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경변화(체류 시간)에 따른 조류발생기작 및 이동특성 연구를 위해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를 제작하여 낙동강 수계의 강정 고령보를 대상으로 체류 시간에 따른 조류발생 및 이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는 조류배양의 효율성 및 조류성장 관찰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투명아크릴로 제작하였다(직경 1 m, 높이 4 m, 가변형 원통수조, 3 sets). 빛 차단장치, 수심별 유입장치, 재이용수 저류조 등의 부대시설을 설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체류 시간 조건은 2일(보설치 전, 실험조 1), 8일(보설치 후 2013년 체류 시간, 실험조 2), 30일(2014년 체류 시간, 실험조 3)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조별 수온은 실험조 1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조 3에서는 표층(0 m)과 저층(4 m) 간 약 $3^{\circ}C$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용존산소(DO), pH 변화 분석 결과 모든 실험조에서 표층 0 m에서 저수심(2 m, 4 m)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영양염류(TN, $PO_4-P$)는 모든 실험조에서 부영양 상태를 나타냈다. Chlorophyll-a 분석 결과 실험조 1은 평균 $19.8{\mu}g/L$, 실험조 2는 평균 $35.0{\mu}g/L$, 실험조 3은 평균 $36.6{\mu}g/L$로 실험조 1 보다 실험조 2, 3에서 약 2배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환경 요인 중 체류 시간은 식물플랑크톤 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lot scale system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growth and movement of algae, depending on environmental changes(retention time, nutrient concentration, etc) in Gangjeong-Goryeong Weir of the Nakdong River. Considering the stability of algal culture and easy observation of algal growth, pilot sca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현재 국내 연구 실정은 현장 분석 자료에 국한되어 있으며 조류 발생 메카니즘 규명 연구에 있어 현장을 모식화한 연속적 실험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 환경을 최대한 반영하여 조류 발생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체류 시간이 조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환경 요인(수온(Water temperature), 용존산소(Dissolved oxygen),pH), 영양염류(총질소(TN), 인산염인(PO4-P)), Chlorophyll-a 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대강 보 건설이 추진된 목적은 무엇인가? 2009년부터 상수원수의 원활한 공급 및 홍수 예방 등을 목적으로 4대강 보 건설이 추진되었으며 한강 3개(강천보, 여주보, 이포보), 금강 3개(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낙동강 8개(상주보, 낙단보, 구미보, 칠곡보,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영산강 2개(승촌보, 죽산보)의 보가 건설되었다. 보 및 댐 등과 같은 인공구조물 설치는 물의 흐름을 느리게 하며 체류 시간이 증가하면서 영양염류증가 등 수체의 수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수계 내 수생 생물군집의 종 조성 및 분포 특성에도 영향을 미친다(Kwon, 1991; Lim and Choi, 2005).
보 및 댐 등과 같은 인공구조물 설치가 미치는 영향에는 무엇이 있는가? 2009년부터 상수원수의 원활한 공급 및 홍수 예방 등을 목적으로 4대강 보 건설이 추진되었으며 한강 3개(강천보, 여주보, 이포보), 금강 3개(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낙동강 8개(상주보, 낙단보, 구미보, 칠곡보,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영산강 2개(승촌보, 죽산보)의 보가 건설되었다. 보 및 댐 등과 같은 인공구조물 설치는 물의 흐름을 느리게 하며 체류 시간이 증가하면서 영양염류증가 등 수체의 수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수계 내 수생 생물군집의 종 조성 및 분포 특성에도 영향을 미친다(Kwon, 1991; Lim and Choi, 2005).
수화현상과 더불어 남조류 발생 빈도가 높은 시기는 언제인가? 특히 낙동강 수계에서는 1987년 하구둑 건설 이후 하류에서는 1994년 여름철부터 매년 Microcystis 등 남조류가 다량 증식하는 수화현상(Water Bloom)이발생하고 있다. 특히 강수량이 적은 갈수기에는 남조류 발생 빈도가 높으며 장기간 지속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남조류 관리를 위해 물환경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각 수계의 수질정보를 공유하면서 물관리 정책에 힘쓰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조류경보제 등을 실시하여 남조류 관리에 이바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임현식, 최진우. 2005. 영암호 저서동물군집에 미친 하구둑 건설의 영향, 한국수산과학회, 38(3), 172-183.(Lim HS, Choi JW. 2005. Ecological Impact of the Dyke Construction on the Marine Benthos Community of the Oligohaline Youngam Lake,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8(3), 172-183.) 

  2. 김경현, 이재훈, 안광국. 2012. 대청호의 시공간적 수질 변화 특성 및 호수내 유입지천의 영향, 한국하천호수학회, 45(2), 158-173.(Kim GH, Lee JH, An KG. 2012. Spatio-temporal Fluctuations with Influences of Inflowing Tributary Streams on Water Quality in Daecheong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5(2), 158-173.) 

  3. 김종민, 허성남, 노혜란, 양희정, 한명수. 2003. 호소형 및 하천형 댐 호의 육수학적 특성과 조류발생과의 상관관계, 한국하천호수학회, 36(2), 124-138.(Kim JM, Heo SN, Noh HR, Yang HJ, Han MS. 2003. Relationship between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lgal Bloom in Laketype and River-type Reservoirs,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2), 124-138.) 

  4. 권오섭. 1991. 낙동강 하구언 건설에 의한 환경요인의 변화, 한국하천호수학회, 24(4), 231-238.(Kwon OS. 1991. Effect of River Barrage on the Changes of Environmental Factors in Naktong Estuary, Korean Journal of Limnology, 24(4), 231-238.) 

