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SCF 모델을 활용한 부산지역 PM10의 발생원 추정
Estimation of PM10 source locations in Busan using PSCF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4 no.6, 2015년, pp.793 - 806  

도우곤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정우식 (인제대학교 대기환경정보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ir flow patterns affecting the PM10 concentration in Busan and the potential sources within each trajectory pattern. The synoptic air flow trajectories a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by HYSPLIT model and the potential sources of PM10 are estimated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PM10 농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학적 종관장 패턴을 분류하고 각 패턴별로 영향 배출원의 위치를 추정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2008~2012)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HYSPLIT 모델을 이용하여 부산지역의 종관패턴을 분류하고 각 종관패턴별로 부산지역 PM10 농도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의 PM10 농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종관장패턴을 분류하고 패턴별로 영향 배출원의 위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2008~ 2012)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HYSPLIT 모델을 이용하여 부산지역의 종관패턴을 분류하고 PSCF 모델을 적용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각 종관 패턴별로 추정된 영향배출원의 위치와 동아시아 지역의 PM10 배출원 자료를 비교하여 부산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배출원을 파악하고 장거리 수송의 빈도를 계산하였다. 이를 통하여 부산지역 PM10의 발생원인을 규명하고 저감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Lagrangian 모델은 대기의 이류와 확산을 독립적으로 계산하고 유체의 이동을 농도와 위치 변화의 관계로 파악하는 모델이다. 대기의 이동경로인 trajectory의 이동식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아주 작은 공기 덩어리가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의 이동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미국의 NOAA/ARL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Air research lab.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M10의 대기환경기준은 얼마인가? 더욱이 인근에 대규모 공단이 위치하고 있는 울산지역과 인접해 있고 해양과 도심 내륙의 지형적 조건이 복잡하여 대기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국지순환계 또한 형태 다양한 규모와 형태로 나타난다. PM10의 대기환경기준은 연간 평균이 50 μg/m3 이하, 24시간 평균이 100 μg/m3 이하이며 부산지역 PM10 연평균 농도는 전반적으로 감소(2001년 60 μg/m3 , 2012년 43 μg/m3)하고 있으며 환경기준 또한 만족하고 있다. 그러나 24시간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빈도를 보면 2001년에 60회가 나타났지만 2007년 397회, 2011년 221회, 2012년 104회로 과거 2001년에 비해 상당히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부산지역의 지역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부산지역은 공단과 도심지의 분포가 넓고 다양하여 배출원의 분포도 그러하다. 더욱이 인근에 대규모 공단이 위치하고 있는 울산지역과 인접해 있고 해양과 도심 내륙의 지형적 조건이 복잡하여 대기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국지순환계 또한 형태 다양한 규모와 형태로 나타난다. PM10의 대기환경기준은 연간 평균이 50 μg/m3 이하, 24시간 평균이 100 μg/m3 이하이며 부산지역 PM10 연평균 농도는 전반적으로 감소(2001년 60 μg/m3 , 2012년 43 μg/m3)하고 있으며 환경기준 또한 만족하고 있다.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 2010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PM10 배출량은 2010년 얼마인가?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013). 또한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 2010’를 보면 우리나라 전체 PM10 배출량은 2010년 116,808 톤으로 2006년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부산에서의 배출량은 2010년 3,092 톤으로 전국대비 약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ir Resources Laboratory HYSPLIT Home Page, 2013, http://www.arl.noaa.gov/HYSPLIT_info. php. 

  2. Ashbaugh, L. L., Malm, W. C., Sadeh, W. D. A., 1985, Residence time probability analysis of Sulfur concentrationsat Grand Canyon national park, Atmospheric environment, 19, 1263-1270. 

  3.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013, http://ihe.busan.go.kr/00_main/. 

  4. Cheong, J. P., Lee, S. H., 2006, Development of PSCF model and determination of proper values of control parame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1), 135-143. 

  5. Heo, J., McGinnis, J. E., Foy, B., Schauer, J. J., 2013, Identification of potential source areas for elevated PM2.5, nitrate and sulfate concentrations, Atmospheric environment, 71, 187-197. 

  6. Hsu, Y., Holsen, T. M., Hopke, P. K., 2003, Comparison of hybrid receptor models to locate PCB sources in Chicago, Atmospheric environment, 37, 545-562. 

  7. Jeon, B. I., 2009, Characteristics of PM10 concentration at seashore and inland according to land-use in Busan,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1(2), 47-54. 

  8. Jeon, B. I., Hwang, Y. S., 2007,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PM10) concentration in Busan fo five year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6(6), 533-542. 

  9. Kang, B. W., Kang, C. M., Lee, H. S., Sunwoo, Y., 2008, Identification of Potential Source Locations of PM2.5 in Seoul using Hybrid-receptor Mode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4(6), 662-673. 

  10. Karaca, F., Anil, I., Alagha, O., 2009, Long- range potential source contributions of episodic aerosol events to PM10 profile of a megacity, Atmospheric environment, 43, 5713-5722. 

  11. Kim, J. A., Jin, H. A., Kim, C. H., 2007, Characteristics of time variations of PM10 concentrations in Busan and interting its generation mechanism using meteorological variable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6(10), 1157-1167. 

  12. Kacak, M., Theodosi, C., Zarmoas, P., Im, U., Bougiatioti, A., Yenigun, O., Mihalopoulos, N., Particulate matter (PM10) in Istanbul: Origin, source areas and potential impact on surrounding regions, Atmospheric environment, 45, 6891-6900. 

  13. Lee, Y. M., Yi, S. M., Heo, J. B., Hong, J. H., Lee, S. J., Yoo, C., 2010, Identifications of source locations for atmospheric total gaseous mercury using hybrid receptor model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8), 971-981. 

  14. Li, M., Huang, X., Zhu, L., Li, J., Song, Y., Cai, X., Xie, S., 2012, Analysis of the transport pathways and potential sources of PM10 in Shanghai based on three method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14, 525-534.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National air pollutants emission 2011. 

  16. Polissar, A. V., Hopke, P. K., Harris, J. M., 2001, Source regions for atmospheric aerosol measured at Barrow, Alaska, Environment science and technology, 4214-4226. 

  17. Yang, J. H., Kim, S. R., Jung, J. H., Han, Y. J., 2011, Long-term Trend of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les in Chuncheon, Korea, 27(5),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4(6), 662-673. 

  18. Zhang, Q., Streets, D. G., Carmichael, G. R., He, K. B., Huo, H., Kannari, A., 2009, Asian emissions in 2006 for the NASA INTEX-B mission, Atmos. Chem. Phys., 9, 5131-5153. 

  19. Zhu, L., Huang, X., Shi, H., Cai, X., Song, Y., 2011, Transport pathways and potential sources of PM10 in Beijing, Atmospheric environment, 45, 594-6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