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자료보존의 현황과 과제
The Status Quo and Tasks of the Collection Preservation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2, 2015년, pp.111 - 134  

서혜란 (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선애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강은영 (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은 사회에서 생산되는 자료를 수집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은 개별도서관의 자료보존을 지원하는 주된 책임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논리에서 출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의 자료보존현황을 파악하여 도서관자료의 공동보존을 위한 도서관간 협력방안과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보존현황에 관한 기초 데이터 수집을 위해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663개 공공도서관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208개관이 응답한 설문지를 회수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조사의 내용은 자료보존 복원을 위한 조직과 인력, 자료보존 복원을 위한 시설과 환경,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자료보존 복원센터의 건립에 대한 의견 등이 포함되었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자료보존을 위한 과제로 첫째, 개별도서관 차원의 지식정보자원의 보존성 및 이용성 향상을 위한 자료보존 복원을 위한 자료관리정책의 구비 둘째, 공공도서관, 지역대표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과의 협력을 통한 종합적, 효율적 자료보존 복원 체계 구축 등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initiated on the basis that public libraries should serve its role as a supplier of intellectual informations to all user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hould play a role as chief supporter of collection preservation in individual libraries. Situated in such context, this stu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장서의 역할은? 이에 도서관은 그 사회에서 생산되고 유통되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구축해야 하며, 동시에 후세대 이용자들을 위해 가치있는 자료를 선별하여 보존해야 하는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이를 통해 도서관장서는 인류의 문화가 응축된 하나의 집합체가 될 수 있으며, 세대와 세대를 이어주는 연결고리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자료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수립이 요구되는 이유는?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지식정보자원의 보존성 및 이용성 향상을 위해 공공도서관이 자료보존․복원 업무 중 가장 시급하게 진행해야 할 과제는 자료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수립이다. 자료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규정, 지침 혹은 매뉴얼이 없는 상황에서 자료보존․복원을 위한 예산, 인력, 조직을 논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따라서 개별도서관은 자료관리를 위한 기본 지침을 수립해야 한다. 모든 도서관이 수집한 자료를 모두 보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또한 가능하지도 않다는 점을 인식하고, 자료의 보존․복원에 대한 책임과 합의가 필요하다.
공공도서관 자료보존․복원의 최종 목적은? 공공도서관 자료보존․복원의 최종 목적은 미래세대와의 소통을 위한 국가지식정보자원의 안전한 보존과 전승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은 1) 개별도서관 차원의 지식정보자원의 보존성 및 이용성 향상을 위한 자료보존․복원을 위한 자료관리정책에 관한 지침마련, 2) 공공도서관, 지역대표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과의 협력을 통한 종합적, 효율적 자료보존․복원 체계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고려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미희. 2003. 국내도서관의 자료보존 및 폐기실태와 공동보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ang, Mi hee. 2003. A Study on the Environment of Library Materials Preservation, Weeding Practices, and the Demands of Cooperative Storage in the Korean Library. M.A.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tity, Korea.) 

  2. 강현민. 2006. 공공도서관협력망을 이용한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29-53.(Kang, Hyen-Min. 2006.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Repository Library and Repository Library by Using of Public Library Cooperative Network."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1): 29-53.) 

  3. 국가기록원. 2011. 기록관리기관표준: 기록관 및 특수기록관의 시설.환경 표준. 대전: 국가기록원.(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1. National Archives Standard: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Standard for Records Center and Special Records Center.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4. 국가법령정보센터.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online] [cited 2015. 5. 9.]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Public Records Management. [online] [cited 2015. 5. 9.] ) 

  5. 국립중앙도서관. 2006. 국내도서관 자료보존현황 및 공동보존 구축방안: 2006 국립중앙도서관 열린정책세미나 자료집.(Korean National Library. 2006. The Present State of Collection Preservation of Korean Libraries and Strategies for their Cooperative Preservation: a Booklet of 2006 Korean National Library Open Strategy Seminar.) 

  6. 김세훈, 심효정. 2008. 지역대표도서관 설립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319-337.(Kim, Se-Hun and Sim, Hyo-Jung. 2008.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319-337.) 

  7. 김포옥. 2006. 한국 공공도서관의 재난대비 실태와 대응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85-110.(Kim, Po-Ok. 2006.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Countermeasure Plan for the Disaster Protection in Public Library of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4): 85-110.) 

  8. 노지현, 조용완, 이제환. 2013.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방안: 부산시를 사례로하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167-195.(Rho, Jee-Hyun, Cho, Yong-Wan and Lee, Jae-Whoan. 2013. "Developing Strategies for a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y at a Regional Level: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167-195.) 

  9.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 2014-2018.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4. The Second Library Master Plan: 2014-2018. Seou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10.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online] [cited 2014. 8. 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online] [cited 2014. 8. 1.] ) 

  11. 문화체육관광부. 2012.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 건립타당성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Constructing the Regional Collaborative Repositories.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2. 배순자. 2008. 지역대표도서관의 기능과 지역공공도서관과의 협력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45-59.(Bae, Soon-Ja. 2008. "A Study on the Function of Regional Central Library and Collaborative Role for Community Public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45-59.) 

  13. 손혜경. 2000. 종이기록물 보존환경의 현단계와 개선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3): 213-241.(Shon, Hae-Kyung. 2000.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of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for Papper Record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1(3): 213-241.) 

  14. 신지연, 김유승. 2011.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도서관 설립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129-150.(Shin, Ji-Yeon and Kim, You-Seung. 2011.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lan for the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Based on Regional Centra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129-150.) 

  15. 조옥수. 2003. 공동보존도서관 설립 참조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대구 경북지역 국립대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Cho, Ok Soo. 2003. Researches on establishing a Reference Model for a Cooperative Regional Library Depositiry: based on the National Universities located in the Daegu and Kyungbuk areas. M.A. thesis, Keimyung University, Korea.) 

  16. 조용완. 2003. 보존도서관 공동설립을 위한 연구. 국립대학도서관보, 21: 130-145.(Cho, Yong-Wan. 2003. "Establishment of the Cooperative Library Facilities in Kores." Bulletin of National College & University Libraries, 21: 130-145.) 

  17. 조용완, 노지현. 2013. 공동보존서고의 보존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4): 367-397.(Cho, Yong-Wan and Rho, Jee-Hyun. 2013. "Preservation Environments of Cooperative Library Storag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4): 367-397.) 

  18. 홍현진 등. 2003. 국가과학기술문헌센터 건립 최적화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2): 285-318.(Hong, Hyun-Jin et al. 2003. "A Study on the Optimal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0(2): 285-318.) 

  19. 한상완 등. 2002. 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 환경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1): 67-95.(Han, Sang-Wan et al. 2002. "A Research on the Environment Analysis for the Preserv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Colle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2(1): 67-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