  5. 노성유, 박혜경, 최희락, 이재안. 2014.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호 추동지점에서의 남조류 발생 패턴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30(4), 377-385.(Noh SY, Park HK, Choi HL, Lee JA. 2014. Effect of Climate Change for Cyanobacteria Growth Pattern in Chudong Station of Lake Daechu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0(4), 377-385.) 

  6. 서동일, 남귀숙, 이상협, 이의행, 김미리내, 최종윤, 김정희, 장광현. 2013. 낙동강 보 구간의 플랑크톤 군집조성과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 분석, 한국환경생물학회, 31(4), 362-369.(Seo DI, Nam GS, Lee SH, Lee EH, Kim M, Choi JY, Kim JH, Chang KH. 2013. Plankton Community in Weir Section of the Nakdong River and Its Relation with Selected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ournal Environment Biology, 31(4), 362-369.) 

  7. 서정관, 이혜진, 정익교. 2010. 낙동강 하류부에서 Stephanodiscus 속에 의한 수화 발생시 미생물먹이망 군집 동태, 한국환경생물학회, 28(3), 172-178.(Seo JK, Lee HJ, Chung IK. 2010. The Community Dynamics of Microbial Food Web during Algal Bloom by Stephanodiscus spp.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Korean Journal Environment Biology, 28(3), 172-178.) 

  8. 신재기, 황순진, 조경제. 2003. 평택호와 유역 주요 하천의 수환경 및 오염도 평가, 한국하천호수학회, 36(1), 38-47.(Shin JK, Hwang SJ, Cho KJ. 2003.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Pyeongtaek Reservoir and Its Main Tributarie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1), 38-47.) 

  9. 정승현, 박혜경, 이혜진, 이수형. 2013. 낙동강 물금 지점의 겨울 및 봄철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한국물환경학회, 29(2), 155-164.(Joung SH, Park HK, Lee HJ, Lee SH. 2013. Effect of Climate Change for Diatom Bloom at Winter and Spring Season in Mulgeum Station of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2), 155-164.) 

  10. 정승현, 안치용, 최애란, 장감용, 오희목. 2005. 대청호에서 강우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관계, 한국환경생물학회, 23(1), 57-63.(Joung SH, Ahn CY, Choi AR, Jang KY, Oh HM. 2005. 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Daechung Reservoir, Korean Journal Environment Biology, 23(1), 57-63.) 

  11. 조경제, 신제기. 1995. 낙동강에서 규조류 Stephanodiscus hantzschiif. tenuis와 S. parvus의 만성적 대발생, 한국조류학회, 10(2), 91-96.(Cho KJ, Shin JG. 1995. Persistent Blooms of Diatoms Stephanodiscus hantzschii f. tenuis and S. parvus in the Naktong River, Algae, 10(2), 91-96.) 

  12. 조완희, 염경택, 김진수, 반양진, 정세웅. 2012. 대청호의 조류발생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1(3), 367-380.(Cho WH, Yum KT, Lim JS, Ban YJ, Chung SW. 2012. Study on Algae Occurrence in Daecheong Reservoir,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3), 367-380.) 

  13. 이지민, 이정준, 박종근, 이정호, 장천영, 윤성명. 2005. 대청호 남조류 대발생기의 동물플랑크톤 相 및 Microcystis aeruginosa와 물벼룩류 개체수 변동의 상관관계, 한국하천호수학회, 38(2), 146-159.(Lee JM, Lee JJ, Park JG, Lee JH, Chang CY, Yoon SM. 2005. Zooplankton Fauna and the Interrelationship Among Cladiceran Populations and Microcystis aeruginosa (Cyanophyceae) during the Cyanobacterial Blooming Season at Daecheong Lake,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8(2), 146-159.) 

  14. 이재운, 권헌각, 최한영. 2014. 낙동강수계 권역별 비점오염원 오염도 평가,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3(5), 393-405.(Lee JW, Kwon HG, Choi HY. 2014. Evaluation of Pollution Level Attributed to Nonpoint Sources in Nakdonggang Bas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5), 393-405.) 

  15. 유재정, 이혜진, 이경락, 류희성, 황정화, 신라영, 천세억. 2014a. 낙동강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분포특성 및 수온과의 상관성, 한국하천호수학회, 47(4), 247-257.(Yu JJ, Lee HJ, Lee KL, Lyu HS, Whang JW, Shin LY, Chen SU. 2014a.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the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Nakdong River, Korea,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47(4), 247-257.) 

  16. 유재정, 이혜진, 이경락, 이인정, 정강영, 천세억. 2014b. 낙동강의 환경요인이 조류군집 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환경학회, 30(5), 539-548.(Yu JJ, Lee HJ, Lee KL, Lee IJ, Jung GY, Chen SU. 2014b.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Algal Communities in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0(5), 539-548.) 

  17. Forsberg C, Ryding SO.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 Receiving Lakes, Archives of Hydrobiology, 89, 189-207. 

  18. Ichimura T. 1979. 2. Isolation and Culture methods of Algae. 2.5.B. Freshwater Algae. In Nishizawa, K. and Chihara, M. (eds), Methods in Phycological Stidues. Kyoritsu Shuppan, Tokyo, pp. 294-305. (in Japanese without English title) 

  19. Linda EG, James MG, Lee WW. 2009. Algae, Benjamin Cummings Pub. 

  20.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4.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Water Quality, Ministry of Environment. 

  21. Sirenko IA, Kokyrsta PN. 1981. Daily vertical migration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its effect on the content of nitrogenous components in the cells, Hydrobiol. J, 17, 34-42. 

  22. Takamuta N, Yasuno M. 1984. Diurnal changes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hypertrophic lake Kasumigaura, Japan, Hydrobiol, 112, 53-60. 

  23. Welch EB. 1984. Lake restoration results. In: Ecosystems of the world 23, Lakes and reservoir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