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의 관속식물상
A florisitic study of Ulleungdo Island in Kore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5 no.2, 2015년, pp.192 - 212  

양선규 (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 연구단) ,  장현도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남보미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정규영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이로영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품종심사과) ,  이재현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종묘관리과) ,  오병운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릉도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을 위해 2007년부터 2011년에 걸쳐 총 55일간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 93과 313속 462종 6아종 52변종 4품종 등 총 49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IUCN 기준에 따른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멸종위기종(CR) 9분류군, 위기종(EN) 6분류군, 취약종(VU) 12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1급 1분류군, 2급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71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울릉도 특산식물은 33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귀화식물은 66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생태계교란종은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상추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of Ulleungdo Island. Fieldwork related to the study was carried out 55 times from 2007 to 2011.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lora of Ulleungdo Island consisted of a total of 494 taxa, with 93 families, 313 genera, 46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연구된 울릉도의 관속식물상을 재검토하는 한편, 증거표본을 근거로 한 울릉도의 정확한 관속식물상과 식물지리학적 분포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아울러 이 지역 산림유전자원의 건전한 활용 및 희귀식물의 보존대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약모밀, 닭의덩굴(Fallopia dumetorum (L.) Holub),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 등 16과 66분류군의 울릉도 귀화식물 분포를 확인하였다. 조사지역의 귀화율(Naturalized index: 출현 귀화식물 분류군수/출현 분류군수 × 100)은13.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연구된 울릉도의 관속식물상을 재검토하는 한편, 증거표본을 근거로 한 울릉도의 정확한 관속식물상과 식물지리학적 분포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아울러 이 지역 산림유전자원의 건전한 활용 및 희귀식물의 보존대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문헌목록에는 재배식물과 오동정된 분류군, 이명으로 처리되고 있는 분류군 및 제주도특산식물 또는 국내 미분포 분류군으로서 울릉도 분포가 불확신한 분류군 등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정확한 울릉도의 관속식물상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에 기록된 울릉도의 관속식물 목록을 검토하였고 기록된 식물의 진위 여부를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릉도의 지리적 위치는? 한반도의 동쪽에 위치한 울릉도는 지리적으로 북위37o27'−37o33', 동경 130o47'−130o54' 사이에 위치하며, 한반도와는 약 130 km 떨어져 있다. 칼데라 화구인 나리분지를 성인봉(983.
울릉도의 산림식생은 크게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울릉도의 산림식생은 크게 난온대성 상록활엽수림과냉온대성 낙엽활엽수림으로 구분된다(Kim, 2006). 난온대성 상록활엽수림은 후박나무-이대군락으로 대표되며 해발 500 m 미만 지역에 넓게 분포하였다.
울릉도의 기후는 어떠한가? 조사지역의 기후는 온난다습한 해양성기후로 같은 위도상의 내륙지역에 비하여 난대성식물이 많이 분포한다.연평균기온은 12.3oC로서 월 평균기온이 연중 0oC이하로떨어지지 않고 연강수량은 1,236.2 mm로 동계와 하계에 집중되는 특징을 보인다(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2011; Fig. 1). 섬이 지리적으로 동해의 난류와 한류의 접합대에 위치함으로서 상록활엽수림과 침엽수림, 낙엽활엽수림이 동시에 나타나는 독특한 식생구조를 보여주고 있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Chang, C. S., H. Kim and H. Y. Gil. 2012. A Field Guide to Korean Woody Plants. Designpost, Paju. (in Korean) 

  2. Choi, B. G. 2008. Vegetation of Ulleungdo, Korea. M. S. thesis, Keimyung University. (in Korean) 

  3. Choi, B. M. 1973. The aspect of animate things in Uleung Island. Chongju University of Education Press. 9: 319-336. (in Korean) 

  4. Chung, G. Y., G. H. Nam, M. S. Park and H. J. Jeong. 2006.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Parasenecio (Compositae) of Korea by the morphology and somatic chromosome numbers. Korean Jounal of Plant Resources 19: 323-330. (in Korean) 

  5. Chung, T. H. and W. C. Lee. 1965. A study of the Korean woody plant zone and favorable region for the growth and proper species. Journal of Sungkyunkwan University. (in Korean) 

  6. Chung, Y. H. and Y. D. Kim. 1988. Taxonomy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Chrysosplenium: Monographic study of the endemic Pl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6: 33-63. 

