...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rough the social awareness and issues are being changed. 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school building which also has to be changed. This study is Low-floor(1~2 floor) for high accessibility, important management and a lot of locomotion. This study is analysis by floor of newly established schools in Chungbuk. Facility and space on the possible low-floor situated are classified administrative zone, health zone, student support + local exchange zone, STEAM(creativity, personality) supporting zone. The administrative area includes administration office, principal's office and board rooms. The administrative zone is located against schoolyard. Because it is possible visual control of schoolyard. also it controls visitor access so it is placed near main entrance. Health zone is located near a special class, counseling center and wee class for emergency situation. and is located near schoolyard for visual control. Student support + local exchange area includes library and computer lab, audio-visual room, auditorium or gymnasium. It put more emphasis resident welfare, culture and education. So it opens for local residents. It is located center of few stories or near entrance. STEAM(creativity, personality) supports science lab, art room, family room. It is possible such a theory class, experience class and indoor and outdoor class. It is located few floors. This study is used as a reference for school building projects planing.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rough the social awareness and issues are being changed. 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school building which also has to be changed. This study is Low-floor(1~2 floor) for high accessibility, important management and a lot of locomotion. This study is analysis by floor of newly established schools in Chungbuk. Facility and space on the possible low-floor situated are classified administrative zone, health zone, student support + local exchange zone, STEAM(creativity, personality) supporting zone. The administrative area includes administration office, principal's office and board rooms. The administrative zone is located against schoolyard. Because it is possible visual control of schoolyard. also it controls visitor access so it is placed near main entrance. Health zone is located near a special class, counseling center and wee class for emergency situation. and is located near schoolyard for visual control. Student support + local exchange area includes library and computer lab, audio-visual room, auditorium or gymnasium. It put more emphasis resident welfare, culture and education. So it opens for local residents. It is located center of few stories or near entrance. STEAM(creativity, personality) supports science lab, art room, family room. It is possible such a theory class, experience class and indoor and outdoor class. It is located few floors. This study is used as a reference for school building projects planing.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처럼 변화하는 교육부의 정책은 사회적 인식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수반하고, 이에 대응하는 학교 공간도 변화되어야 한다. 이를 접근성이 높고 관리가 중요하며 이동량이 많은 공간인 저층부를 중심으로 충북에 2010년 이후 신설된 학교의 답사 조사 분석 연구하여, 이에 따른 저층부(1∼2층)에 배치 가능한 시설 및 공간의 특성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향후 신설할 학교 건축계획의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첫째,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 학교 시설의 배경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시설 및 공간에 대해 분석한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충북의 초등학교 2개교, 중학교 4개교, 고등학교 2개교 총 8개교의 저층부(1∼2층) 사례 조사를 통해 저층부에 배치되어 있는 공간들을 분석한다.
셋째, 변화된 교육과정에 대응하는 저층부에 배치 가능한 시설 및 공간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교육부의 정책에 따른 교육과정의 변화는 학교 건축의 시설의 변화에 필연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교육과정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하는 건축적 공간에 대해 고찰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의 용도분류를 교육정보 제공 서비스에 제시된 공시 가이드(학교알리미, 교육정보공시서비스, http://www.schoolinfo.go.kr)의 교사 시설 용도로 구분하지 않고, 정규교실(보통교실)과 국어, 영어, 수학 등과 같은 교과교실, 수준별 교실을 제외한 교사 시설의 용도별 영역을 다음과 같이 행정관리 영역, 보건 영역, 학생 지원+지역 교류 영역, STEAM(창의·인성) 지원 영역으로 구분하여 신설학교를 계획함에 있어 저층부에 적용 가능한 시설 및 공간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대상 데이터
이와 같이 변화된 교육과정을 지원하는 공간 배치 특성을 분석해 보기 위해 학교 내 공간 구성과 융합교육과 다양한 교육과정에 대응하는 공간 구성을 갖고 있는 충북의 최근 3년 이내 신설된 초,중,고, 각 학급별 청원초, 동성초, 오창중, 동성중, 괴산 오성 기숙형 중학교, 속리산 기숙형 중학교, 대소금왕고, 오송고 8개 학교의 저층부 공간을 조사하였다.
속리산중학교는 1970년 원남중학교로 개교한 뒤 2009년 기숙형 공립중학교로 설립이 확정되고, 2001년 3월에 내북, 속리, 원남중학교가 통폐합되면서 속리산중학교로 개명되어 2011년 9월에 준공된 학교이고, 총 170명의 모든 학생들이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있는 기숙형 학교이다.
