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마을굿 무속복식에 나타난 관모 연구
A Study of Official Hats Shown on Shaman's Costumes of Seoul Village Gut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7 no.3, 2015년, pp.364 - 371  

김은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임린 (전남도립대학교 한국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Sadanggut for General Namyi, Agisee Gutdang in Haengdang-dong, Dodanggut in Bonghwa Mountainto examine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official hats for shaman's costumes based on Seoul village gutas a spiritualistic shaman revealing the divinity of music for g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서울 마을굿 무속복식에 나타난 관모에 대한 연구는 강신무라는 종교성과 강신무 복식의 의례적 특성을 바탕으로 무복 관모에 대한 구체적 논의와 체계의 정립을 목적으로 한다.
  • 따라서 관모는 추상적인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굿거리 주신을 상징하는 복식문화의 일면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연행되고 있는 서울 마을굿 중 남이사당굿, 아기씨당굿, 봉화산도당굿을 현지조사하여 굿거리에서 착용되는 관모의 종류와 특성을 살피고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 무속복식이 원형을 알 수 없는 양식으로 변질된 경우가 많은데,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무속복식은 왜 변질되지 않았는가? 오랜시간 주무당을 통해 전승되어 온 무속복식은 조선후기 서양문물의 유입과 개화기,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한국복식이 겪어야만 했던 급속한 변화와 변형의 흐름에서 자유롭지 못하였고 현대 무속복식은 원형을 알 수 없는 양식으로 변질된 경우가 많다. 다행히도 학계의 지속적인 관심과 정부의 무형문화재 보호정책에 힘입어 남이장군 사당굿과 행당동 애기씨당굿, 봉화산 도당굿은 무속복식이 일정한 양식을 갖추고 매년 마을행사로 30년 이상 연행되어 명맥을 잇고 있음에 따라 이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직접 참관하여 무당과의 인터뷰, 굿 연행과정, 무복 관모 착용과정 및 양상을 함께 조사 분석하였다.
강신무와 세습무의 차이점은? 우리나라 무속은 강신무와 세습무로 대별되는데, 굿거리에서 무속복식을 거의 갈아입지 않는 세습무에 비해 강신무는 가무와 신물을 활용하여 굿거리마다 거리의 신을 상징하는 화려한 무속복식을 입고 굿을 연행한다. 특히 개인굿에 비해 마을공동체가 일정한 형식을 갖춰 연행하는 마을굿에서는 강신무의 특성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고 있으며, 무속복식도 무당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관(冠)과 포(袍)로 일습을 이루어 거리별로 10여벌을 갈아입는다.
마을굿에서 강신무는 무속복식을 몇 벌이나 갈아입는가? 우리나라 무속은 강신무와 세습무로 대별되는데, 굿거리에서 무속복식을 거의 갈아입지 않는 세습무에 비해 강신무는 가무와 신물을 활용하여 굿거리마다 거리의 신을 상징하는 화려한 무속복식을 입고 굿을 연행한다. 특히 개인굿에 비해 마을공동체가 일정한 형식을 갖춰 연행하는 마을굿에서는 강신무의 특성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고 있으며, 무속복식도 무당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관(冠)과 포(袍)로 일습을 이루어 거리별로 10여벌을 갈아입는다. 그 중 굿거리의 신을 대변하는 강신무 복식 중 관모는 신격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굿거리에 따라 그 역할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속복식에 관한 연구에서 소외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ong, T. H. (2003).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pirtistic Shamans and the Heredity Shamans. Korean Shamanism, 7, 30-50. 

  2. Hong, T. H. (2008). 서울 마을굿의 전승 현황과 유형구분 [The type of village exorcisms of Seoul]. 중앙민속학, 13, 153-178. 

  3. Kim, E. J. (2004). Research on Jangsam in Buddhist Priest's and Shaman's costumes. Journal of Korean Economics Association, 42(2), 151-160. 

  4. Kwon, S. K. (2009). 서울지역 아기씨당의 성격과 기능 [The characteristic and functionality of Agisee Gutdang in Seoul]. 한국민속학, 49, 126-133. 

  5. Lee, C. Y. (1990). A study on the dancing costumes for the buddhist ceremony of 'Spirit vulture peak'.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6. Min, B. R., & Hong, N. Y. (2007). A study on the costume of female shaman in the late Joseon's Gamrotaenghwa (Part 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8), 1190-1201. 

  7. Nam, M. H. (2003). A study on the dress of sword dance apperaing in documentary paintings of the late Chosun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8. Nangok[蘭谷] (2005). 무당내력 [Mudang's History](D. S. Seo, Trans.). Seoul: Publishing Company Minsokwon. (Original work published Unidentifiable Period, Estimated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9. Park, H. J. (2006). The pattern and origin of Seoul Maeul-kut. Korean Shamanism, 12, 119-175. 

  10. Seo, D. S. (1997). 무당내력의 성격과 의의 [Characteristic and Meanings of 'Mudang Naeryeok']. 구비문학연구, 4, 341-368. 

  11. Yum, J. H., & Cho, W. H. (2013). A study on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8), 171-187. doi:10.7233.63.8.171 

  12. Yun, B. N. (2014). A study on the Ipsik of Joseon Dynasty-Focusing on Peacook feather, Hosu and Sangmo-.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