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A Typology of Dual-Income Family Work-Life By Time Allocation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9 no.2, 2015년, pp.101 - 125  

김주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  이기영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al-income family is becoming more common in today's society. This study will look at how dual-income households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Specifically, it will study how the families allocate time for work, where they use labor power, and for domestic work and leisure, where they recharge lab...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10월 맞벌이 가구 비율은? 현재 맞벌이 가정은 우리사회의 보편적 가정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2013년 10월 기준으로 배우자가 있는 1178만 가구 가운데 맞벌이 가구는 42.9%로 홀벌이 가구 42.2%를 넘어섰다(통계청, 2014).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생긴 문제점은? 2%를 넘어섰다(통계청, 2014). 맞벌이 가정의 보편화에 직면하여 가정의 공동화 현상, 돌봄기능의 취약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며(송혜림, 2012), 가정 내 역할변화에 따른 시간배분의 차원에서 시간부족,시간갈등, 일-가족의 양립, 일-생활의 균형 등의 문제도 야기시키고 있고, 이는 개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부부간의 균형의 문제도 부각시키고있다. 즉, 맞벌이 가정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공적인 영역에서 노동력을 소비하는 일시간과 사적인 영역에서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가사노동시간이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다중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사용의 요구로 또 다른 노동력 재생산시간인 여가시간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맞벌이 가정에서 겪는 부부간의 균형 문제는? 맞벌이 가정의 보편화에 직면하여 가정의 공동화 현상, 돌봄기능의 취약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며(송혜림, 2012), 가정 내 역할변화에 따른 시간배분의 차원에서 시간부족,시간갈등, 일-가족의 양립, 일-생활의 균형 등의 문제도 야기시키고 있고, 이는 개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부부간의 균형의 문제도 부각시키고있다. 즉, 맞벌이 가정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공적인 영역에서 노동력을 소비하는 일시간과 사적인 영역에서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가사노동시간이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다중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사용의 요구로 또 다른 노동력 재생산시간인 여가시간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학중.유계숙(2005). 맞벌이 부부의 가사 및 자녀양육 분담에 관한 연구 : 억제 및 촉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지, 17(3), 187-219. 

  2. 김미경(2008). 경쟁적 노동사회의 소비적 여가의 인간화. 한.독 사회과학논총, 18(1), 137-157. 

  3. 김수정.김은지(2007).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 한국사회학, 41(2), 147-174. 

  4. 김진욱(2005).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3), 51-72. 

  5. 김진욱(2008). 일하는 어머니들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복지정책, 35, 197-220. 

  6. 김효정(2001). 기혼여성 재택근무자와 직장근무자의 가사노동 시간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83-95. 

  7. 박민자(1992). 부부관계의 평등성, 여성한국사회연구회편.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사회문화연구소. 

  8. 서종수(2010). 일-생활균형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구지역 비영리기관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9. 성균관대학교(2005).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결과. 

  10. 성지미(2006). 맞벌이 여성의 시간 배분 결정 요인. 노동정책연구, 6(4), 1-29. 

  11. 손문금(2003). 맞벌이 주부의 이중부담과 여가의 성격. 통계연구, 8(2), 23-58. 

  12. 손문금(2005a). 맞벌이 부부 여성의 이중부담과 시간의 특성 :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손문금(2005b).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5, 239-287. 

  14. 손문금(2010). 저출산 시대의 도시양육지원정책. 도시문제, 45. 대한지방행정공제회. 

  15. 송혜림(1988). 남편의 가사노동협력에 대한 주부의 기대와 남편의 협력실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송혜림(2000). 맞벌이 가정에서 남편의 가사노동참여실태.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논문집, 2(1), 103-115. 

  17. 송혜림(2012). 일과 생활의 조화 : 정책에서 생활로. 대한가정학회 춘계학술대회. 

  18. 유계숙(2010).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이 부인의 일-가족 전이와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여성연구, 49(1), 41-69. 