성능/효과
이에 따라 충북의 8개 학교 사례를 통해 살펴본 저층부의 특징은 1층에는 주로 행정영역과 보건영역, 2층에는 휴게영역과 STEAM영역 그리고 공통적으로 학생지원+지역 교류영역이 있어 다양한 조닝이 나타나며, 이러한 이유로 1층과 2층의 주진입이 분리되었고, 교실 및 복도의 폭이 넓어졌다.
또한, 충북의 8개 학교 사례를 통해 살펴본 저층부에 배치 가능한 시설 및 공간은 행정 영역, 보건 영역, 학생지원+지역 교류 영역, STEAM(창의·인성) 지원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행정관리 영역은 주로 1층에 위치하도록 하고, 어려울 시에 보조해주는 실을 2층에 배치하도록 한다. 보건 영역은 응급상황 등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특수학급, 상담실, Wee클래스 시설을 인접 배치하여 효율을 향상시키고, 보건실에서 운동장을 관리·관찰이 가능하도록 배치한다. 특수학급은 따로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특수학급의 교무실에서 학생들의 출입과 특수학급 교실, 활동실의 시각적 관찰이 가능하도록 한다.
학생지원+지역교류영역은 주민복지와 문화 그리고 교육에 중점을 두어 도서실과 컴퓨터실, 시청각실과 강당 또는 체육관, 지역주민실과 다목적실을 개방하도록 하고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이용을 고려하여 저층에 배치하도록 한다. 학생들의 이동과 교류가 가장 많은 2층에 주로 배치하도록 하고, 1층에 교류가 많을 경우는 유동적으로 1층에 배치하도록 한다.
후속연구
이와 같이 교육과정의 변화와 이에 요구되는 공간의 변화에 대해 충북지역 신설 학교 사례를 통해 구체화된 공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의 결과를 참고하는 향후 신설 학교 저층부에 배치 가능한 공간 및 시설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대한 타 지역의 다양한 학교 사례와 비교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융합인재교육이란?
또한 교육부는 창의적 설계(Creative Design)와 감성적 체험활동(Emotional Touch)을 통해 과학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융합적 지식 과정, 본성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여 창의적이고 종합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융합적 소양(STEAM Literacy)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2)인 융합인재교육, 설계단계부터 범죄 예방환경(미관증진, 오픈공간, 이용자 편의 등)을 고려하여 범죄유발 요인 제거3)인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한 초등 돌봄교실, 사교육비 절감을 위한 방과후 학교, 창의융합형 인재육성을 위한 진로에 따른 맞춤형 교과과정을 운영하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을 추구한다.
교육과정 체계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교육과정 체계는 헌법-교육법-초·중등 교육법-초·중등 교육법 시행령으로 이루어져 있다. 헌법에서 기본 사항을 규제하고, 상위법인 교육기본법에서 교육 이념을 제정하며, 하위법인 초·중등 교육법에서 교육목적과 교육과정을 제정하고 초·중등 교육법 시행령에서 교과의 종류, 교육과정 편제 및 시수, 편성 및 수업 운영 방법을 제정하고 있다.
진로와 창의적인 재량활동, 체험활동과 수준별 수업을 신설하고 권장하는 이유는?
7차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계속해서 진로와 창의적인 재량활동, 체험활동과 수준별 수업을 신설하고 권장하고 있다. 이는 학생의 진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으로 이를 위해 창의적인 체험활동을 할 수있는 공간이 확대되어야 한다. 창의적인 체험활동은 미술, 음악, 가정, 기술 등의 수업뿐 만 아니라 과학, 수학 등과 같은 과목들과 예술과목을 연계시킴으로써 좀 더 다양한 창의적인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융합교육을 위한 공간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8)
Cheon, Ho-Seong, A Case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of a Child's Consciousness of Community -An Analysis of AITYOUKATSUDOU(the activity of saving birds) at MIYAZAKI Elementary School in Japan-, 2006
Noh, Ran and Jung, Jin-Ju, Study on Changes in Education Curriculum and Legislations of School Facilities and Equipment, 2011
Jung, Jin-Ju, The Study on the Facilities Utilization and Architectural Planning Criteria of Integrated Schools, 2001
Ministry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partial revision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General Studies curriculum supplemented commentary piece, 2014
Ministry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partial revision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Middle school General Studies curriculum supplemented commentary piece, 2014
Ministry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partial revision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General Studies curriculum supplemented commentary piece, 2014
http://www.steamkorea.net, site accessed 11.20.2014
Ministry of Education, report, blue zone campaign for stop bullying, 11.15.2013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