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음 주파수 범위에 따른 성문전도 스펙트럼 기울기
Electroglottographic Spectral Tilt in Frequency Ranges of Vowel Sound 원문보기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센서학회지, v.24 no.4, 2015년, pp.247 - 251  

김지혜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장애란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정동근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electroglottographic spectral tilt (EST) was investigated for characterization of vocal cords vibration. EST was analyzed from the power spectrum of electroglottographic signals by dividing frequency analysis range as full range (0~4 octave), low range (0~2 octave), and high range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EGG는 성대의 크기 및 장력, 그리고 성대내의 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15], 본 연구에서는 EGG 기록에서 외부적인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검사대상자들에게 성대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충분한 물을 섭취하고 검사에 임하도록 하였다. 또한 EGG 파형의 왜곡은 EGG 신호의 스펙트럼 패턴에 영향을 미치므로[16] EGG 측정에 있어 전극의 간격 및 위치를 매번 조정하여 EGG 신호의 진폭이 균일하게 기록되도록 주의하여 신호를 기록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EGG 신호의 스펙트럼 기울기를 주파수영역 및 성별에 따라 분석하여 성문전도 파형의 스펙트럼 기울기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문전도란? 최근 들어 직업적으로 음성을 사용하는 가수 및 아나운서의 숫자가 증가함에 따라 목소리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음성의 질이 현대 생활에서 관심사로 대두되었다. 발성 기관인 성대의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성문전도(EGG)는 발성중 성대의 진동을 비침습적으로 검사하는 방법이다[1]. 성문전도 측정장비는 갑상연골 주변의 목 피부 양측에 두 개의 전극을 사용하여 전극 사이의 전기적 임피던스를 기록한다.
성문전도 측정장비의 작동 원리는? 발성 기관인 성대의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성문전도(EGG)는 발성중 성대의 진동을 비침습적으로 검사하는 방법이다[1]. 성문전도 측정장비는 갑상연골 주변의 목 피부 양측에 두 개의 전극을 사용하여 전극 사이의 전기적 임피던스를 기록한다. 유성음 발성 중에서 성대가 닫혀있을 때 전기 임피던스는 작아지며 열려있을 때 임피던스가 커진다.
여성과 남성을 비교하는 데 있어 주파수 범위보다는 기본주파수의 옥타브 단위로 분석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비교하는데 용이한 이유는? Murphy 등은 성문음을 이용한 스펙트럼 기울기 분석에서 주파수 영역을 0~1 kHz, 1~4 kHz, 0~2 kHz, 그리고 2~4 kHz 등으로 구분하여 특성을 보고하였다. 낮은 F0의 성문음에서는 고조파의 진폭이 2 kHz에서 대부분 감쇠되었으며 높은 F0의 성문음에서는 4 kHz까지 고조파가 유지된다고 보고하였다[13]. 이러한 특성은 기본주파수가 높은 여성의 경우 고조파가 높은 주파수까지 발생하지만 남성의 경우는 기본주파수가 낮아 고조파가 발생하는 주파수 범위가 좁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Karlsson은 음성신호의 스펙트럼 기울기가 음성의 특성에 따라 다른 특성이 있으며 여성의 경우에 기울기가 더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18]. 따라서 동일한 주파수 범위에서 스펙트럼 기울기를 비교하게 되면 피크가 나타나는 범위가 차이를 보임으로 비교할 수 없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여성과 남성을 비교하는데 있어 주파수 범위보다는 기본주파수의 옥타브 단위로 분석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비교하는데 용이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R. F. Orlikoff, "The uses and abuses of electroglottography", Phonoscope, Vol. 1, pp. 37-53, 1998. 

  2. M. N. Vieira, F. R. McInnes, and M. A. Jack, "Robust F0 and jitter estimation in pathological voices", Spoken Language, ICSLP 96, pp. 745-748, 1996. 

  3. J. H. Lee, J. H. Kim, G. T. Kang, and D. K. Jung, "Vocal exercise system using electroglottography", J. Sensors Sci. & Tech., Vol. 22, pp. 156-161, 2013. 

  4. G. Fant, Acoustic Theory of Speech Production. Mouton & The Hague, Paris, 1971. 

  5. S. M. Kay and S. L. Marple Jr, "Spectrum analysis-a modern perspective", Proc. of IEEE, Vol. 69, No. 11, pp. 1380-1419, 1981. 

  6. L. Enflo, Spectral tilt used for automatic detection of prominence: a comparison between electroglottography and audio, Machine Learning-a GSLT course, 2009. 

  7. L. Enflo, "Vowel dependence for electroglottography and audio spectral tilt", Proc. of Fonetik, pp. 35-39, 2010. 

  8. J. Kreiman, B. R. Gerratt, and N. Antonanzas-Barroso, "Measures of the glottal source spectrum", J. speech Lang. Hear. R., Vol. 50, No. 3, pp. 595-610, 2007. 

  9. V. C. Tartter, H. Gomes, and E. Litwin, "Some acoustic effects of listening to noise on speech production", J. Acoust. Soc. Am., Vol. 94, pp. 2437-2440, 1993. 

  10. Y. Lu and M. Cooke, "The contribution of changes in F0 and spectral tilt to increased intelligibility of speech produced in noise", Speech Commun, Vol. 51, No. 12, pp. 1253-1262, 2009. 

  11. J. M. Alexander and K. R. Kluender, "Spectral tilt change in stop consonant perception", J. Acoust. Soc. Am., Vol. 123, No. 1, pp. 386-396, 2008. 

  12. H. S. Shon, "Glottal characteristics of word-initial vowels in the prosodic boundary: acoustic correlation", J. Korean Soc. Speech Sci., Vol. 2, No. 3, pp. 47-63, 2010. 

  13. P. J. Murphy, "Spectral tilt as a perturbation-free measurement of noise levels in voice signals", Proc. of Eurospeech, Aalborg, Denmark, 2001. 

  14. C. T. Herbst, D. Howard and J. Schlomicher-Their, "Using electroglottographic real-time feedback to control posterior glottal adduction during phonation", J. Voice, Vol. 24, No. 1, pp. 72-85, 2010. 

  15. D. G. Childers and A. K. Krishnamurthy, "A critical review of electroglottography", Crit Rev Biomed Eng, Vol. 12, No. 2, pp. 131-161, 1985. 

  16. F. Alipour, R. C. Scherer and E. Finnegan, "Measures of spectral slope using an excised larynx model", J. Voice, Vol. 26, pp. 403-411, 2012. 

  17. E. P. Ma and A. L. Love, "Electroglottographic evaluation of age and gender effects during sustained phonation and connected speech", J. Voice, Vol. 24, No. 2, pp. 146-152, 2010. 

  18. I. Karlsson, I, "Modelling voice variations in female speech synthesis", Speech Communication, Vol. 11, pp. 1-5,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