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더듬에서 언제 보툴리늄독소주입술이 효과적인가에 관한 연구
When the Botulinium Toxin Injection Is Effective in Stutters 원문보기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v.26 no.1, 2015년, pp.46 - 50  

안철민 (프라나이비인후과 음성언어센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nd Objectives:Laryngeal hyperkinetic movements of stuttering patients is similar to that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There has been studies on implementing botulinium toxin injections to treat stuttering. However, the opinions on the bouolinium toxin injection's effects on stutte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지만 불완전한 치료법 들 중에서 비교적 빠른 효과를 보일 수 있고 가능성이 있는 치료법으로 생각되는 보툴리늄독소주입술을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조건을 찾아보기 위한 연구에서 평균호기류율이 저하된 상태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그러나 그 후 말더듬에서 보툴리늄독소를 이용한 치료의 유용성 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많지 않았고, 실제로 보툴리늄독소주입술을 시행하였을 때 증상 개선 정도나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효과에 대한 정확한 결과나 조건 등을 알 수 없어서 아직도 말더듬의 대부분은 고식적인 언어치료나 심리치료에 의존하거나 환자 스스로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정도의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보툴리늄독소주입술을 말더듬질환에서 시행하였을 때 어떤 경우에 효과 있는지를 확인하여서 보툴리늄독소소주입술이 말더듬에서 일관적인 치료법의 하나로 사용될 수 있는 기준을 찾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더듬이란 무엇인가? 의사 소통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말에서 음성과 공명, 발음, 말의 흐름 등은 말소리를 전달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된다. 이런 말소리의 문제를 나타내는 질환 중 하나인 말더듬은 말의 흐름이 자연스럽지 않은 언어 장애를 뜻한다. 흔히 유창성질환이라고 부르는 것 중 한 가지로써 Van Riper1)는 말의 흐름이 근육운동의 붕괴로 인해서 말소리, 음절 또는 낱말에서 방해를 받거나, 이러한 방해작용에 대하여 사람이 부정적으로 반응할 때 생기는 질환이라고 정의하였다.
말더듬의 주 증상은 어떤 것이 있는가? 흔히 유창성질환이라고 부르는 것 중 한 가지로써 Van Riper1)는 말의 흐름이 근육운동의 붕괴로 인해서 말소리, 음절 또는 낱말에서 방해를 받거나, 이러한 방해작용에 대하여 사람이 부정적으로 반응할 때 생기는 질환이라고 정의하였다. 주 증상으로는 말소리의 반복, 연장, 막힘, 목조임이 있다. 이런 말더듬에 대한 치료로는 행동치료, 정신과적인 치료 등이 있으며, 이런 방법들은 치료 초기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나 지속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경우가 많았다.
말더듬에 대한 치료로는 행동치료, 정신과적인 치료 등이 있는데, 이 치료들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가? 주 증상으로는 말소리의 반복, 연장, 막힘, 목조임이 있다. 이런 말더듬에 대한 치료로는 행동치료, 정신과적인 치료 등이 있으며, 이런 방법들은 치료 초기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나 지속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경우가 많았다.2) 그리고 여러 가지 약물 치료도 시도되고 있지만 효과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Van Riper C. The nature of stuttering. 2nd ed. NJ: Prentice Hall; 1982. p.88-110. 

  2. Choi HS, Kim YH, Pyo HY, Hong WP. Effect of botulinum toxin injection on the stuttering patients.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1997;8(2):193-8. 

  3. Harvey JE, Culatta R, Halikas JA, Sorenson J, Luxenberg M, Pearson V, et al. The effects of carbamazepine of stuttering. J Nerv Ment Dis 1992;180:451-7. 

  4. Burris JF, Riggs MC, Brinkley RR. Betaxolol and stuttering. Lancet 1990;335:233. 

  5. Brady JP, McAllister TW, Price TR. Verapamil in stuttering. Biol Psychiatry 1990;27:680-1. 

  6. Jung H, Ahn JB, Choi BH, Kwon DH. A study on laryngeal behavior of persons who stutter with fiber-optic nasolaryngoscope. Speech Sciences 2008;15(3):159-73. 

  7. Max L, Gracco V. Coordination of oral and laryngeal movements in the perceptually fluent speech of adults who stutter.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005;48(3):524-42. 

  8. Smith A, Denny M, Shaffer LA, Klly EM, Hirano M. Activity of intrinsic laryngeal muscles in fluent and disfluent speech.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996;39:329-48. 

  9. Ludlow CL. Treatment of speech and voice disorders with botulinum toxin. JAMA 1990;264:2671-5. 

  10. Brin MF, Stewart C, Blitzer A, Diamond B. Laryngeal botulinum toxin injections for disabling stutterin in adults. Neurology 1994;44: 2262-6. 

  11. Choi HS, Kim YH, Pyo HY, Hong WP. Effect of botulinium toxin injection on the stuttering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1997;8(2):193-8. 

  12. Parry W. Understanding and controlling stuttering. 1st ed.CA, USA: Anaheim hills;2000. 

  13. Jung H, Ahn JB, Park JH, Choi BH, Kwon DH. A comparative study of vocal fold vibratory behaviors shown in the phonation of /i/ vowel between persons who stutter and persons whith muscle tension dysphonia using high-speed digital imaging.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009;1(4):195-201. 

  14. Andrew G, Guitar B, Howie P.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stuttering treatm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980; 45:287-307. 

  15. Conture E, McCall G, Brewer D. Laryngeal behavior during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977;20:661-668. 

  16. Conture E, Schwartz H, Brewer D. Laryngeal behavior during stuttering: A Further Stud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985; 28;233-4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