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복도형 인텔리전트빌딩 화재시 연기제어를 통한 피난안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ing Safety of Evacuation through Smoke Control in Case of Fire at the Central Corridor Type Intelligent Buildings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7 no.2, 2015년, pp.117 - 127  

민세홍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설비.소방공학과) ,  이재문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소방방재공학과) ,  배연준 ((주)한백에프앤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moke blocking and control systems for the safety of residents evacuation and for the prevention of smoke spread through the central corridor in the event of central corridor type of intelligent building fire. We offered additional ways of utilizing smoke ventilator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중(앙)복도에 관련하여 선행연구된 배연준의 ‘중앙코어형 초·고층건축물의 연기확산방지 및 피난 안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에서 초·고층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재·연기 확산방지대책과 거주민의 인명안전측면에서 절대적으로 중요한 1차 안전구역인 중(앙)복도를 중점으로 한 연기차단 및 연기제어시스템(Smoke Control System)을 제시하고, 그 적용방안을 강구하는 연구에서 건축 및 설비적인 대응방법과 이를 혼용한 대응방법에 대해 다수의 방안을 제시했으며, 이를 화재분석용 프로그램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된 중복도형 인텔리전트 빌딩 화재시 중(앙)복도를 통한 연기확산방지 및 연기제어시스템에 대한 추가 대응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화재분석용 프로그램인 FDS(Fire Dynamics Simulation)로 그 결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복도형 인텔리전트 빌딩 화재시 중(앙)복도를 통한 연기확산방지 및 거주민의 피난안전성 확보를 위한 추가 대응방안으로 연구된 배연설비(배연창)와 제연설비(급기·가압설비)를 혼용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화재는 기준층 평면에서 좌측 하단의 오피스텔 객실 내부에서 담뱃불이 발화원이 되어 침대(Mattress)로 화원이 옮겨 붙은 후 서서히 성장해 화재크기로 발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때 침대에서 발생한 화재크기는 미국의 NIST에서 실험한 여러 가지 물품 중에서 침대에 대한 화재실험결과를 추정하여 본 논문의 화재크기로 적용하였으며, 화재크기는 감소하지 않고 시뮬레이션 수행종료 때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화재는 기준층 평면에서 좌측 하단의 오피스텔 객실 내부에서 담뱃불이 발화원이 되어 침대(Mattress)로 화원이 옮겨 붙은 후 서서히 성장해 화재크기로 발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때 침대에서 발생한 화재크기는 미국의 NIST에서 실험한 여러 가지 물품 중에서 침대에 대한 화재실험결과를 추정하여 본 논문의 화재크기로 적용하였으며, 화재크기는 감소하지 않고 시뮬레이션 수행종료 때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복도형 건축물의 단점은 무엇인가? 국내에 건설되는 초·고층건축물의 대부분은 구조적 안전성, 이용자들의 이동 편리성, 건물기능의 유지·관리의 편리성 등을 고려해, 이 모든 기능을 건물의 중앙부에 집중·배치한 중심 Core 형태인 건축물들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중복도형 건축물이 가장 많은 건설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 그러나 중복도형 건축물은 여러 많은 장점이 있는 반면 화재발생시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많은 위험성 중 인명에 많은 위험을 초래하는 주된 인자는 사실상 열과 연기이며, 이중에 거주민의 1차적 위험요소는 연기이다[2].
중복도형 건축물이 화재발생시에 위험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중앙복도에 승용승강기 등이 설치·연결된 경우에는 연기가 이를 통해 상부다층으로 확대되어 복도를 오염시키는 단점과 상층부의 거주민의 피난행동장애, 다층의 동시 다발성 피난에 따른 피난시간 증가와 더불어 연기의 오염 층에 거주민을 고립시키는 화재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왜냐하면 건물내부에서 거주민이 유일하게 피난에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은 단, 2가지 유형이 전부이며, 그 첫째는 중복도인 수평이동경로이고, 그 둘째는 피난계단 등과 같은 수직이동통로가 피난에 유일한 수단이기 때문이다[2].
국내의 건설되는 초·고층건축물의 대부분은 어떤 형태의 건물인가? 국내에 건설되는 초·고층건축물의 대부분은 구조적 안전성, 이용자들의 이동 편리성, 건물기능의 유지·관리의 편리성 등을 고려해, 이 모든 기능을 건물의 중앙부에 집중·배치한 중심 Core 형태인 건축물들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중복도형 건축물이 가장 많은 건설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 그러나 중복도형 건축물은 여러 많은 장점이 있는 반면 화재발생시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Y.J. Bae and S.K Lee, (2009), "A Study Evacuation Appropriateness for the Residential Building by Simulation(FDS, Simulex)",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Organization Studies, 52. pp. 1-2. 

  2. S.U. Kim, (2005), "Building smoke control system",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Air Conditioning Refrigerating and Sanitary Engineers, Vol. 22, No. 8, pp. 78-91. 

  3. S. H. Min, (2012) "A Study on the Evacuation Risk of Simultaneous Fires from Exterio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4, pp. 48- 54. 

  4. Y.J. Bae, (2012), "A Study on Preventing Spread of Smoke and Securing Safety of Evacuation in Central Core Type High-Rise Buildings", The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pp. 1-35. 

  5.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xt Generation Fire Protection & Safety Core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Performance evaluation and DB construction on medium-scale vertical fire)", pp. 313-423(2010). 

  6.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report on the model for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spread of extensive demage in high-rise & complex building areas", (2010). 

  7. J.S. Kim, (2001),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Presurization System for Smoke Control", The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pp. 1-35. 

  8. NFSC 501, National Fire Safety Codes of Smoke Control System"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2). 

  9. http://www.nema.go.kr 

  10. http://www.moleg.go.kr/main.html 

  11. http://www.fire.nist.gov/fire/fires/kiosk/kisk.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