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회기록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Record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5 no.2, 2015년, pp.103 - 136  

김장환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  이은별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회기록보존소는 국가기록원에서 개발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에 보존기록관리 기능을 일부 추가한 형태의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은 기록관 기능 수행을 위해 개발 보급되었기 때문에 영구기록물관리기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국회기록보존소의 업무 기능을 모두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구나 현행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은 법규에 따라 이관받는 공문서 관리 중심이기 때문에 의정활동과 관련하여 수집한 국회의원 기록물, 역대 국회의장 등으로부터 채록한 구술기록, 영상회의록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물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의 문제점 분석과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창원시, 문화재청에서 운용 중인 시스템 사례연구를 통해 향후 개발 예정인 국회기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기능 구성, 메타데이터, 목표시스템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using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which added some archival function to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that they had previously developed. However,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has l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회기록보존소의 역할은? 국회기록보존소는 입법부의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역할을 수행하는 조직으로서, 전자기록물이관과 보존기록물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국가기록원에서 개발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이하, ‘표준 RMS’)에 일부 보존기록관리 기능을 커스터마이징한 형태의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표준 RMS는 기본적으로 RM(Records Management) 기능 위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인 국회기록보존소의 기능을 모두 구현하는 데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일반 국민이 접근하여 국회기록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나? 또한 현재 국회기록보존소에는 일반 국민이 접근하여 국회기록물을 활용할 수 있는 대국민서비스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일반국민이 국회기록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에 따라 정보공개를 청구해야 한다. 현용기록물이 아닌 보존기록물까지 정보공개법에 의해 서비스할 수 밖에 없다는 점은 국민의 알 권리나 최근의 기록학계 흐름에 비추어 볼 때 한참 뒤떨어져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표준 RMS의 한계점은? 국회기록보존소는 입법부의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역할을 수행하는 조직으로서, 전자기록물이관과 보존기록물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국가기록원에서 개발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이하, ‘표준 RMS’)에 일부 보존기록관리 기능을 커스터마이징한 형태의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표준 RMS는 기본적으로 RM(Records Management) 기능 위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인 국회기록보존소의 기능을 모두 구현하는 데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더구나 현행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은 법규에 따라 이관받는 공문서 관리 중심으로 기능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국회의원 및 정당기록물 등의 의정활동기록물, 역대 국회의장단 등의 구술기록, 국회영상회의록 등의 시청각기록물, 그밖에 행정박물과 간행물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물을 입수하여 관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국가기록원 (2009). 기록관리시스템 기능 요건. NAK/S 6:2009(v1.1). 대전: 국가기록원.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09). Functional Requirements of Records Management Systems. NAK/S 6:2009(v1.1).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2. 국가기록원 (2010). 영구기록관리시스템 기능 요건. NAK/S 7:2010(v1.1). 대전: 국가기록원.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0). Functional Requirements for Archive Management Systems (v1.1). NAK/S 7:2010(v1.1).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3. 국가기록원 (2012).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NAK/S 8:2012(v2.0). 대전: 국가기록원.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2).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Metadata Standard. NAK/S 8:2012(v2.0).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4.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0). 국회도서관과 국회기록관리의 발전방안 모색. 제1회 국회기록보존소 발전전략 세미나자료, 국회도서관, 서울. National Assembly Archives (2010). Suggestion for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The first seminar of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2010. Seoul: National Assembly Library. 

  5.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2). 기록관리 관련 법규 개정에 따른 국회기록물 관리 및 서비스강화 방안을 위한 연구용역. 서울: 국회도서관. National Assembly Archives (2012). Research on the ways to strengthening the management and service of National Assembly archives according to Revision of Record Management Laws. A Study for National Assembly Library. Seoul: National Assembly Library. 

  6.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3). 2013년도 국회기록보존소 업무편람. 서울: 국회도서관. National Assembly Archives (2013). National Assembly Archives Business manual 2013. Seoul:National Assembly Library. 

  7.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13). 국회기록통합관리 및 서비스시스템 기반조성을 위한 TF 보고서. 서울: 국회도서관. National Assembly Archives (2013). Report of based composition for National Assembly Archives Service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s. Final report of Task Force Team. Seoul: National Assembly Library. 

