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핀을 적용한 고출력 반도체 광원의 열특성 분석
Heat Conduc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a High-Power Optical Semiconductor Source Using Graphene Layers 원문보기

한국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v.26 no.3, 2015년, pp.168 - 171  

지병관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고성능 LED 조명모듈 핵심기술 연구센터) ,  오범환 (인하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고성능 LED 조명모듈 핵심기술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출력 반도체 광원의 열유동 특성을 분석하고, 열전달 병목지점을 파악하여 열저항을 개선하는 방안을 도출하고, 전산모사를 통하여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띠구조 활성층을 가진 LD 광원의 경우에 발열부의 부피가 작을 뿐 아니라 발열면적이 좁아서 발열부 근처의 열전달 유효단면적이 매우 좁을 수 밖에 없는데, 이 부근의 경계면에 그래핀층을 추가적으로 적용하면 전체 열저항이 확연히 개선되는 것이 전산모사 되었다. 이는 열전달 경로상의 유효단면적이 넓어지는 효과를 가져와 전체 열저항이 확연히 개선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eat flow characteristics of a high-power optical semiconductor source have been analyzed using a 3D CFD commercial tool, and the thermal resistance values for each of the layers revealed the places for thermal bottlenecks to be improved. As the heat source of a LD (Laser Diode) has a small vo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상용 CFD 전산모사를 이용해 고출력 반도체 광원의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고 기능 저하의 주요원인을 파악해 주어진 소자에서 효율적인 방열 대책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2. Simulated temperature distribution on a cutting plane for a LD of (a) Basic LD (b) LD graphened.
  • 각 층별 유효열저항의 단순근사식 수치와 전산모사 도출 수치는 Table 2의 두 행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단순근사식 결과는 Fig. 1에 나온 LD의 열전달 경로를 단순화하여 각 층의 전체 면적을 열전달 경로로 가정하였다. 단순한 열저항 산출에 주로 사용되는 소자의 단면적은 실제 열전달 면적과 많이 다를 수 있으며 활성층 면적이 좁거나, 각 열전달 경로상의 면적차이가 클수록 차이를 크게 보인다.
  • 1과 같고, 이에 대하여 열흐름을 전산모사하여 방열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산모사에 사용된 각 부분의 열전도도와 길이는 Table 1과 같으며, LD 활성층의 발열량은 통상 ~10W급의 고출력 LD를 가정하여 7W, 주변부의 온도는 20℃로 두었다.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sys ICEPAK 이용, 정상 상태 자연대류 조건, 정사각 해석영역 5,000×5,000 um2, 총 격자수 약 7만개)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광원과 달리 고출력 반도체 광원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특히, 고출력 광원인 백열등, 할로겐 램프, 방전 램프 등을 대체하면서 반도체 광원에서도 높은 광출력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광원과 달리 고출력 반도체 광원은 작은 부피의 활성영역에서 열이 발생하고, 좁은 열단면적을 갖는 발열부 근처에서는 단순 방열기대치보다는 방열이 원할하지 않아 국부적 온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이는 광효율 감소, 패키지 소재의 열화 및 수명 감소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고출력 반도체 광원에서 방열 특성은 수명과 신뢰성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므로, 방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고출력 반도체 광원인 LD의 전산모사 결과, 발열부 근처일수록 열저항의 단순 근사 예상치가 전산모사 결과치와 큰 차이를 보인 이유는 무엇인가? 고출력 반도체 광원인 LD를 대상으로 열전달 특성을 고찰하고, 전산모사 결과를 바탕으로 단순 열저항 모델과 비교하여 병목현상이 심한 부분을 파악하여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발열부 근처일수록 열저항의 단순근사 예상치가 전산모사 결과치와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열전달 경로 상의 유효한 열단면적이 기대치보다 작아지게 되기 때문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그래핀을 각 층의 접합부에 적용하여 열전달 유효단면적을 개선하는 효과를 전산모사적으로 분석하였다.
고출력 반도체 광원의 방열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고출력 반도체 광원의 방열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전도성 기판 위에 소자를 수직구조로 설계하는 방법 [4] 과, 각 층의 열저항을 최소화하는 구조의 패키지 설계 방법 [5] 이 복합적으로 사용 되고 있다. 수직구조로 설계된 광소자의 발열부에서는 주로 전도효과가 방열 성능을 가늠하므로 소재의 열전도도와 경계면적이 클수록 방열 특성이 좋아지겠지만, 활성층 면적이 좁고 고출력인 경우에 열흐름은 구조 전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므로 단순 예상치보다 열저항이 높고 국부 온도가 높아져서 성능 저하가 심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R.-H. Horng, K.-C. Shen, Y.-W. Kuo, and D.-S. Wuu, "GaN light emitting diodes with wing-type imbedded contacts," Opt. Express 21, A1-A6 (2013). 

  2. C. Tsou and Y.-S. Huang, "Silicon-based packaging platform for light-emitting diode," IEEE Transactions on Advanced Packaging 29, 607-614 (2006). 

  3. L. Yin, L. Yang, W. Yang, Y. Guo, K. Mac, S. Li, and J. Zhang, "Thermal design and analysis of multi-chip LED module with ceramic substrate," Solid-State Electronics 54, 1520-1524 (2010). 

  4. C. Weng, "Advanced thermal enhancement and management of LED packages,"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in Heat and Mass Transfer 36, 245-248 (2009). 

  5. M. arik, C. Becker, S. Wever, and J. Petroski, "Thermal management of LEDs: package to system," Proc. SPIE 5187, 64-75 (2004). 

  6. E. Pop, V. Varshney, and A. K. Roy, "Thermal properties of graphene: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MRS BULLETIN 37, 1273-1281 (2012). 

  7. D. D. L. Chung, "Materials for thermal conduction," Applied Thermal Engineering 21, 1593-1605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