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패션 쇼핑몰에서 소비가치에 따른 충동구매행동 연구
The Study of Impulse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Consumption Value in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7 no.3, 2015년, pp.372 - 381  

강은미 (동아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ces in fashion products attributes, mobile shopping mall attributes, impulse buy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mobile shoppingconsumption value. The findings provide new information on marketing strategy for mobile shopping malls. A total of 283 usable 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일반적인 구매실태에 대하여 살펴보고, 소비자들의 소비가치에 따라 제품속성과 모바일쇼핑몰속성, 충동구매행동과 충동구매행동 후 만족은 어떻게 차이나는지 살펴봄으로써 소비가치에 따른 시장세분화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세분시장별로 마케팅전략을 개발할 때 마케터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연구문제1. 모바일 쇼핑에서 패션제품의 구매실태에 대하여 살펴본다.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몰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일반적인 구매 실태를 살펴보고, 소비자의 소비가치 유형에 따라 패션제품속성, 모바일쇼핑몰속성, 충동구매행동 및 만족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이러한 연구 결과로 소비자들의 소비가치유형에 따라 중요시하는 패션제품속성과 모바일쇼핑몰속성, 충동구매행동 및 만족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므로 소비가치에 따른 시장세분화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케터들은 소비가치를 중심으로 시장을 세분화 한 후 세분 시장별 마케팅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쇼핑이란 무엇인가? 모바일 쇼핑이란 휴대폰이나 스마트 기기 등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매 받지 않고 패션 제품을 구매하거나 예약하는 등의 행위를 말한다(Hong, 2012). PC를 통한 쇼핑이든 모바일을 통한 쇼핑이든 모두 가상공간을 이용한 쇼핑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쇼핑몰 속성에서 공통점이 많다고 할 수 있으며 실제 모바일 쇼핑에서도 기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테이션(앱)을 이용한 쇼핑이 있다.
충동구매란 무엇인가? 충동구매란 쇼핑몰에서의 사전에 구매계획이나 의도 없이 특정 자극에 노출되면서 순간적으로 심사숙고하지 않고 비계획적으로 이루어지는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을 말한다(Kang et al., 2014; Verhagen & Dolen, 2011).
Sheth et al.(1991)는 사회 심리학적 이론을 근거로 소비가치를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및 상황적 가치 등 5가지로 제안하였는데, 이들 각각은 무엇인가? (1991)은 사회 심리학적 이론을 근거로 소비가치를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및 상황적 가치 등 5가지로 제안하였다. 기능적 가치는 경제적 효용 이론에 기초한 가치로 제품이나 브랜드 등이 가지는 물리적 특성이나 기능적 성과, 실용성, 신뢰성, 내구성, 가격 등으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사회적 가치는 제품이나 브랜드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교감을 느끼거나 자신의 권위나 지위를 상징적으로 나타낼 수 있을 때 소비자들이 제품이나 브랜드로부터 느끼는 가치이다. 감정적 가치는 어떤 제품이나 브랜드가 유발하는 느낌이나 즐거움과 자신감 같은 감정적 상태로부터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이며 상황적 가치는 소비자가 직면하는 특정상황이나 주변 환경의 결과로서 지각되는 가치로 이러한 상황들은 소비자의 구매선택에 영향을 미쳐 소비자로 하여금 평소 계획했던 상표가 아닌 다른 상표를 구매하도록 유도한다. 진귀적 가치는 어떤 제품이나 브랜드가 호기심을 유발하거나 신기함을 제공할 때 지각되는 가치를 말한다(Choi,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ng, M. S. (2013). The effect of fashion consum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mobile shopping acceptance and purchase inten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 Choi, P. W. (2009). Analysis of the snowbord wear consumer's selection standards and purchase types according to their consumption valu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3.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4. Forney, J. C., Park, E. J., & Brandon, L. (2005). Effects of evaluative criteria on fashion brand extension.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9(2), 156-165. 

  5. Go, E. J., Kim, K. H., & Kim, S. S. (2009).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mall-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7), 1164-1179. 

  6. Han, S. J., Yang, L. N., & Kim, M. S. (2002). A study on the clothing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lifestyle type of women in their 50's and 60'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0(2), 504-517. 

  7. Hong, S. B. (2012). A study on the mobile fashion commerce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8. Ji, H. K. (2013). Characteristics of impulse buying according to price attitude towards internet apparel purchas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6), 737-749. 

  9. Jiang, S. (2013). A Research on the Use and Satisfaction of Sales Promo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Custom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Wanju. 

  10. Jung, W. J. (2012). The effects of perceived values of mobile shopping in customer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The Business Studies, 13(5), 203-226. 

  11. Kang, E. M., & Park, E. J. (2003). Impact factors on consumer satisfaction in apparel buy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1), 29-39. 

  12. Kang, E. M., Liu, J., & Park, E. J. (2014). Comparative analysis of impulse buying and satisfaction for fashion products in internet shopp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6), 879-887. 

  13. Kim, C. Y. (2011). The effect of shopping quality and shopping value on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fashion shopp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4. Lee, J. Y. (2011). The effect of customer perceived value of smartphone applications on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Lee, K. N., & Shin, S. Y. (2012). Purchase behaviors on imported fashion luxury brand's bag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sumption values of female consumers in 20's and 30'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4(4), 554-566. 

  16. Lee, M. J., & Lee, K. H. (2013). Mobile shopping motives and fashion application accept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 153-163. 

  17. Lim, K. B. (2005). A study on the women consumers'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68-78. 

  18. Liu, J. (2012). E-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for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19. 'Mobile shopping'. (2015, February 9). ZDNet Korea. Retrieved February 17, 2015, from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0209162257&typexml 

  20. Paik, S. Y., & Lee, S. J. (2000). The effect of adolescents' consumption values on the clothing products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6), 59-72. 

  21. Park, E. J.., & Kang, E. M. (2005). Effects of internet shopping interest, shopping mall attribute, and emotions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in interne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1), 1475-1484. 

  22. Park, E. J., & Go, S. B. (2008). Effects of internet shopping interest, shopping mall attribute, and emotions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in internet shopping mal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 1-11. 

  23. Park, H. H., & Ku, Y. S. (2008).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fashion brand loyalty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5), 910-923. 

  24. Park, H. S., Park, J. O., & Lee, J. Y. (2014). Important of store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benefits according to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f consumers of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3), 93-107. 

  25. Park, H. J., & Yoo, T. S. (2012).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riables among clothes consumption value, need for uniqueness, use information sources related to importance of apparel product attributes and store attribut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8), 802-813. 

  26. Park, S. Y., & Park, E. J. (2013). The effects of flow on consumer satisfaction through e-impulse buying for fashion product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4), 533-542. 

  27.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28. Sung, H. W. (2013).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attitude toward and intention to use mobile shopping through fashion app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7), 1000-1014. 

  29. Verhagen, T., & Dolen, W. V. (2011). The influence of online store beliefs on consumer online impulse buying - A model and empirical application. Information & Management, 48, 320-3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