  8. 국회사무처 의사국 (2004). 국회의안편람. 서울: 국회사무처. Proceeding Bureau of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2004). Handbook of National Assembly bill. Seoul: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9. 국회사무처 의사국 (2004). 국회회의록작성편람. 서울: 국회사무처. Proceeding Bureau of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2004). Manual for National Assembly Minutes. Seoul: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10. 국회사무처 의사국 (2010). 국회회의록작성편람. 서울: 국회사무처. Proceeding Bureau of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2010). Manual for National Assembly Minutes. Seoul: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11. 김계수 (2011). 문화재청의 기록관리 내실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들. 기록IN, 11, 58-63. Kim, Gye-Soo (2011). New challenges for Substantiality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Records Management. Girok-in, 11, 58-63. 

  12. 김유승 (2011). 국회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 관한 연구: 국회기록물관리규칙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95-119. Kim, You-Seung (2011). A Study on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focused on the National Assembly Records Management Regulation.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11(2), 95-119. 

  13. 김유승, 설문원 (2013). 국회기록정보 온라인 서비스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25-48. Kim, You-Seung & Seol, Moon-Won (2013). A Study on Online Services of the National Assembly's Archiv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4), 25-48. 

  14. 김장환 (2014). 국회 기록화 전략의 수립과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Kim, Jang-hwan (2014). A Study on Establishing and Applying a Documentation Strategy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15. 네이버시스템 (2014). 국회기록관리시스템 교육자료. 서울: 국회기록보존소. Neighbor System (2014). Instructional materials of National Assembly Records Management system. Seoul: National Assembly Archives. 

  16. 마미경 (2000). 국가기록보존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국회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Ma, Mi-kyoung (2000).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Archival System - on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in particula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7. 문병준 (2012). 특수유형기록물관리시스템을 통한 효과적인 기록물 정리 방안. 제4회기록인대회 발표자료, 331-336. Moon, Byeong-joon (2012). Suggestion for effective records arrangement using special type of archives management system, 331-336. 

  18. 문화재청 (2010). 문화유산 기록정보자원 관리체계 합리화 방안 연구용역 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0). A Study on the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system for Archival information resource about Heritage. A Study for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0.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19. 미래창조과학부 (2013). 2013년도 국가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과천: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3). The Annual Report of National Informatization. Gwacheo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 박석훈 (2008). 대통령기록관리 시스템의 구축. 기록IN, 2, 56-61. Park, Suk-Hoon (2008). Establishing of Presidenti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Girok-in, 2, 56-61. 

  21. 서연주, 양승민 (2005). 국회 기록관리 체제정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3), 201-211. Suh, Yeon-Ju & Yang, Seung-Min (2005).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Record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3), 201-211. 

  22. 송병호 (2009). 기록관리시스템의 현황과 전망. 기록학연구, 21, 385-411. Song, Byoung-Ho (2009). Current State and Future Prospect of Korean Record Management System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1, 385-411. 

  23. 우학명, 김희정 (2009). OAIS 모형의 PDI(Preservation Description Information)를 기반으로 하는 국가기록 보존기술요소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4), 227-248. Woo, Hak-Myung & Kim, Hee-Jung (2009). A Study on Preservation Description Elements of National Records based on PDI(Preserv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in OAIS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4), 227-248. 

  24. 이원영 (2005). 국회 외부관계 기능의 다큐멘테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3), 5-25. Lee, Won-Young (2005). A Study on the Documentation Stretagy of External Relations of National Assembl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3), 5-25. 

  25. 임진희 (2011). MoReq2010을 통해 본 ERMS 기능요건 동향. 기록IN, 17, 64-69. Yim, Jin-hee (2011). Trend of functional requirements for ERMS through MoReq2010. Girok-in, 17, 64-69. 

  26. 정태영, 김유승 (2012). 국회 전자기록물 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회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141-165. Jeong, Tae-Young & Kim, You-Seung (2012). A Study on the National Assembly's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Focused on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12(1), 141-165. 

  27. 창원시 (2011). 특수유형기록물관리시스템 구축시방서. 창원: 창원시청. Changwon City (2011). The specification for establishing a special type of archives management system. 

  28. 최희진 (2011). 기록관리 업무 지원을 위한 중앙영구기록관리시스템(CAMS) 고도화. 국가기록백서 2010. 대전: 국가기록원. Choi, Hee-jin (2011). The enhancement of Cent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for business support to records management. National archives white paper 2010.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29. 대한민국 국회. 검색일자: 2015. 5. 1. http://www.assembly.go.kr. National Assembly of Korea. Retrieved May 1, 2015, from http://www.assembly.go.kr. 

  30. 표준프레임워크 포털. 검색일자: 2015. 5. 4. http://www.egovframe.go.kr. eGovFrame Portal eGoverment Standard Framework. Retrieved May 4, 2015, from http://www.egovframe.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