  19. 유성용(2008). 측정방법에 따른 노동시간의 차이 : 자기기입식 질문법과 시간일지법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1(1), 99-125. 

  20. 유소이.최윤지(2002). 성인남녀의 생활시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유급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육아시간 및 여가시간. 한국지역사회 생활과학회지, 13(3) 

  21. 은기수(2009).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 32(3), 145-171. 

  22. 이기영.김외숙(2002).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3. 이기영.조영희.송혜림.이승미(1998). 생활설계론. 교문사. 

  24. 이기영.이승미(1994).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도시근로자 부부의 생활시간구조. 대한가정학회지, 31(3), 11-26. 

  25. 이명신(2001). 전문직 맞벌이 부부의 권력구조와 가사분담. 사회과학연구, 19(1), 43-78 

  26. 이승미(1996). 맞벌이 부부의 여가시간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 63-75. 

  27. 이연숙.이기영.김외숙.조희금.주인숙. 이선형.Zick, Cathleen, D..Lee Yoon G.(2002).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28. 이종희.이연숙(2002). 주휴무제에 따른 기혼남녀의 주말 생활시간구조와 여가시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165-177. 

  29. 이현아.이승미(2011).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9(5), 81-96. 

  30. 장영철.이명신.김은정(2009). 일과 삶의 균형 : 유한킴벌리 사례. 창조와 혁신, 2(2), 217-254. 

  31. 장혜경.김영란(1998). 취업주부의 역할 분담과 갈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32. 조성은.문숙재(1998). 기혼 남성들의 가사노동 참여 유형에 관한 사례 연구 -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지, 36(10), 35-48. 

  33. 조혜정(1998).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한국의 여성과 남성2. 또 하나의 문화. 

  34. 조희금(1993). 생산직 기혼 여성의 시간사용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1(3), 101-112. 

  35. 조희금(1999). 취업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과 직업 및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7(2), 143-156. 

  36. 조희금.이기영.이연숙.김외숙(2000). 한일양국 전일제 맞벌이 부부의 수입노동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46, 1-14. 

  37. 채로.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 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38. 크리시스(2007). 노동을 거부하라. 이후. 

  39. 통계청(2014). 2013년 맞벌이 가구 현황. 

  40. 한경미(1991). 취업주부의 시간사용과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171-190. 

  41. 한경미(1995). 기혼취업여성의 가정, 직업, 여가생활 만족과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3), 47-57. 

  42. 한국노동연구원(2009). OECD 회원국의 여가시간과 삶의 질. 월간노동리뷰. 8월호, 69-71 

  43. 한영선.윤소영(2009). 미취학자녀를 둔 도시 맞벌이 부부의 여가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2), 81-95. 

  44. 한지수(2003). 부부의 시간사용유형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허경옥(1997). 부인과 남편의 시간배분구조 분석 : 가정생산모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5(1), 319-337. 

  46. 허수연(2008). 맞벌이 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4(3), 177-210. 

  47. Becker, G.(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Economic Journal 75, 493-517. 

  48. Bittman M, England P, Folbre N, Sayer L, Matheson G.(2003). When does gender trump money? Bargaining and time in household work.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9, 186-14. 

  49. Craig and Sawrikar(2009). Work and Family : how dose the (gender) balance change as children grow? Gender, Work and Organization 16(6), 684-709. 

  50. Drago, Robert(2009). The parenting of infants : A Time-Use Study. Monthly Labor Review October, 33-43. 

  51. Elias, N.(1992). Time: An Essay. Oxford: Blackwell. 

  52. OECD(2012). OECD Data-Employment-Hours worked. www.oecd.org. 

  53. Gershuny, Jonathan(2000). Changing Times. Work and Leisure in Postindustria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54. Greenstein, T. N.(1996). Husbands participation domestic labor : Interactive effects of wives and husbands gender ideolog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 585-595. 

  55. Voydanoff(1988). Work role characteristics, family strycture demands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0(3), 749-76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