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착식 터널공법으로 시공된 지하철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각종 계측시스템을 적용하여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존 이론식으로 산정된 측방토압과 현장에서 계측된 실측토압을 비교 검토하고, 실제 지하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연직토압은 주로 성토고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측방토압은 흙막이구조물(버팀보, 흙막이벽)의 존치여부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 측정된 지하 박스구조물 상단에 작용하는 연직토압은 Bierbaumer의 이론토압에 가장 근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측방토압은 정지토압보다 주동토압에 가깝게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토압계수는 토사층의 경우 평균 0.35정도로 나타났으며 연암층의 경우 평균 0.21정도로 토사층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지하 박스구조물이 토사층에 설치되는 경우,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은 정지토압보다는 주동토압과 정지토압의 평균치를, 암반층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주동토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underground structure was measured by application of the instrumentation system in the subway construction site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cut-and-cover tunnel. The measured earth pressure was compared with the earth pressure obtained from the existed theoretical equ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착식 터널공법으로 시공된 지하철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각종 계측시스템을 적용하여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존 이론식으로 산정된 토압과 현장에서 계측된 실측토압을 비교 검토하고, 실제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분포를 조사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착식 터널공법으로 시공된 지하철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각종 계측시스템을 적용하여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존 이론식으로 산정된 토압과 현장에서 계측된 실측토압을 비교 검토하고, 실제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분포를 조사하고자 한다. 특히 지하 박스구조물이 완성된 이후, 성토에 의한 상재하중재하시, 최상단 버팀보 제거시, 흙막이벽 제거시 등 시공단계별로 토압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 이를 토대로 기존 이론식으로 산정된 토압과 현장에서 계측된 실측토압을 비교 검토하고, 실제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분포를 조사하고자 한다. 특히 지하 박스구조물이 완성된 이후, 성토에 의한 상재하중재하시, 최상단 버팀보 제거시, 흙막이벽 제거시 등 시공단계별로 토압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지하 박스구조물 상부에서 측정된 연직토압이 구조물 측벽의 최상단에 부착된 토압계(Ph-4)의 설치지점에서 작용하는 연직토압과 같다고 가정하고, Ph-3, Ph-2, Ph-1 계측지점의 연직토압은 현장에서 측정된 연직토압에 각 토압계의 설치위치에 단위중량(α=γZ )을 곱하여 가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착식 터널공법은 어떤 공법인가? 일반적으로 지하 박스구조물은 개착식 터널공법 및 암거공법으로 시공되어 진다. 개착식 터널공법은 지표면에서 직접시공이 곤란하여 가설흙막이벽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지반속 소정의 위치에 구조물을 설치한 후성토를 실시하는 것이다. 도심지에서의 지하철 공사시 주로 적용되는 개착식 터널공법은 굴착단면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하여 주로 구형 라멘단면을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 박스구조물은 어떤 공법으로 시공되는가? 일반적으로 지하 박스구조물은 개착식 터널공법 및 암거공법으로 시공되어 진다. 개착식 터널공법은 지표면에서 직접시공이 곤란하여 가설흙막이벽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지반속 소정의 위치에 구조물을 설치한 후성토를 실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착식 터널공법으로 시공된 지하철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각종 계측시스템을 적용하여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을 측정하여 기존 이론식으로 산정된 측방토압과 현장에서 계측된 실측토압을 비교 검토하고, 실제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 (1)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연직토압은 주로 성토고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흙막이구조물의 존치여부 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측방 토압은 성토고도 영향을 받지만 흙막이벽구조물(버팀보, 흙막이벽)의 존치여부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흙막이벽이 지중에 그대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을 30~70% 정도 작게 작용하고 있다. (2) 토압계수는 토사층의 경우 평균 0.35정도로 나타났으며 연암층의 경우 평균 0.21정도로 토사층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토압계수는 원지반이 견고할수록 작게 나타나고 있어 뒷채움재의 종류 뿐만 아니라 원지반의 종류(강도)에도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현장에서 측정된 지하 박스구조물 상단에 작용하는 연직토압은 Bierbaumer(1913)의 이론토압에 가장 근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AASHTO(1994)의 이론식 보다는 작으며 Marston & Anderson(1913) 이론식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측방토압은 정지토압 보다 주동토압에 가깝게 작용하고 있다. (4) 지하 박스구조물 측벽에 뒷채움이 완료된 후 구조물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은 Marston & Anderson(1913) 의 사일로 내의 토압산정식을 적용하여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조물과 뒷채움흙 사이의 마찰각이 δ = (3/4)Φ인 경우와 일치하고 있다. (5) 지하 박스구조물이 토사층에 설치되는 경우, 지하 박스구조물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은 정지토압보다는 주동토압과 정지토압의 평균치를, 암반층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주동토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ASHTO (1994)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1st Edition,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Washington, D.C. 

  2. Bierbaumer, A. (1913) Die dimensuonierung des tunnelmauerwerkes, Leipzig, W. Engelmann. 

  3. Christensen J.T. (1967) "The application of generalized stress-strain relations", Proc. Symp. on Limit Equilibrium, Plasticity, and Generalized Stress-Strain Applications in Geotech, Engg., ASCE, Annual Convention and Exposition, Hollywood, Florida, pp.182-204. 

  4. Chung, S.G., Cho, K.Y., Yoon, C.K., Lee, D.M. (1996) "Earth pressures on box culvert induced by excavation geometry",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12, No.5, pp.27-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Dasgupta, A. and Sengupta, B. (1991) "Large scale model test on square box culvert backfilled with sand", Jour. Geotechnical Engineering, Vol.117, No.1, pp.156-161. 

  6. Houska, J. (1960) "Beitrag zur theorie der erddrucke auf das tunnelmauerwerk", Schweizerische Bauzeitung, Vol.78, pp.607-609. 

  7. Lee, S.D., Moon, C.Y., Kim, E.S., Lee, C.K. (1997) "A study on the lateral earth pressure by the narrowly backfilled soil", Jouran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17, No.III-3, pp.285-2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Marston, A. and Anderson, A.O. (1913) "The theory of loads on pipes in ditches, and tests of cement and clay drain tile and sewer pipe", Bulletins of the Engineering Experiment Station, Iowa State College, No.31, pp.30-64. 

  9. Muller-Breslau H. (1906) Erddruck auf Stutzmauern, Alfred Kroner, Stuttgart. 

  10. Rankine, W. (1857) "On the stability of loose earth",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Vol.147, pp.9-27. 

  11. Spangler, M.G. (1948) "Underground conduits-An appraisal of modern research", Transactions of ASCE, Vol.113, pp. 316-345. 

  12. Terzaghi, K. (1943), Theoretical soil mechanics, John Wiley and Sons, pp.66-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