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극률에 따른 다공성 타이타늄 임플란트의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rous Ti implants according to porosity 원문보기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v.37 no.2, 2015년, pp.57 - 62  

김영훈 (원광보건대학교 치기공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rous Ti implants according to porosity. Porous Ti implant will be had properties similar to human bone such as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Methods: Porous Ti implant samples were fabricated by sintering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극률 조절만으로 쉽게 탄성계수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45 ㎛ 이하의 크기별 타이타늄 구형 분말을 이용하여 다공성 타이타늄 임플란트를 제조한 후 공극률에 따라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비교 실험 하였다. 또한 목적하는 공극률을 부여하기 위해 적절한 다공성 타이타늄 임플란트 제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극률 조절만으로 쉽게 탄성계수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45 ㎛ 이하의 크기별 타이타늄 구형 분말을 이용하여 다공성 타이타늄 임플란트를 제조한 후 공극률에 따라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비교 실험 하였다. 또한 목적하는 공극률을 부여하기 위해 적절한 다공성 타이타늄 임플란트 제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따라 치과와 정형외과 분야에서 임플란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발전을 가져오고 있지만 치유기간 단축과 응력차폐현상에 대한 문제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력차폐현상을 해결하고 치유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다공성 타이타늄 임플란트의 공극률과 기계적특성의 상관관계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공성 타이타늄 임플란트의 공극률과 기계적 특성의 상관관계는? 1. 타이타늄(cp Ti) 분말 크기에 따른 다공성 타이타늄 임플란트의 공극률 25 ㎛ 이하 크기의 분말을 이용하여 제작된 다공성 타이타늄 임플란트의 공극률은 6.91%, 25~35 ㎛는 11.35%, 32~38 ㎛는 7.53% 그리고 38~45㎛의 크기는 17.51%의 공극률을 나타내었다. 2. 다공성 타이타늄 임플란트의 공극률에 따른 인장강도 6.91% 에서는 368 ㎫, 11.35% 에서는 263 ㎫, 7.53%에서는 168 ㎫, 그리고 17.51% 에서는 160 ㎫로 기공률이 커지면 인장강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다공성 타이타늄 임플란트의 공극률에 따른 탄성계수 6.91% 에서는 20.60 ㎬, 11.35% 에서는 28.46 ㎬, 7.53%에서는 19.31 ㎬, 그리고 17.51% 에서는 22.94 ㎬로 공극률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임플란트의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기존의 치과 보철치료의 관행은 결손된 치아의 인접치를 사용하는 것이었지만 골내 임플란트에 대한 혁신적인 개발과 도전으로 성공률이 크게 호전되어 오늘날의 임플란트는 외상이나 치주질환 등에 의한 골 손실 부위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Lee et al, 2010). 이러한 체내식립용 임플란트의 재료로는 기계적 특성이 뛰어나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타이타늄(cp Ti) 또는 타이타늄계 합금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Long M, Rack HJ, 1998). 골 유착(ossteointegration)의 개념이 확립되던 초기에는 매끈한 표면의 타이타늄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최근까지 표면처리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인간의 뼈와 생물학적 고정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표면 양상은 다공성표면이 유리하다고 하였다(Nishiguchi et al, 2001).
타이타늄과 타이타늄계 합금이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생체재료로 사용되는 금속재료 중에 타이타늄과 타이타늄계 합금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부식저항성과 생체적합성이 높다는 것이지만 한 가지 큰 문제점은 탄성계수(Modulus of elasticity)의 불일치이다(Oh et al, 2003). Oh 등의 연구에서 인간의 뼈는 10~30 ㎬ 이며 타이타늄 임플란트는 110 ㎬ 이라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Lee J, Decker JF, Polimeni G, Cortella CA, Rohrer MD, Wozney JM, Hall J, Susin C, Wikesjo UME. Evaluation of implants coated with rhBMP-2 using two different coating strategies: a critical-size supraalveolar periimplant defect study in dogs. J Clin Periodontol, 37, 582-590, 2010. 

  2. Long M, Rack HJ. Titanium alloy in total joint replacement-a materials science perspective. Biomaterials, 19, 1621-1639, 1998. 

  3. Nishiguchi S, Kato H, Fujita H, Oka M, Kim HM, Kokubo T, Nakamura T. Titanium metals form direct bonding to bone after alkali and heat treatments. Biomaterials, 22, 2525-2533, 2001. 

  4. Jo YJ, Lee CM, Jang HS, Lee NS, Suk J-H, Lee WH. Mechanical properties of fully porous and porous-surfaced Ti-6Al-4V implants fabricated by electro-discharge-sintering.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194, 121-125, 2007. 

  5. Oh IH, Nomura N, Hanada S.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rous Titanium Compacts Prepared by Powder Sintering. Materials Transactions, 43(3), 443-446, 2002. 

  6. Oh IH, Nomura N, Masahashi N, Hanada S. Mechanical properties of porous titanium compacts prepared by powder sintering. Scripta Materialia, 49, 1197-1202, 2003. 

  7. Johnson AJW, Herschler BA. A review of the mechanical behavior of CaP and CaP/polymer composites for applications in bone replacement and repair. Acta Biomaterialia, 7, 16-30, 2011. 

  8. Sumner DR, Turner TM, Igloria R, Urban RM, Galante JO. Functional adaptation and ingrowth of bone vary as a function of hip implant stiffness. Journal of Biomechanics, 31, 909-917, 1998. 

  9. Takemoto M, Fujibayashi S, Neo M, Suzuki J, Kokubo T, Nakamura T. Mechanical properties and osteoconductivity of porous bioactive titanium. Biomaterials, 26, 6014-6023, 2005. 

  10. Lee KM, Park SW, Lim HP, Koh JT, Kang SS, Kim HS, Park KB, Ryoo GH, Lee KK, Lee DJ. A Recent Research and Development Tendency of Dental Titanium Implant. Trent in Matals & Materials Engineering, 22(4), 33-40,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