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금속활자본 불교서적의 서지적 연구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Metal Type Buddhist Book Edi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1, 2015년, pp.223 - 246  

송일기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정왕근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조선시대 금속활자로 간인한 불교서적에 대해서 서지학적 측면에서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시대 금속활자로 간행한 불교서적은 모두 36종이 현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간행에 사용한 활자별로 분석해 보면, 갑인자본이 9종, 을해자본이 13종, 정축자본이 2종, 을유자본이 3종, 그리고 전사자본이 9종으로 밝혀졌다. 그 가운데 을해자로 간인된 불서가 13종으로 가장 많은 수량을 보이고 있어 전체 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를 간행시기로 분석한 결과, 조선전기에는 모두 27종이, 조선후기에는 모두 9종의 불교서적이 간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중 세조대에 간행된 금속활자본은 19종으로 조사되어 전체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세조의 비정상적 즉위와 더불어 호불적 성향과 깊은 영향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books printed using metal typ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from a bibliographical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36 kinds of Buddhist books published using metal typ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at currently exist. In terms o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시대 서적 간행 수단은 무엇이 있는가? 전통시대 서적을 간행하는 수단은 목판과 활자로 인쇄하는 두 가지 방법 뿐 이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현존 세계 최고의 목판본과 금속활자본을 만든 나라로 잘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금속활자는 언제 기술적으로 완성되었는가? 조선시대 금속활자는 건국 초기에는 고려의 인쇄방식을 사용해 오다 태종 때 鑄字所를 설치하고 癸未字를 주조하면서부터 크게 개선되기 시작하였으며, 세종 때 초주갑인자에 이르러 주조와 조판 과정 등 여러 분야가 혁신되어 기술적으로 완성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이처럼 고도로 발전된 금속활자는 세종 말년까지는 국정 운용에 필요한 유가 및 제도에 관련된 서적만을 刊印하였으나, 세종이 말년에 한글을 창 제하고 정비인 소헌왕후가 죽자 심경에 호불적 변화를 가져와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등 불교문헌을 한글 활자와 갑인자로 간행하기 시작하였다.
조선 시대에 전문 기관을 두어 금속활자 인쇄를 발전시킨 것은 누구의 발상이었는가? 조선시대에 들어 와서 금속활자를 사용해서 서적을 인쇄하는 방법은 초기부터 전문기관을 설치하여 획기적으로 개량 발전시켰다. 이는 당시 성리학을 국가 운영의 근본이념으로 삼아 이상적인 유교 사회를 만들고자 하였던 사대부들의 의도적 발상이었다. 그리하여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간행하는 서적은 우선적으로 금속활자로 인쇄하여 중앙과 지방으로 배포하였으며, 지방에서는 다시 이 활자본을 목판에 복각 또는 번각하여 수요에 충당하는 서적보급 정책을 견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朝鮮王朝實錄.(ChoSeonwangjosilrok.) 

  2. 국립중앙박물관. 2006. 한글금속활자. 서울: 국립중앙박물관.(National Museum of Korea. 2006. Hangeul Metal Printing Types. Seoul: National Museum of Korea.) 

  3. 金斗種. 1980. 韓國古印刷技術史. 서울: 探求堂.(Kim, Dujong. 1980. The history of Korean old printing technology. Seoul: Tamgudang.) 

  4. 천혜봉. 2012. 한국금속활자인쇄사. 서울: 범우사.(Cheon, Hyebong. 2012. The history of metal types printing in Korea. Seoul: Bumwusa.) 

  5. 안승준. 2014. 월인천강지곡의 부안 실상사 소장 경위와 그 전래 과정. 藏書閣, 32: 48-74.(Ahn, Seung-jun. 2014. "The Sequence of Possession of Weolincheongangjigok of Silsangsa Temple in Buan." Jangseogak, 32: 48-74.) 

  6. 송일기. 2012. 寶成禪院 三尊佛의 腹藏典籍 硏究.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271-295.(Song, Il-gie. 2012. "A Study on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relics inside of Buddhist triad Samantabhadra in the Boseong Templ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4): 271-295.) 

  7. 송일기. 2014. 守國寺 木造阿彌陀佛坐像의 腹藏典籍 硏究. 書誌學硏究, 58: 119-146.(Song, Il-gie. 2014. "A Study on the Votive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Stored in the Wooden Seated Statue of Amitabha at Suguksa Temple." Seojihak Yeongu, 58: 119-146.) 

  8. 옥영정. 2011.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홍두선 기증 古書의 현황과 그 가치. 書誌學報, 38: 157-186.(Ok, Yeongjeong. 2011. "The Present Situation and Values of Hong, Doo Seon's Donation Old Books Kept in Seoul Museum of History." Seojihakbo, 38: 157-186.) 

  9. 옥영정. 2008. 장서각 소장 보물 능엄경과 원각경의 인쇄문화적 가치. 藏書閣, 20: 5-31.(Ok, Yeongjeong. 2008. "Printing-cultural Values of Surangama-sutra and Sutra of Perfect Enlishtenment, Treasures Owned by Changseo-gak." Jangseogak, 20: 5-31.) 

  10. 鄭王根. 2012. 朝鮮時代 의 板本 硏究.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Jeong, Wanggeun. 2012. A bibliographical study on lotus sutra published in Cho-sun Dynasty. Ph.D. dis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