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는 수계기금의 환경기초시설 운영비 지원이 지방자치단체의 하수도요금 현실화를 억제하여 수질개선에 역행하는 부작용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9~12년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하수도요금 및 수계기금 지원금 간의 관계를 2단계 최소자승법(Two-Stage Least Square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계기금의 환경기초시설 설치 및 운영비용 지원이 하수도요금 현실화를 억제하는 역(逆)인센티브 효과가 있는지 점검하였다. 연구 결과 수계기금 지원금이 하수도요금 현실화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 효과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모형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그 값이 크지 않아 수계기금의 환경기초시설 설치 운영비 지원이 하수도요금 현실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tested if the sewage subsidy from Korean Water Management Fund discourage sewage fee increase by Korean local governments, and consequently hinder water quality improvement. To examine this counter-incentive effect of Water manage Fund sewage subsidy, we estimated the effect of sewage subsidy on the ratio of sewage fee revenue to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operation cost of local governments in 2009-12, using two-stage least square estimation. We found that the sewage subsidy has negative effect on the sewage fee revenue to sewage operation cost ratio. B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is effect was sensitive to model specification. And the size was too small to conclude that the counter-incentive effect was economically significant.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오염원인자부담원칙 및 수혜자부담원칙 | 오염원인자부담원칙 및 수혜자부담원칙이란? |
환경오염의 외부효과(externalities)에 상응하는 가격을 원인자 혹은 수혜자가 부담하게 하는 원칙으로, 외부효과를 내부화하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자, 환경정책을 설계하는 가장 핵심적인 원칙
오염원인자부담원칙 및 수혜자부담원칙은 환경오염의 외부효과(externalities)에 상응하는 가격을 원인자 혹은 수혜자가 부담하게 하는 원칙으로, 외부효과를 내부화하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자, 환경정책을 설계하는 가장 핵심적인 원칙이다. 구체적으로 오염원인자부담원칙(Polluter Pays Principle: PPP)은, 부정적 외부효과(negative externalities)의 비용을 이를 발생시킨 기업이나 소비자 스스로가 부담해야 한다는 원칙1)이다. |
오염원인자부담원칙과 수혜자부담원칙 | 오염원인자부담원칙과 수혜자부담원칙의 차이점은? |
오염원인자부담원칙(Polluter Pays Principle: PPP)은, 부정적 외부효과(negative externalities)의 비용을 이를 발생시킨 기업이나 소비자 스스로가 부담해야 한다는 원칙1)이다. 반면 수혜자부담원칙(Beneficiary Pays Principle: BPP)은 이러한 외부효과를 억제한 환경재를 사용한 수혜자가 외부효과 억제의 기회비용을 부담한다는 원칙으로, 사용자 부담원칙(User Pays Principle: UPP)과 혼용된다
오염원인자부담원칙 및 수혜자부담원칙은 환경오염의 외부효과(externalities)에 상응하는 가격을 원인자 혹은 수혜자가 부담하게 하는 원칙으로, 외부효과를 내부화하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자, 환경정책을 설계하는 가장 핵심적인 원칙이다. 구체적으로 오염원인자부담원칙(Polluter Pays Principle: PPP)은, 부정적 외부효과(negative externalities)의 비용을 이를 발생시킨 기업이나 소비자 스스로가 부담해야 한다는 원칙1)이다. 반면 수혜자부담원칙(Beneficiary Pays Principle: BPP)은 이러한 외부효과를 억제한 환경재를 사용한 수혜자가 외부효과 억제의 기회비용을 부담한다는 원칙으로, 사용자 부담원칙(User Pays Principle: UPP)과 혼용된다.2) |
오염원인자부담원칙 | 오염원인자부담원칙은 어떠한 효과가 있나? |
피해를 유발한 사람에게 이를 개선하는 비용을 부담시켜서 오염행위 유인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오염원인자부담원칙은 피해를 유발한 사람에게 이를 개선하는 비용을 부담시켜서 오염행위 유인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원인자들 중 다수가 소득기반이 취약한 저소득층인 경우,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고려 때문에 오염원인자부담원칙만을 적용하기는 어렵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