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가 융합연구사업의 현황 및 연계성 분석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and Relationship among National R&D Projects for Technology Convergence 원문보기

대한산업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41 no.3, 2015년, pp.305 - 323  

조양래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  양이석 (미래창조과학부 융합기술과) ,  서용윤 (전자통신연구원 창의미래연구소) ,  전정환 (경상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various R&D projects about technology convergence was conducted by the government of Korea, the lack of liaisons among the projects has been accepted as serious issues related on the duplicated funding.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research framework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nationa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융합연구사업간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 과학기술 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제공하는 국내 융합연구사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에 대해 기술분야, 특성화 분야, 사업규모, 수행주체 등 다각도적인 현황 분석을 실시한다.
  •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산업융합 발전 기본계획(2013~2017)을 수립하여 융합연구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본 계획의 정책 목표는 미래 대융합 시대의 글로벌 리더육성과 산업융합촉진법에 따라 산업융합촉진과 기반조성이다. 4대 추진전략으로는 첫째, 더불어 풍요로운 산업융합 강국 견인, 둘째, 스마트융합 확산으로 살기 좋은 생활 구현, 셋째, 녹색 융합을 통한 지속성장 역량 강화, 넷째, 창의적이고 열린 융합인프라 조성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융합연구사업 간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분석 대상 사업의 범위를 정의하고 대상 사업을 선정한다.
  • 수집된 융합연구사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황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분석 요인을 수립한다. 본 연구에서는 [Table 5]와 같이 총 6개의 분석 요인을 수립하였으며, 각 분석 요인을 기준으로 융합연구사업을 정렬하고, 이에 대해 카테고리화하여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각 부처별로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는 융합연구사업들 간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실제 국내 범부처 44개 융합연구사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책적 측면, 기술분야적 측면, 그리고 주관부서를 고려한 연계맵을 구축하여 사업간 연관관계와 중복성 및 공백 문제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정부 융합연구사업을 대상으로 연계성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실제 국가 과학기술 지식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국내 융합연구사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한 최초의 연구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술 및 정책 간 연계 현황 및 취약점을 도출할 수 있었고, 이는 곧 융합관련 정책수립 및 부처 간 사업조율의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 융합기술발전기본계획에서 정의한 기술융합의 정의는? 국내 “국가 융합기술발전기본계획(2008~2013)”에서 정의한 기술융합의 정의를 살펴보면, ‘NT, BT, IT 등 신기술 간 또는 이들과 기존 산업․학문 간 상승적인 결합을 통해 새로운 창조적 가치 창출’ 또한 ‘미래 경제․사회․문화의 변화를 주도하는 새로운 융합연구 분야를 창조하는 기술’로 명시되어 있다(MEST et al., 2008).
융합기술에 대해 개념과 정의가 국가별로 다른 이유는? 융합기술에 대해서는 그 개념과 정의가 국가별로 조금씩 상이한데, 미국의 경우 NBIC(NT, BT, IT, CS) 전략을 중심으로 기술 기반의 융합연구 전략을 수행하고 있고, 유럽의 경우 인문, 사회과학과 공학과의 융합을 포괄하는 관점을 강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Lee, 2013). 이러한 차이는 지역별 융합기술의 정책적 시작점이 다르기 때문에 생겨난 차이라 볼수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2001년부터 미국과학재단과 상무부 주관 하에 융합기술 정책의 방향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융합연구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융합기술발전 기본계획의 6대 추진전략은? 국가융합기술발전 기본계획은 두 가지 전략목표를 갖고 수립되었는데 첫째는 창조적 융합기술 선점을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이며, 둘째는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른 5개년 계획으로 원천기술 확보, 융합 전문인력 양성, 개방형 공동연구 강화, 범부처 연계구축에 있다. 이를 위하여 6대 추진전략을 수립하였다 : (1)원천융합기술의 조기 확보, (2)창조적 융합기술 전문 인력 양성, (3)융합 신산업 발굴 및 지원 강화, (4)융합기술 기반 산업 고도화, (5)개방형 공동연구 강화, (6)범부처 연계․협력체계 구축. 현재 박근혜 정부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제2차 계획으로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융합기술발전전략(2014~2018)을 수립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M.-K. (2008), A Study on Insight of R&D on IT Convergence Technology, Informations and Communications Magazine, 25-31. 

  2. Choi, B.-C. and Chung, J.-B. (2013), Project Time-Cost Tradeoff Problem with Milestones under an Uncertain Processing Time,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38(2), 25-42. 

  3. European Science Foundation, European Peer Review Guide, European Science Foundation, 2011. 

  4. Hwang, D.-Y., Kim, Y.-I., and Lee, B.-M. (2008),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for Technology Convergen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Proc. Conf. on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592-612. 

  5. Hwang, Y.-S. and Hwak, S.-Y. (2004), A Study on Diagnosis and Development of National R&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Korea. 

  6. Jung, S.-H. (2009), A Study on Issue and Insight of R&D on Convergence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Rellable Information and Assurance, 19(3), 11-13. 

  7. Kim, K.-T., Lee, D.-J., and Park, S.-J. (2012), Evaluation of the Economic Values and Optimal Deployment Timing of R&D Investment in New and Renewable Energy Using Real Option Approach,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38(2), 144-156. 

  8. Kim, T.-H., Kim, I.-H., An, S.-B., and Lee, K.-S. (2009), A Way to Enhance Efficiency of Nuclear Program in Korean R&D Program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Proc. Conf. on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70-87. 

  9. Kim, Y.-J., Jung, U., and Jung, S.-K. (2009), Study on the Status and Supporting Strategy of National R&D Programs related to the Convergence Technology, Proc. Conf. on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413-429. 

  10. Lee, K.-H., Kim, S.-H., Chio, J.-H., Suh, J.-Y., Kang, J.-H., and Lee, A.-J. (2013), An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perty of Fusion R&D Project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e, Korea. 

  11. Lee, Y.-J., Han, U.-S., and Kee, Y.-M. (2009), Trends and Outlooks of R&D on IT Convergence Technology, Proc. Conf. on Inspiring Insight in Business Society. 

  12.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MES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Basic Plan of National Fusion Technology Evolution('09-'13), Korea Government. 

  13.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2014), Strategic Plan of Fusion Technology Evolution for Fulfillment of Creative Economy, Korea Government. 

  14. Park, S.-J., Kim, K.-H., and Jung, S.-K. (2011),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Efficiency of Governmental R&D Programs Regarding to the S&T Outcomes, Proc. Conf. on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205-22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