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방 월류시 붕괴매개변수 도출을 위한 모형실험
Model Tests for Deriving Failure Parameter during Levee Overflow 원문보기

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4 no.2, 2015년, pp.11 - 21  

김진만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ICT) ,  조원범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ICT) ,  최봉혁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ICT) ,  오은호 (Construction Policy Research Division, KICT)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2년 피해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천제방 관련 홍수피해는 월류, 침식, 제체불안정(파이핑, 부적절한 축제재료선정, 다짐불량 등), 구조물에 의한 파괴 등으로,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는 39.5 %로서 주요 요인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제방붕괴각(${\theta}$), 제방붕괴율(k) 등 관련 월류제방 붕괴특성은 침수모델링 해석 시 침수속도 및 면적 등에 영향을 미치나 국내 관련 연구 실적이 미진한 실정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루드(Froude) 상사(${\lambda}_{Fr}=1$)를 가정한 제방고(0.20 m, 0.25 m, 0.30 m, 0.40 m)에 따른 제방붕괴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제방고 변화(H)에 따른 제방붕괴 메카니즘, 붕괴연장, 제방붕괴각(${\theta}$), 제방붕괴율(k)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damage investigation in 2002, the failures of river levee were caused by overflow, erosion, and unstable body conditions due to piping, inappropriate embanking materials, and poor compaction. Especially, overflow was identified as a main reason that induces levee failure by 39.5%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프루드(Froude) 상사(λFr = 1)를 가정한 제방모형을 제작하여 홍수침수모의에 활용되는 월류붕괴 모형 해석 시 요구되는 제방 붕괴각 (θ), 붕괴율 (k) 등에 대한 합리적 추정 값을 제시하고자 Mohamed et al.
  • 본 논문은 앞서 언급되었듯이 월류제방붕괴 모형실험을 통하여 제방붕괴각도(θ), 붕괴율(k) 등 월류붕괴모형 매개변수 등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 앞서 언급되었듯이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는 하천수 월류에 의한 비탈어깨․뒷비탈기슭의 세굴 및 둑마루 활동붕괴로 도로제방 등과 달리 자중에 의한 활동력 외에 하천유속에 의한 소류력 영향이 추가 되어 발생된다. 본 논문은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 메카니즘 규명하고자 2m 하천폭의 모형제방에서 제방고를 0.2, 0.25, 0.3, 0.4m로 변화시켜가면서 붕괴형상, 유속변화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2004)이 제시한 길이비 λL을 1/10로 가정하였다.
  • 월류제방 흐름상사성은 수리학적 관점에서 원형과 모형의 흐름조건을 일치 시키기 위하여 원형 및 모형의 중력(gravity)과 관성력(inertia force)의 비를 일치시키는 프루드(Froude) 상사(λFr = 1)를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방붕괴의 주요 원인은? 2002년 피해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천제방 관련 홍수피해는 월류, 침식, 제체불안정(파이핑, 부적절한 축제재료선정, 다짐불량 등), 구조물에 의한 파괴 등으로,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는 39.5 %로서 주요 요인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는 어떤 순으로 발생하는가? 한편,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는 1) 강우침식에 의한 뒷비탈 포화 및 흙의 강도 저하 발생, 2) 하천수 월류 발생,3) 월류수심 증대 및 월류수에 의한 뒷비탈기슭 세굴 발생,4) 비탈어깨․뒷비탈기슭의 세굴 진행, 5) 비탈어깨 세굴 및 둑마루 붕괴 시작, 6) 본제 둑마루 붕괴 및 유출로 인한 뒷비탈면 붕괴 유발 등의 순으로 발생 된다(Nakajima, 2003).
제방고별 월류제방의 붕괴 메카니즘을 설명하시오. 8은 제방고별 월류제방의 붕괴 메카니즘을 보여준다.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는 제방고에 관계없이 1) 월류에 의한 비탈면 국부 세굴 발생, 2) 직벽 형태의 깊은 세굴면 진전, 3) 직벽 세굴면 자중에 의한 국부활동 발생, 4) 소류력에 의한 세굴면 확대 순 등으로 발생되어 2)번∼4)번의 붕괴 과정이 반복됨으로서 전체 제방붕괴가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Fread, D. L. (1977),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Dam-Break Flood Forecasting Model", Proc. of the Dam-Break Flood Routing Workshop, U. S. Water Resources Council, Washington, D. C., pp.164-197. 

  2. Hanson, G. J., Cook, K. R., and Hunt, S. L. (2005), "Physical modeling of overtopping erosion and breach formation of cohesive embankments." Trans. ASABE, 48(5), 1783-1794. 

  3. Kim, J. M., Choi, B. H., Cho, S. D., Joo, T. S., Kim, H. B., and Rhee, J. W. (2003), "A Study of Load Reduction Effect on Conduits Using Compressible Inclusion", Journal of Korea Geosynthetics Society, Korea Geosynthetics Society, Vol.2, No.2, pp.3-11. 

  4. Kim, K. H., Yoon, K. S., Lee, J. W., Lee, S. J., Yu, K. D., Cha, J. H., Lee, D. S., Hwangbo, J. G., Cho, S. D., Kim, J. M., Choi, B. H., and Oh, S. Y. (2004), Leve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ies relevant, final report,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5.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2009), Design criteria rivers commentary. 

  6. Lee, K. H., Kim, S. W., Yu, S. Y., Kim, S. H, Cho, J. W., and Kim, J. M. (2013), "Delopment of a Hydrograph Triggered by Earth-Dam-Break for Compilling a Flood Hazad Map",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Korea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Vol.23, No.4, pp.381-387. 

  7. Lee, S. T. (199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ross section characteristics of river levees and their collapse phase,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Kyonggi. 

  8. MacDonald, T. C., and Jennifer, L. M. (1984), "Breaching Characteristics of Dam Failures", J. of HY Div., Vol.110, No.5, ASCE, pp.567-586. 

  9. Mohamed, M.A.A., Morris, M., Hanson, G.J. and Lakhal, K. (2004), "Breach Formation: Laboratory and Numerical Modeling of Breach Formation", Proc. Dam Safety 2004, ASDSO Phoenix, Arizona, USA. 

  10. Nakajima, H. (2003), River Levee, Kibodang Press, japan. 

  11. Singh, K. P. (1982), "Dam Safety Program", Univ. of Illinois, Champaign, Illinois.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