  7. Do, S. H. and S. H. Park. 1976. Research on the plant distributions in Na-Ree Dong in Dagelet Island and Baik-Rok Dam in Cheju Island.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in Korean) 

  8.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9. Hong, S. C., Y. W. Kim, J. H. Park, S. H. Oh, J. S. Kim and B. T. Jang. 2002. Wild plants of Ulleung Islands. Dongamunhwasa, Daegu. (in Korean) 

  10. Iwatsuki, K., D. E. Boufford and H. Ohba. 2001. Flora of Japan, Vol. IIb. Kodansha LTD., Tokyo. 

  11. Jang, H. D. 2012.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Scrophularia (Scrophulariaceae) in Korea. M. 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2. Jung, S. Y., S. H. Park, C. H. Nam, H. J. Lee, Y. M. Lee and K. S. Chang. 2013.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Ulleungdo and nearby island regions (Gwaneumdo, Jukdo),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6: 123-156. 

  13. Kim, H., H. S. Lee, S. Park and C. S. Chang. 2005. Invalid names published by T. B. Le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5: 211-226. (in Korean) 

  14. Kim, J. W. 2006. Vegetation Ecology. Worldscience, Seoul. (in Korean) 

  15. Kim, J. W., S. D. Song and S. J. Kim. 1996. A syntaxonom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Ulleungdo and Dokdo. Report on the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in Korea 10: 137-202. (in Korean) 

  16. Kim, Y. S., C. S. Chang, H. T. Shin, H. Kim and D. Y. Choi. 2002. Conservational status of Cotoneaster wilsonii on Island Ulleung-do.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2: 159-175. (in Korean) 

  17.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8. Lee, B. C.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Seoul. (in Korean) 

  19. Lee, D. B. and S. U. Joo. 1957. Reinvastigation of the flora of the Dagelet Island. Korea University Press. 3: 223-296. (in Korean) 

  20. Lee, J. H., B. C. Lee, H. J. Jo, S. W. Bae, C. I. Yoo, H. C. Park, J. H. Sim and S. H. Jeon. 1996. Biodiversity of forest ecosystem on Gyebangsan and Ulleungdo. 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31-105. (in Korean) 

  21. Lee, R. Y. 2012.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Hypericum (Guttiferae) in Korea. M. 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22.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in Korean) 

  23. Lee, W. C. and I. S. Yang. 1981. The flora of Ulreung Is. and Dogdo Island.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19: 61-95. (in Korean) 

  24. Lee, W. T. 1996a.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25. Lee, W. 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26. Lee, W. T. 2008. Home of Korean plants. Ilchokak. Seoul. 263 pp. (in Korean) 

  27. Lee, Y. M., S. H. Park, S. Y. Jung, S. H. Oh and J. 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 87-101. (in Korean) 

  28.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in Korean) 

  29. Lim, Y., J. O. Hyun and H. Shin. 2003. Aster pseudoglehni (Aster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The Journal of Japanese Botany 78: 203-207. 

  3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Forth Round of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al Research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Gwacheon & Incheon. (in Korean) 

  31. Nakai, T. 1919. Report on the vegetation of the Island Ooryongto or Dagelet Island, Corea. The Government of Chosen, Seoul. (in Japanese) 

  32. Oh, B. U. 1986. A taxonomic study of Korean Corydalis (Fumariaceae). Ph. D. thesis, Korea University. (in Korean) 

  33. Oh, B. U. 1999.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Corydalis (Fumari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9: 201-230. (in Korean) 

  34. Oh, B. U., D. G. Jo, K. S. Kim and C. 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1st step resul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35. Oh, S. Y. 1971. Studies on the Pteridophyta of Dagelet Island - An invastigation of Kyeong-buk flora (No. 2).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 33-41. (in Korean) 

  36. Oh, S. Y. 1978. A floristic study of vascular plant on Ulleungdo. Journal of Kyeongbuk national university 25: 131-201. (in Korean) 

  37. Park, M. S. 2012. A systematics study of the genus Artemisia (Asteraceae) in Korea. Ph. D. thesis, Ando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38.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39. Park, S. H., Y. M. Lee, J. C. Yang, D. G. Jo, G. H. Lee, C. S. Jang, H. J. Lee, H. J. Choi, S. S. Jung and J. H. Lee. 2008. Illustrated Pteridophyta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40. Park, S. J. G. J. Hwang, S. J. Park and S. W. Son. 2007. The study of naturalized plants in Ulleng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 1-12. (in Korean) 

  41. Shin, H. T. and Y. S. Kim. 2002.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and conservation strategy in Ulleung Island, (I) Flor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6: 195-216. (in Korean) 

  42. Xinqi, C., L. Songyun, X. Jiemei and M. N. Tamura. 2000. Liliaceae. In Flora of China, Vol. 24. Wu, Z. Y. and P. H. Ravan (eds.), Science Press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and St. Louis. Pp. 65-66. 

  43. Yang, I. S. 1956. The flora of the Ulrungto Island (or Dagelet Island). Journa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 245-275. 

  44. Yang, K. C., M. S. Song and U. S. Jeon. 2001. Flora of Ulleungdo and Dokdo. Report on the natural environment in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