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유방암 생존자의 건강증진 행위 경험 연구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 of health behavior among Korean low-income breast cancer survivo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5, 2015년, pp.3188 - 3198  

이영선 (조선대학교 행정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저소득층 유방암 생존자들의 건강증진행위 경험을 탐색하였다. 9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후 자료를 분석한 결과, 95개의 개념, 23개의 하위범주를 발견하였으며, 신체행동적, 심리적, 사회적 영역의 암 관련 경험, 원인적 사고, 운명적 사고와 같은 인지지각적 요소, 부정적, 긍정적 차원의 정서, 내적, 외적 차원의 자원확보 역량, 신체행동적, 심리적, 사회적 영역의 건강증진 행위로 12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특히 건강증진 행위를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요소들을 발견하고 이러한 요소들을 자원확보역량이라는 개념으로 범주화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건강증진 행위촉진을 위한 방안을 논의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health behaviors and related situations of Korean low-income breast cancer survivors using in-depth interview. The study derives 95 concepts, 23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in open coding. Illnes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by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 암환자는 무엇을 경험하나? 저소득층의 경우 실제적으로 건강증진을 위한 행위에 접근성이 떨어지기도 하지만[8] 특히 여성 암환자인 경우 모멸감, 수치심, 불안, 우울을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경험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여성에게 기대되는 성역할과 가족 부양 기대와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뿐만 아니라 여성 스스로 자녀 및 가족 돌봄과 관련된 심리적인 부담을 갖고 있고[9], 여기에 더하여 유방암을 가진 경우는 유방상실로 인한 신체 이미지와 성적인 건강 문제까지 더해져 본인의 건강증진 행위에 소극적이기 쉽다.
건강 행위를 설명하는 이론에는 무엇이 있나? 일반적으로 건강 증진 행위는 영양, 운동, 스트레스 관리, 건강 책임, 대인관계, 자아실현이 하위개념으로 구성되며[10], 건강 행위를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건강증진 모형(Health promotion model),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 건강요인지향적 모델(Salutogenic model) 등이 있다. 이러한 모델은 인지지각 요소인 건강신념, 건강가치, 건강통제의 자기효능, 지각된 건강상태, 장애성, 자아존중감 등을 건강증진행위의 중요한 요인으로 강조하고 있다[11].
우리나라 암발생율과 생존율 추세는? 우리나라 암발생율과 생존율은 점차 좋아지고 있다. 2012년 암발생율은 전년대비 처음으로 감소하였으며, 최근 5년간 암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도 68.1%로 2001-2005년 대비 14.3%향상되었다[1]. 그러나 저소득층 암환자의 완치율과 장기생존율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좋지 않다[2,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W. Jung, Y.J. Won, H.J. Kong, C.M. Oh..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1."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official journal of Korean Cancer Association, vol.46(2) p.109, 2014. 

  2. M.Son, S.J.Kim, J.H.Lee, J.O.Kim, S.H.Bae, J. H.Oh, S.S.Hwang et al. Reducing inequalities in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developing epidemiologic health inequality index and health policy in Korea. Seou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3. C.W. Lim, Inequality in incidence, fatality and utilization of cancer patients across income groups in South Korea,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4. J.J. Guidry, L.A. Aday, D. Zhang, R.J. Winn. "Information sources and barriers to cancer treatment by racial/ethnic minority status of patients." Journal of Cancer Education. vol 13(1), PP43-48, 1998. 

  5. E.J. Kang, Y.T. Cho. "Equity in health expectancy across sex and educational attainment and its policy implicat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149, pp. 15-25. 2009. 

  6. D. Kim, S. Subramanian, I. Kawachi. "Social capital and physical health."Social capital and health: Springer; pp.139-190.2008. 

  7. H.R. Kim, Y.H. Khang, K.J. Yoon, C.S. Kim.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and Counter Policies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p.49-56, 2004. 

  8. B.H. Choi, H.W. Shin. "Equity in health care utilization by target populat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8, pp.90-98, 2005. 

  9. K.T. Ashing-Giwa, G. Padilla, J. Tejero, J. Kraemer, K. Wright, A. Coscarelli, et al. "Understanding the breast cancer experience of women: a qualitative study of African American, Asian American, Latina and Caucasian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vol.13(6), pp.408-28.2004. 

  10. S.N.Walker,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vol.36(2), pp.76-81, 1987. 

  11. E.H. Lee, Y.Y. So, S.S. Choi. "A Study about promoting Health Lifestyles and Relating Variables on the Life-cycle of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9(3) pp.700-710, 1999. 

  12. Y.J. Park, S.J. Lee, E.S. Park, H.S. Ryu, J.W. Lee, S.O. Chang. "A meta-analysis of explanatory variabl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0(4), pp.836-846, 2000. 

  13. S.R. Suh, H.J. Kim. "The resourcefulness and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vol 12(1), pp.112-121, 2000. 

  14. J.Y. Lim, T.J. Lee, S.S. Bae, G.H. Yi, K.H. Kang, Y.H. Hwang.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poor." Korean Social Policy Review, vol.16(2), pp.131-180, 2010. DOI: http://dx.doi.org/10.17000/kspr.16.2.201001.131 

  15. K.S. Jung.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Breast Cancer Survivors. Busan: Kosin University, 2015. 

  16. J.W. Yim, H.S. Yoon, O.M. Bak, J.H. Jo, S.H. Park, S.W. Lee. "A qualitative study of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s among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 Soc Welf, vol.63, pp.155-181, 2011. 

  17. S.M. Shim. "A study o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low 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7(1), pp.63-70, 2005. 

  18. I.J. Lee.."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the experience of a struggle against breast cancer in low-income single moth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45(1), pp.103-40, 2014. 

  19. A. Giorgi,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pp.10-19, 1985. 

  20. M. Yi, E.Y. Park, D.S. Kim, Y.S. Tae, B.Y. Chung, H.S. So. "Psychosocial adjustment of low-income Koreans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1(2), pp.225-235, 2011.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1.41.2.225 

  21. S.Y. Hwang.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Ment Health Soc Work, vol.33, pp.257-287, 2009. 

  22. M.S. Kim, M.S. Chun. "Effects of the Selp-Help Group Program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Self-help group program is an elective procedure." Asian Oncology Nursing, vol. .3(1), pp.45-55, 2003. 

  23. R.I. Hwang.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in mammography screening practice among low-income womn. Seoul: Korea University. 2004. 

  24. S.C. Danhauer, L.D. Case, R Tedeschi, G, Russell, T. Vishnevsky, K. Triplett, et al. "Predi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vol.22(12), pp.2676-2683., 2013. DOI: http://dx.doi.org/10.1002/pon.3298 

  25. L.C. Gallo, K.E. de los Monteros, S. Shivpuri.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What Is the Role of Reserve Capacit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 18(5), pp.269-74, 2009. DOI: http://dx.doi.org/10.1111/j.1467-8721.2009.01650.x 

  26. G.Y. Kim, E.M. Kim, S.S. Bae. "Social capital and stage of change for physical activity in a community sample of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6(1), pp.63-80, 2009. 

  27. M.R. Yun, M.S. Song. "A qualitative study on breast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Perspect Nurs Sci, vol.10(1), pp.41-51, 2013. 

  28. Y.S. Rhee, I.Y. Han, J.W. Lim, H.W. Ku, I.Y. Moon. "The Development of Korean Patient Navigator Education Program for the Neglected Class of Breast Cance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3, pp. 258-301,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